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가톨릭 교구]] [include(틀:일본의 천주교 교구)] ||||<:>'''{{{+1 천주교 삿포로교구}}}[br]Diocese of Sapporo[br]Dioecesis Sapporensis'''|| ||<-2> [[파일:삿포로교구.jpg]] || ||<:> '''형태''' ||<:> [[가톨릭]] 교구 || ||<:>'''국가''' ||<:> [[일본]] || ||<:>'''관구''' ||<:> 도쿄관구 || ||<:>'''교구장''' ||<:> 가쓰야 다이지 베르나르도 주교|| ||<:>'''관할구역''' ||<:> [[홋카이도]]|| ||<:>'''교구청 소재''' ||<:>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삿포로)|주오구]] 키타1조 히가시6초메 10|| ||<:>'''주교좌''' ||<:> 기타이치조 성당 || ||<:>'''교구 현황''' ||<:> 신자수 15,551명[br] [[주교]] 2명[* 전임 교구장 지누시 토시오 주교 포함(2021년 사망)], [[사제(성직자)|사제]] 53명[br][[본당]] 58개, [[공소(가톨릭)|공소]] 1개[br]([[https://www.cbcj.catholic.jp/wp-content/uploads/2021/08/statistics2020.pdf|2020년 일본 가톨릭중앙협의회 통계]] 기준)|| ||<:>'''홈페이지''' ||<:> [[https://csd.or.jp/|천주교 삿포로교구 공식 홈페이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tholic_Kita1jo_Cathedral.jpg|width=100%]]}}}|| || '''주교좌 키타이치죠 성당(수호천사 대성당)'''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홋카이도]]를 관할하는 [[가톨릭]] 교구이다. 현재 교구장은 가쓰야 다이지(勝谷太治) 베르나르도 주교로, [[2013년]] [[6월 22일]] 임명되어 같은해 [[10월 14일]] 수품, 착좌하였다. 가쓰야 주교는 2014년부터 일본 천주교 주교회의 정의와 평화 협의회 회장을 2020년까지 맡았었는데, 2019년에는 [[한국천주교주교회의]]의 [[3·1 운동]] 100주년 담화문에 대해 "남북 분단과 한국전쟁의 근원에는 일본의 침략 전쟁이 있다"는 담화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312114800005|관련 기사]] 같은해 성모승천 대축일을 앞두고는 [[한일 무역 분쟁]]에 대해 일본 정부와 언론의 대응을 비판했다. [[http://www.cpbc.co.kr/CMS/news/view_body.php?cid=760147&path=201908|담화문]] 주교좌 성당은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삿포로)|주오구]]에 있는 키타이치조 성당(수호천사 대성당)이며, 교구청도 성당 경내에 소재하고 있다. 2020년 현재 신자 수는 15,551명(교구 내 인구의 0.295%)이며, 성직자로는 [[주교]] 1명, [[사제(성직자)|사제]] 53명[* 교구사제 21명, 수도사제 및 선교사제 32명]이 소속되어 있으며, [[본당]] 58개소, [[공소(가톨릭)|공소]] 1개소[* 신카와 공소(구시로 성당 관할)]가 있다. 한국에서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와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삿포로교구로 사제를 파견하고 있다. == 역사 == [[1915년]] [[2월 12일]] [[천주교 센다이교구|하코다테교구]]에서 [[하코다테]] 지구를 제외한 [[홋카이도]]와 [[남사할린]] 지역을 분리하여 삿포로지목구가 설치되고, [[프란치스코회|작은형제회]]의 독일 풀다 관구에 선교를 위탁한 것이 교구의 시작이다. 