----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hp5HpTT6.jpg|width=100%]]}}} || ||<-2> '''{{{#ffffff 푸방 가디언즈 고문}}}''' || ||<-2> '''{{{#005295 천진펑 [br] (陳金鋒 / Chin-Feng Chen)}}}''' || || '''{{{#ffffff 생년월일}}}''' || [[1977년]] [[10월 28일]] ([age(1977-10-28)]세) || || '''{{{#ffffff 국적}}}''' ||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대만]] || || '''{{{#ffffff 출신지}}}''' || [[타이난|타이난 시]] || || '''{{{#ffffff 출신학교}}}''' || 대만 신베이시 사립 중화고등학교 || || '''{{{#ffffff 신체조건}}}''' || 183cm / 90kg || || '''{{{#ffffff 포지션}}}''' || [[외야수]](좌익수), [[지명타자]] || || '''{{{#ffffff 투타}}}''' || [[우투우타]] || || '''{{{#ffffff 프로입단}}}''' || 1999년 국제 자유계약 ([[LA 다저스]]) || || '''{{{#ffffff 소속구단}}}''' || [[LA 다저스]] (1999~2005) [br] '''[[라미고 몽키스|라뉴 베어스-라미고 몽키스]] (2006~2016)''' || || '''{{{#ffffff 지도자}}}''' ||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타격코치 (2016) || || '''{{{#ffffff 프런트}}}''' || [[푸방 가디언즈]] 부팀장 (2017~2020) [br] [[푸방 가디언즈]] 고문 (2021~) || || '''{{{#ffffff 수상}}}''' || [[CPBL]] 타점왕 (2006) [br] [[CPBL]] MVP (2006) [br] [[CPBL]] 타격왕 (2007) [br] [[타이완 시리즈]] MVP (2007) || [목차] == 개요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진출을 노린 대만 야구자의 선구자이자 대만 야구 역사에 손꼽히는 거포타자이다. 국제대회에서 주요한 순간마다 홈런을 기록하여 타이완 대포(台灣巨砲)로 불릴만큼 뛰어난 장타력을 가졌다. == 선수경력 == 고등학교 졸업 이후 실업야구 합작금고에서 활약한 이후 1999년 [[LA 다저스]]와 68만달러에 계약하여 미국프로야구에 진출한다.[*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당시 [[박찬호]]를 상대로 홈런을 기록한 것을 보고 스카우트 팀들의 좋은 평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있었고, 당시에는 대만 유망주들도 해외 진출이 적극적이었던 시기였다. 다저스 이적 후 [[박찬호]]에게 미국 생활 적응 등의 측면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고 은퇴식 당시에도 영상편지를 받았을 정도면 꽤 친했던 모양.] 미국 진출 직전 군복무를 위해 군 소속 육광(陸光)야구단에서 선수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2002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하였으나, 2005년까지 4번의 시즌에 걸쳐 19게임에 출장하여 22타수 동안 장타 없이 단타 2개만 기록하며 대만으로 복귀한다. 2006년 [[CPBL]]에 데뷔하여 라뉴 베어스의 프랜차이즈 역사상 첫 대만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이후 2016년 은퇴까지 3번의 타이완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 1990년 타이난 리틀야구단 소속으로 [[리틀리그 월드시리즈]]에 참가하여 우승멤버로 활약하였으며 다수의 청소년 대표팀에 참가하였다. 성인대표팀에서도 지속적으로 발탁되었는데, 1998년 33회 세계야구선수권에서는 5개의 홈런을 기록하여 대회 홈런왕에 오르기도 하였다. 또한 2001년 34회 세계야구선수권에서는 일본과의 3/4위전에서 두 개의 홈런을 기록하여 팀의 승리로 이끈다. ||[Youtube(CDxCE5W7UwQ)]|| 이후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우에하라 고지]]를 상대로 3점 홈런을 기록하였으며,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도 대표팀으로 참가하여 팀의 금메달을 이끌었다. ||[Youtube(7RmaI2D-aEs)]|| 2007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에서는 [[다르빗슈 유]]를 상대로 2점 홈런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이후 [[2023 APBC]]에는 대만 대표팀의 감독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특이하게도 등번호를 본인이 선수 시절에 즐겨쓰던 52번을 그대로 사용했다는 점. == 여담 == * 은퇴식에 [[박찬호]]가 영상편지에 참여하여 투 머치 토크를 보여줬다. [[https://youtu.be/FAoH7nNQShk&t=449s|7분 29초부터]] 영상편지를 보낸 사람은 순서대로 [[펑정민]], [[린즈성]], [[가오궈후이]], 궈홍치, [[왕젠민]], [[박찬호]], [[마쓰자카 다이스케]], [[우에하라 고지]], [[다카하시 요시노부]], 훙이중 감독, 류지에팅 현 [[라쿠텐 몽키스]] 단장. ||[Youtube(r3UKy95eEmY)]|| * 은퇴를 기념하여 대만의 밴드 Fire EX가 헌정 노래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 [[2017 타이베이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최종 성화 점화를 하였다. * 형 천롄홍도 야구선수였다. [[분류:대만의 야구 선수]][[분류:1977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2016년 은퇴]][[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라쿠텐 몽키스/은퇴, 이적]][[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타이난시 출신 인물]][[분류:대만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4 아테네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만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6 도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만의 야구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