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천안 분기점'''}}}[br]{{{-2 '''天安 分岐點'''}}}[br]{{{-2 '''Cheonan Junction'''}}}}}} || || [[구서IC|{{{#!html부산 방면}}}]][br][[목천IC]][br]← 3.5 km || [[경부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svg|height=23]]{{{#!html
경부선}}}]]'''{{{#fff {{{+1 38}}}}}}''' || [[양재IC|{{{#!html서울 방면}}}]][br][[천안IC]][br]6.6 km → || ||<-3> {{{-1 {{{#0047a0 [[천안삼거리휴게소]](서울방향) ▶}}}}}} || || [[논산JC|{{{#!html논산 방면}}}]][br][[남천안IC]][br]← 2.4 km || [[논산천안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25.svg|height=23]]{{{#!html
논산천안선}}}]]'''{{{#fff {{{+1 37}}}}}}''' || {{{#!html
종점}}} || || [[아산IC|{{{#!html
아산 방면}}}]][[서천안IC|서천안IC]][br]← 3.4 km || [[당진청주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32.svg|height=23]]{{{#!html
당진청주선}}}]]'''{{{#fff {{{+1 8}}}}}}''' || [[오창JC|{{{#!html
청주 방면}}}]][[목천IC]][br]3.5 km → || ||<-3>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천안시 목천읍 응원리 123-9,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응원리 123-9 || ||<-3> {{{#fff '''관리기관'''}}} || || [[경부고속도로|{{{#fff 경부선}}}]] ||<-2> [[한국도로공사]] 대전충남본부 천안지사 || || [[논산천안고속도로|{{{#fff 논산천안선}}}]] ||<-2>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천안논산고속도로(주)]] || || [[당진청주고속도로|{{{#fff 당진청주선}}}]] ||<-2> [[한국도로공사]] 대전충남본부 천안지사 || ||<-3> {{{#fff '''개통'''}}} || || [[경부고속도로|{{{#fff 경부선}}}]] ||<|2><-2> [[2002년]] [[12월 23일]] || || [[논산천안고속도로|{{{#fff 논산천안선}}}]] || || [[당진청주고속도로|{{{#fff 당진청주선}}}]] ||<-2> [[2023년]] [[9월 20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부고속도로]] 38번, [[논산천안고속도로]] 37번, [[당진청주고속도로]] 8번.'''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에 있는 [[경부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 [[당진청주고속도로]]의 [[분기점]]. 명칭은 소재지인 [[천안시]]에서 유래했다. 전통적으로 '[[경상도|영]]/[[전라도|호남]]의 갈림길'로 불렸던 '''[[천안삼거리]]의 고속도로 버전'''[* 조선시대 당시 천안삼거리의 위치는 오늘날 어디인지 불확실하며, 일제강점기 조선도로령에 의거한 신작로 개설 이후 천안삼거리 일대는 현재도 삼룡사거리가 그 시절의 천안삼거리의 역할을 대체하고 있다.]이라 할 수 있다. == 구조 == 처음 경부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와의 분기점으로 건설될 당시 [[비룡JC]], [[강릉JC]], [[고창JC]], [[문흥JC]] 와 같은 구조로 만들어졌다. 이후 분기점의 구조 개선 공사와 병행하면서 [[당진청주고속도로]]의 아산 - 천안 구간이 개통되어 램프 구조가 아래 이미지처럼 매우 복잡한 구조이며, 대한민국에서 꽤 보기 드문 3개 노선 고속도로 분기점 형태[* 일단 현재 3개의 고속도로가 만나거나 예정인 곳은 [[금호JC]]([[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서평택JC]]([[서해안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익산JC]]([[호남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익산평택고속도로]]), [[동대구JC]] 및 [[상매JC]]([[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경기광주JC]]([[광주원주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 [[서오산JC]]([[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낙동JC]]&[[상주JC]]([[중부내륙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상주영천고속도로]])가 있다.]