이후 [[1929년]] [[3월 30일]] 대목구로 승격했으며, [[1932년]] [[7월 18일]]에는 남사할린이 가라후토 지목구로 분리되었다(현재의 [[유즈노사할린스크]] 지목구). [[1941년]] 초대 대목구장인 벤체슬라오 키놀드 주교가 사임한 후 교구 관리자로 도다 다테와키(戸田帯刀) 라우렌시오 신부가 임명되었으며, [[1944년]] 토다 신부가 [[천주교 요코하마교구|요코하마교구]]로 전보되면서 세노 이사무(瀬野勇) 아우구스티노 신부가 관리자로 임명되었다. [[1952년]] [[12월 11일]], 삿포로 대목구가 정식교구로 승격되었으며, [[천주교 센다이교구|센다이교구]] 관할이었던 하코다테 지구를 이관받아 홋카이도 전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천주교 교토교구|교토교구]]의 도미자와 다카히코 신부가 주교로 서품되어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이후 지누시 도시오 주교가 교구장직을 이어받다가 [[2009년]] [[11월 17일]] 사임하였다. 이때 [[천주교 니가타교구|니가타교구]]장 기쿠치 이사오 주교(현 [[천주교 도쿄대교구|도쿄대교구]]장)가 교구 관리자를 겸임했다가 4년 만인 2013년 가쓰야 다이지 주교가 착좌하여 현재에 이른다. == 역대 교구장 == ||
'''순''' || '''이름''' || '''재임기간''' || '''비고''' || || 1 || 벤체슬라오 키놀드(Wenceslas Joseph Kinold) 주교 || 1915년 4월 13일 ~ 1940년 11월 ??일 || [* [[프란치스코회|작은형제회]] 출신, 1952년 사망] || || 2 || 도미자와 다카히코(冨澤孝彦) 베네딕토 주교 || 1953년 3월 19일 ~ 1987년 10월 3일 || [* 1989년 사망] || || 3 || 지누시 도시오(地主敏夫) 베드로 주교 || 1988년 1월 15일 ~ 2009년 11월 17일 || [* 2021년 사망] || || 4 || 가쓰야 다이지(勝谷太治) 베르나르도 주교 || 2013년 10월 14일 ~ || || == 관할 구역 == * 밑줄은 주교좌 본당이다. * 순회본당[* [[https://www.cbcj.catholic.jp/wp-content/uploads/2021/08/statistics2020.pdf|일본 가톨릭중앙협의회 자료]]에 따르면, 순회교회(순회본당)은 "소교구([[본당]] 사목구)에 소속되어, 정기적으로 주임신부가 순회하는 상설 교회당"을 가리킨다. 즉, [[공소(가톨릭)|공소]]가 아닌 본당의 지위를 유지하고는 있으나, 신자 및 사제 수의 부족으로 본당 신부가 상주하지 않고 인접 본당 신부가 겸임하는 성당에 해당한다.]은 ^^순회^^로 표기한다. ||
'''지구''' || '''본당수''' || '''소속 본당''' || || '''삿포로''' || 20 || __키타이치죠__, 이와미자와, 에니와, 에베츠, 오아사, 키타11죠, 키타26죠, 키타히로시마, 쿳챤, 코놋포로, 신덴, 오타루, 치토세, 츠키사무, 테이네, 하나카와, 마코마나이, 야마하나 || || '''아사히카와''' || 15 || 아사히카와5죠, 아사히카와6죠, 카무이, 오마치, 비바이, 타키카와, 스나가와, 후라노, 시베츠, 나요로, 왓카나이, 리시리^^순회^^, 에사시, 하보로, 루모이 || || '''하코다테''' || 6 || 에사시, 미야마에쵸, 모토마치[* [[천주교 센다이교구|하코다테교구]]의 주교좌성당이었다.], 유노카와, 토베츠, 야쿠모 || || '''쿠시로''' || 8 || 오비히로, 하쿠린다이, 이케다, 쿠시로, 나카시베츠, 혼베츠, 네무로, 앗케시 || || '''토마코마이''' || 6 || 무로란, 히가시무로란, 다테, 토마코마이, 노보리베츠, 시즈나이 || || '''키타미''' || 5 || 키타미, 비호로^^순회^^, 아바시리, 엔가루, 몬베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