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성씨)] ||<-2> {{{#!wiki style="margin: -15px -10px" || {{{#!wiki style="margin: -0px -5px" [[파일:JEON_CHUNAN.png|height=50&align=left]]}}}'''{{{#000 {{{+1 天安全氏[br]천안전씨}}}}}}''' ||}}} || || '''{{{#FFFFFF 관향}}}''' ||[[충청남도]] [[천안시]] (忠淸南道 天安市) || || '''{{{#FFFFFF 시조}}}''' ||전섭(全聶)|| || '''{{{#FFFFFF 중시조}}}''' ||전락(全樂)|| || '''{{{#FFFFFF 파조}}}''' ||판결사공파(判決事公派)[br]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br]삼재공파(三宰公派)[br]두평군파(兜平君派)[br]문효공파(文孝公派)|| ||<|2> '''{{{#FFFFFF 집성촌}}}''' ||[[대전광역시]][br][[광주광역시]] [[광산구]][br][[경기도]][br][[충청북도]] [[청주시]]·[[충주시]][br][[충청남도]] [[금산군]]·[[천안시]][br][[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순창군]]·[[익산시]]·[[임실군]][br][[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br][[전라남도]] [[나주시]]·[[담양군]]·[[보성군]]·[[신안군]][br]전라남도 [[여수시]]·[[영암군]]·[[완도군]]·[[함평군]][br][[제주특별자치도]][br][[경상북도]] [[경산시]]|| ||[[황해도]] [[연백군]] [br][[평안북도]] [[구성군]]·[[정주군]]|| || '''{{{#FFFFFF 인구}}}''' ||176,239명^^(2015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천안전씨(天安全氏)의 시조는 [[백제]] 개국공신인 전섭(全聶)이다. 전섭의 29세손인 고려 개국공신 전락(全樂)은 중시조로 천안부원군에 봉해졌다. 단일 계통임을 자처하는 백제 토성 성씨이다. 673년에 세워진 금석문인 국보 제106호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의 세겨진 명문 내용을 통해서 백제계 성씨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천안전씨는 2015년 인구통계에서는 176,239명으로 조사되었다. == 역사 == 천안전씨의 시조(始祖) '''전섭'''(全聶)은 [[기원전 18년]]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인 [[온조]](溫祚)가 [[백제]]를 건국할 때 마려(馬藜), 오간(烏干), 을음(乙音), 해루(解婁), 흘우(紇于), 한세기(韓世奇), 곽충(郭忠), 범창(笵昌), 조성(趙成) 등 9사람과 함께 백제 개국의 공을 세우고, 백제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또한 천안 전씨(天安全氏) 시조인 전섭(全聶)의 29세손인 '''전락'''(全樂)이 [[고려]] 개국공신으로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과 대구 공산전투에서 싸울 때 신숭겸과 함께 순절하였다. 그 후 삼사(三司) 좌복야(左僕射)에 추증되었고, 천안부원군(天安府院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천안을 본관으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에 위치한 [[비암사]](碑岩寺)에서 발견된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의 기록에 의하면 전씨가 백제시대부터 성씨를 사용한 것이 고증된다. 비암사의 창건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삼국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신라말 [[도선]](道詵)이 중창했다. 극락전 앞에 있는 3층석탑의 정상부분에서 3점의 비상(碑像)이 발견되었는데,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은 국보 제106호로, 기축명아미타불비상(己丑銘阿彌陀佛碑像)은 보물 제367호로,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은 보물 제368호로 지정되어 [[국립청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인구 == 천안전씨 인구수는 176,239명이다. 