가 되었다. [[파일:천안JC 미래.jpg]] === [[경부고속도로]] === ==== [[양재IC|서울]] 방향(상행선) ==== * 진출 가능: [[논산천안고속도로]] 논산방향 * 진입 가능: [[논산천안고속도로]] 천안방향, [[당진청주고속도로]] 아산뱡향 ==== [[구서IC|부산]] 방향(하행선) ==== * 진출 가능: [[논산천안고속도로]] 논산방향, [[당진청주고속도로]] 아산 뱡향 * 진입 가능: [[논산천안고속도로]] 천안방향 === [[논산천안고속도로]] === ==== 천안 방향(상행선) ==== * 진출 가능: [[경부고속도로]] 양방향, [[당진청주고속도로]] 양방향 ==== [[논산JC|논산]] 방향(하행선) ==== * 진입 가능: [[경부고속도로]] 양방향 === [[당진청주고속도로]] === ==== [[아산IC|아산]] 방향 ==== * 진출 가능: [[논산천안고속도로]] 논산방향 ==== [[오창JC|청주]] 방향 ==== * 진입 가능: [[논산천안고속도로]] 천안방향, [[경부고속도로]] 양방향 == 역사 == * [[2002년]] [[12월 23일]]: 논산천안고속도로 전 구간 개통과 함께 경부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의 분기점으로 개통되었다. * [[2023년]] [[9월 20일]]: 당진청주고속도로 아산 나들목 - 천안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201749?sid=102|충남 아산에도 고속도로 생겼다…아산∼천안 고속도로 내일 개통]], 연합뉴스, 2023-09-19] == 교통 == [[전라도|호남]]권, [[충청남도|충남]] 내륙지역에서 [[서울특별시|서울]],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으로 갈 때 이용되며 [[대전광역시]]와 [[청주JC|청주 분기점]]에서 오는 [[경상도|영남]]권 방면에서 오는 차량들과 뒤엉켜 버려 평상시에도 교통량이 많으며 주말과 명절만 되면 [[헬게이트]]로 변한다. 특히 [[논산천안고속도로]] 방면에서 [[경부고속도로]] [[양재IC|서울]] 방향으로 진입할 때 굉장히 막히며 '''심하면 [[공주JC|공주 분기점]]에서 이 분기점까지 정체가 계속되기 때문에 이 분기점으로 향할 때는 고속도로 교통정보를 꼭 체크해야 한다.''' 덕분에 차령터널 출구부터 천안분기점까지는 주차장이었지만 경부고속도로 합류 램프 들어가자마자 속도를 내는 경우가 많다(...). == 여담 == * 고속국도 제25호선([[호남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의 이정표상 4대 주요 경유지인 천안, [[전주IC|전주]], [[서광주IC|광주]], [[서순천IC|순천]] 중, '''천안'''의 기준점이 바로 이 분기점이다. 서울 방향으로 이 분기점을 지나면 표지판이 '''[[양재IC|서울]]'''을 표시하고, 순천 방향으로 이 분기점을 지나면 표지판이 '''[[서광주IC|광주]]'''를 표시한다. 이 고속도로는 무조건 직진표지판을 '전주'가 아닌 '광주'로 쭉 표시한다. 다만 중앙분리대 상의 작은 이정표지판에서는 '전주'로 표시한다. 또한 인근에 25번 고속도로 종점 비석과 함께 천안분기점 0km를 볼 수 있다. * 당진청주선(아산~천안) 개통 전까지는 경부고속도로 부산 방향에서 논산천안고속도로로 분기되는 안내 표지에 '광주' ,'전주', '[[세종특별자치시|세종]]'의 3개 지역을 표시했으나, 당진청주선(아산~천안)이 개통되면서 '논산(논산천안고속도로)'과 '아산(당진청주고속도로)'을 표시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주말, 연휴 등 교통량이 많을 때 [[남천안IC|남천안 나들목]]부터 [[경부고속도로]] 진출로까지 정체가 심한 편이다. * [[당진청주고속도로]] 아산 - 천안 구간이 개통되면 아산에서 고속도로를 타고 충청 내륙 및 영남 거의 전역, 호남 내륙 지역으로 향하는 교통량이 대거 유입되어 [[논산천안고속도로]]의 헬게이트가 더 심각해질 예정이다. 다만, 기 개통된 [[세종평택로]]의 존재로 인하여 향후 교통량은 생각보다 많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 대신에 여기서부터 [[옥산JC]]까지 이어지는 [[경부고속도로|경부]]-당진청주선 중첩구간의 정체가 가중될 수는 있다. * [[옥산JC]]부터 이어지는 경부-당진청주선 중첩구간이 여기서 분리된다. * 엄밀히는 [[호남고속도로]]가 아닌 [[논산천안고속도로]]에 해당하지만, 이 분기점에는 [[호남고속도로|호남선]] 종점 비석이 세워져 있다. 국토교통부 고시 2023-77호에 따르면 논산천안고속도로를 삭제하고 호남고속도로와 병합해 종점을 천안JC로 정함으로 두 노선이 __ '''고시상으로만'''__ 통합되었다.[* [[http://www.molit.go.kr/USR/I0204/m_45/dtl.jsp?idx=17753|국토교통부고시 제2023-77호 도로 노선의 변경 고시(고속국도 및 일반 국도)]], 2023-02-10, 국토교통부] == 관련 문서 == * '''[[논산천안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당진청주고속도로]]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경부고속도로의 구간)] [include(틀:호남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의 구간)] [include(틀:당진청주고속도로의 구간)] [[분류:경부고속도로]][[분류:논산천안고속도로]][[분류:당진청주고속도로]][[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분기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