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꽃)] ||<#0c0,#070><-2> '''{{{+1 천수국}}}[br]千壽菊 | Mexican marigold'''[* Aztec marigold 또는 African marigold라고도 한다.] || ||<-2> [[파일:천수국.jpg|width=100%]] || ||<#abf200,#456105> '''학명''' || ''' ''Tagetes erecta'' '''[br][[L.]] || ||<-2><#dbff12,#5b6b01>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s-3.2|{{{#000,#fff '''계'''}}}]] ||[[식물|식물계]](Plantae) || || [[생물 분류 단계#s-3.3|{{{#000,#fff '''문'''}}}]] ||피자식물문(Magnoliophyta) || || [[생물 분류 단계#s-3.4|{{{#000,#fff '''강'''}}}]] ||목련강(Magnoliopsid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fff '''목'''}}}]] ||국화목(Asterales) || || [[생물 분류 단계#s-3.6|{{{#000,#fff '''과'''}}}]] ||국화과(Asteraceae) || || [[생물 분류 단계#s-3.7|{{{#000,#fff '''속'''}}}]] ||[[천수국속]](Tagetes) || || [[생물 분류 단계#s-3.8|{{{#000,#fff '''종'''}}}]] ||천수국 || [목차][clearfix] == 개요 == [[국화]]과 [[천수국속]]의 [[한해살이 식물]]이다. 같은 천수국속의 다른 종으로 [[만수국]]과 비슷한데, 만수국은 혀모양꽃(설상화)의 가장자리가 밋밋한 반면 천수국은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인 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노란색 꽃이 화려하여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어린잎을 식용하기도 하고 물감 염료로 쓰기도 한다. [[멕시칸]]/[[아즈텍]] [[마리골드]]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멕시코]]가 원산지다. 아프리칸 마리골드라고도 하는데 [[아프리카]]와는 무관하다. 천수국의 신성화는 굉장히 오랜 시절부터 이뤄져왔으며 이러한 신성시는 현대까지 이어져서 현대의 멕시코 기독교 의식에서도 천수국을 흔히 볼 수 있다. 꽃 추출물은 [[루테인]]을 함유하고 있는 눈 건강 식품으로 사용된다. == 명칭 == [[마리골드]] 자체는 천수국속의 식물을 총칭하며 field marigold는 [[금잔화]], french marigold는 [[만수국]]이다. 애니메이션 [[코코(애니메이션)|코코]]에서 [[망자의 날]]에 장식하는 꽃은 [[금잔화]]로 번역되었지만 멕시코명 켐포아소치틀(cempoalxochitl)로 바로 이 꽃 [[천수국]]이다.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이 식물을 천수국이라 부르지만 [[중국]]에서는 [[만수국]]이라 부른다. 그리고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만수국]]이라 부르는 ''Tagetes patula''는 중국에서 공작초(孔雀草), 소만수국(小萬壽菊) 등으로 부르고 있다. || 과 || 속 || 종(학명)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 || ||<|4>국화과 ||<|2>천수국속 ||''Tagetes erecta'' L. ||[[천수국]] ||Mexican marigold[br]Aztec marigold[br]African marigold ||[ruby(千寿菊, ruby=せんじゅぎく)] ||万寿菊 || ||''Tagetes patula'' L. ||[[만수국]] ||french marigold ||[ruby(万寿菊, ruby=まんじゅぎく)] ||孔雀草 || ||<|2>금잔화속 ||''Calendula arvensis'' L. ||[[금잔화]] ||field marigold ||- ||- || ||''Calendula officinalis'' L. ||- ||pot marigold[br]common marigold[br]Scotch marigold ||[ruby(金盞花, ruby=きんせんか)] ||金盏花 || [[분류:국화목]][[분류: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