천안전씨는 주로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기도]], [[제주도]]에서 볼 수 있다. == 계파 및 분파 == 천안전씨 분파 및 계파는 총 5개의 파가 있다. * 판결사공파 (判決事公派)[판도판서] * 대제학공파 (大提學公派) * 삼 재 공 파 (三宰公派) * 두 평 군 파 (兜平君派) * 문 효 공 파 (文孝公派) == 집 성 촌 == === 광주·전라 ===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산동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신대리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벽송리 *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농암리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석동리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일중리 * 전라북도 임실군 청웅면 석두리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군하리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역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전병관(역도)|전병관]]이 이 마을 출신이다.] *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산호리 *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연천리 * 전라남도 보성군 * 전라남도 신안군 신의면 상태동리 * 전라남도 여수시 월내동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엄길리[* [[전석홍]] 전 전라남도지사가 이 마을 출신이다.] * 전라남도 완도군 금당면 차우리 *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양정리 === 대전·충청 === * 대전광역시 * 충청북도 청주시 * 충청북도 충주시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내부리 * 충청남도 천안시 * 충청남도 계룡시 * 충청남도 태안군 상옥리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양리 === 그 외 === * 경기도 * 제주특별자치도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고죽리 === 북한 === * 황해도 연백군 화성면 금계리 * 평안남도 구성군 동산면 용풍동 * 평안남도 구성군 천마면 동암동·신두동 * 평안북도 정주군 관주면 주학동 === 종가 ===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은적산 엄길마을 두평군파 종가들이 살고 있다. == 인물 == === 역사적 인물 === * '''[[전봉준]]''' (全琫準, 1855 ~ 1895) 일명 '녹두장군'으로서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이다. * [[전상의]] (全尙毅, 1575 ~ 1627) 전용(全蓉)의 아들이며, 정묘호란때 활약했다. 29세 되는 나이에 무과에 급제, 어모장군에 오르게 된다. 인조반정 이후, 개천군수로 강등, 후에는 구성부사로 다시 승급한다 * '''전광재''' (全光宰, 미상 ~ 미상)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완성한 진주부병마금할시상서시랑. 동국이상국집 또한 간행하였다. * '''전순의''' (全循義, 미상 ~ 미상)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6477&cid=46638&categoryId=46638|참고]] [[세종(조선)|세종]]·[[문종(조선)|문종]]·[[세조(조선)|세조]]의 3조(朝)에 걸쳐 전의감(典醫監)의 의관을 지냈다. 의방유취(醫方類聚), 침구택일편집(鍼灸擇日編集), 식료찬요(食寮簒要), 산가요록(山家要錄)을 저술하였다. * [[전동흘]] (全東屹, 1610. 8.20 ~ 1705. 8. 1[94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9027&cid=46622&categoryId=46622|참고]] [[장화홍련]]의 억울한 누명을 해결한 철산부사 및 삼도통제사. 강화도 건평돈대에서 발견된 불랑기에 1680년 2월 제작된 명문이 나오고 115문 진상 설치 * [[전신]](全信) 자는 이립(而立), 호는 백헌(栢軒), 시호는 문효(文孝). 내의직장(內衣直長), 숭경부승(崇慶府丞), 비서랑(秘書郞) 고려후기 보문각제학, 계림부윤, 복주목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음서로 관직에 나아간 뒤 내의직장(內衣直長)으로 1301년(충렬왕 27) 문과에 급제하고, 다음해 숭경부승(崇慶府丞)이 되었다. 밀직사를 지낸 전승(全昇)의 아들이다. * '''전인량''' (全仁亮) 사신으로 송나라에 가서 이부상서 은청광록대부에 가자 되고 천양군에 봉해졌다. * [[전해산]] (전기홍 全基泓, 1879 ~ 191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9002&cid=46623&categoryId=46623|참고]] 1907년 (융희 1) 조경환의 의병에 참가 했다가 조경환이 전사한 후 의병장이 되어 장성 등지 일본군을 격파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이 수여되었다. * '''전계종'''(全繼宗) 1583년 [[니탕개의 난]]이 일어나 [[여진족]]이 [[함경도]] 북부를 침략하자 의병을 일으켰으나 반란이 평정되었음을 듣고 귀향하였다. 그후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거처에 침입한 왜군들에 의해 순절하였다.[[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89625&cid=51949&categoryId=55215|#]] * 전방삭(全方朔)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휘하에서 [[적진포 해전]] 등 여러 전투에 참전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선무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고, 어모장군(禦侮將軍) 훈련원정에 추증되었다. === 유명인 === 천안전씨(天安全氏)의 유명인들을 서술한다. * [[전갑길]] - 제12대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제16대 국회의원 * [[전광주]] - 성우 * [[전권희]] - 정치인 * [[전국근]] - 성우 * [[전국환]] - 배우 * [[이수(가수)|이수]] - 본명 전광철, 가수 * [[전동진(군인)]] - 제4대 [[지상작전사령관]] * [[전민재]] - 야구 선수 * [[전민혁]] - 가수 * [[전무송]] - 배우 * [[전병관(역도)|전병관]] - 역도 선수 * [[전병두]] - 야구 선수 * [[전병우(정치인)]] - 제11~12대 국회의원 * [[전보람]] - 가수 * [[전석홍]] - 제22대 [[전라남도지사]], 제12대 [[국가보훈처장]], 제15대 국회의원 * [[전소민]] - 배우 * [[전원주]] - 배우 * [[디유닛#s-2.1|전우람]] - 가수 * [[전유성]] - 코미디언 * [[전영록]] - 가수, 배우 * [[전영선]] - 배우 * [[레이디 제인(가수)|레이디 제인]] - 가수 * [[외질혜]] - 본명 전지혜, 인터넷 방송인 * [[전종천]] - 제12대 국회의원 * [[전주혜]] - 법조인, 변호사, 제 21대 국회의원 * [[제이(어센트)|전지환]] - 가수 * [[전태열]] - 성우 * [[전태홍]] - 기업인, 정치인 * [[전현무]] - 방송인 * [[전휴상]] - 기업인, 정치인 * [[전해리]] - 성우 * [[전한길]] - 한국사 강사 * [[전현아]] - 배우 * [[전현재]] - 축구 선수 * [[황해(배우)|전홍구]] - 배우 * [[전종서]] - 영화배우 * [[전종혁]] - 축구 선수, 골키퍼, 불타는 트롯맨, 불타는장미단 === 세대별 유명인 === || '''이름''' || '''생몰년도''' || '''분파''' || '''직업''' || ||<-4> '''1세(範)''' || || [[전홍구]] (全弘璆) || 1921 ~ 2005 || 故 || 배우 || || [[전종천]] (全鐘千) || 1927 ~ 2008 || 故 || 제 12대 국회의원 || || [[전병우]] (全炳祐) || 1931 ~ 1999 || 故 || 제 11~12대 국회의원 || || [[전석홍]] (全錫洪) || 1934 ~ || 파 || 제22대 전라남도지사, 제12대 국가보훈처장, 제15대 국회의원 || || [[전휴상]] (全烋相) || 1934 ~ 1980 || 故 || 기업인, 제5 ~ 8대 국회의원 || || [[전태홍]] (全泰洪) || 1937 ~ || 파 || 기업인, 정치인 || || [[전원주]] (全媛珠) || 1939 ~ || 파 || 배우 || || [[전무송]] (全茂松) || 1941 ~ || 파 || 배우 || || [[전국근]] (全) || 1946 ~ || 파 || 성우 || || [[전유성]] (全裕成) || 1949 ~ || 파 || 코미디언 || ||<-4> '''2세(範)''' || || [[전영선]] (全暎璇) || 1950 ~ || 파 || 배우 || || [[전국환]] (全國煥) || 1952 ~ || 파 || 배우 || || [[전영록]] (全永錄) || 1954 ~ || 파 || 가수, 배우 || || [[전갑길]] (全甲吉) || 1957 ~ || 파 || 제12대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제16대 국회의원 || || [[전주혜]] (全珠惠) || 1966 ~ || 파 || 법조인, 변호사 || || [[전동진(군인)|전동진]] (全東鎭) || 1966 ~ || 파 || 제4대 지상작전사령관 || || [[전병관]] (全炳寬) || 1969 ~ || 파 || 역도 선수 || || [[전한길]] (全) || 1970 ~ || 파 || 한국사 강사 || || [[전현아]] (全) || 1971 ~ || 파 || 배우 || || [[전태열]] (全泰烈) || 1972 ~ || 파 || 성우 || ||<-4> '''3세(範)''' || || [[전광주]] (全光柱) || 1974 ~ || 파 || 성우 || || [[전현무]] (全炫茂) || 1977 ~ || 파 || 방송인 || || [[전광철]] (全光澈) || 1981 ~ || 파 || 가수 || || [[전민혁]] (全) || 1981 ~ || 파 || 가수 || || [[전해리]] (全) || 1982 ~ || 파 || 성우 || || [[전병두]] (全炳斗) || 1984 ~ || 파 || 야구 선수 || || [[레이디제인(가수)|전지혜]] (全智慧) || 1984 ~ || 파 || 가수 || || [[전보람]] (全寶藍) || 1986 ~ || 파 || 가수 || || [[전소민]] (全昭旻) || 1986 ~ || 파 || 배우 || || [[RAMI NU|전우람]] (全우람) || 1987 ~ || 파 || 가수 || ||<-4> '''4세(範)''' || || [[전현재]] (全玄載) || 1992 ~ || 파 || 축구 선수 || || [[제이(어센트)|전지환]] (全) || 1994 ~ || 파 || 가수 || || [[외질혜|전지혜]] (全智慧) || 1995 ~ || 파 || 인터넷 방송인 || [각주] [[분류:천안 전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