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01010231903.jpg|width=680]] [목차] == 제원 == ||||<:>{{{#gold '''주체 89년식 중땅크 천마-98 / 주체 90년식 중땅크 천마-214'''}}}|| || 전장 ||6.63 (전차포 제외)|| || 전폭 ||3.52m|| || 전고 ||2.4m|| || 중량 ||40~42t|| || 장갑 ||주조장갑+용접장갑+BDD형 증설장갑(천마-214)|| || 주포 ||2A20 115mm [[활강포]] 1문|| || 부무장 ||[[KPV|KPVT]] 14.5mm 기관총 1문/[[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T]] 7.62mm 기관총 1문|| || 속도 ||50km|| || 항속거리 ||450km|| || 엔진 ||580hp|| || 승무원 ||4명 (전차장, 포수, 탄약수, 조종수)|| || 생산량 ||알 수 없음|| || 생산 시기 ||주체 89년 2000년 / 주체 90년 2001년 || == 개요 == [[파일:T-4.jpg|width=600]] [[천마-98/214]] 는 [[조선인민군 육군]]에서 운용하는 [[천마호]]전차 계열 중 하나로서 기존 [[천마-92]] 이후 거의 10년만에 다시 등장한 개량형이다. 천마-98은 시제품의 성격으로 보이며 여기에 본격적으로 증설장갑등을 장착해 양산한 모델이 천마-214로 보인다. 기존에 개량형이었던 [[천마-92]]와는 겉모습부터 차이가 굉장히 크며, 단지 [[T-62]]를 이용해 개조했다는 것 외에는 개량상의 공통점이 거의 없다. 개발자체는 [[주체연호|천마-98의 경우 주체 89년인 2000년 천마-214의 경우 주체 90년인 2001년 개발되었는데]] 이를 유추해보면 천마-98은 천마-214의 시제기 성격이거나 또는 반쯤 프로토타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유는 천마-214의 경우 북한의 2000년도 이후 열병식에서 [[폭풍호]]와 [[선군호]]외에 2선급으로 천마호 초기형과 함께 많이 등장했지만 천마-214에서 증설장갑 개량을 제외한 천마-98의 경우는 열병식은 물론 무장장비관 외에 장소에서 주력으로서 운용되는 것이 확인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천마-98을 '''천마호-㉲형'''이라고 주로 부르고 천마-214를 '''천마호-㉳형'''이라고 부르지만 해외에서는 둘다 똑같은 전차로 취급해서인지 주로 '''Chonma-ho V(Five)'''라고 부르거나 [[폭풍호]]와 혼동해서... 폭풍호의 개량형이라고 불려지기도한다. == 개량 포인트 == [[파일:chonma-98-214-2.png|width=680]] 기존 [[천마-92]]나 천마호 원판인 [[T-62]]와 포탑에서 큰 차이가 있다. 개량점은 천마-214의 프로토타입 형식인 천마-98은 포탑전체 특히 후방부분이 넓어져서 탄약고나 개량장비 증축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무전용 안테나로 보이는 길다란 장비가 기존의 천마호나 T-62와 달리 후방 좌측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다만 기동간사격 또는 정밀사격을 보정해주는 기상관측장비(측풍감지기)의 형태는 분명히 아니다. 양산버전으로 볼 수 있는 천마-214는 이 천마-98의 베이스에서 몇 가지 개량점이 추가되었는데 이 것들을 자세히 설명하자면, === 증설장갑 === [[T-62|T-62M]]에 붙어있는 그것과 유사한 증설형 장갑이다. 포탑 전면에만 붙어져있고 뾰족해진 천마-98의 전면형태에 맞게 증설장갑의 형상 역시 가운데 부분이 각지고 하단부는 포탑링 피격을 막기위해 플레이트가 튀어나와 2개로 나뉘어져 있어서 전체적으로 3등분된 형상을 갖추고있다. [[선군호]]와는 이 BDD 증설형식을 자세히보면 전면형상만으로 굉장히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이 증설장갑이 만약 T-62M과 같은 합성고무와 강판장갑을 교차시킨 물건이라면 성능도 거의 동일할 것이다. 장갑의 성능은 대략 유추해보면 포탑 자체장갑과 함께 날탄과 같은 물리에너지탄에는 300mm~350mm의 방호력을 가질테고 대탄과 같은 화학에너지탄에는 400mm 내외의 방호력을 얻을 수 있을 듯하다. 물론 이 수준이라면 당장 한국군 [[K-1 전차]] 초기형의 K270 370mm 날탄은 커녕 M48A3K가 쏘는 90mm 날탄에도 완벽한 방호가 어렵다. === 고무 플레이트 === 차체 전면에 붙어있는 고무제 플레이트로 각종 파편이나 먼지를 차단하거나 또는 기관포와 폭발압력에 의한 생존성을 어느정도 구축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천마-214 이후로 개량된 [[폭풍호]]와 [[선군호]]에도 역시나 이 고무 플레이트는 기본으로 장착되어있다. === 측면 고무 플레이트 === 측면에도 고무 플레이트가 장착되었는데 처음에는 [[T-90]]에 주로 붙어있는 측면 3계단형 증설장갑과 유사한 강판형 장갑으로 추정되었으나 전면에 붙어있는 고무 플레이트와 질감이 유사하고 굉장히 얇다는 점을 볼때 이 역시 전측면부분 피탄에 대응하기위한 고무 플레이트를 증설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대적인 화력무기가 난무하는 이 시대에는 저게 과연 얼마나 좋은 방호성능을 제공해줄지는 의문이다. == 전체적인 분석 == [[파일:external/www.armyrecognition.com/T-62_main_battle_tank_Russia_Russian_army_defense_industry_military_technology_005.jpg]] 차체가 증축되어 [[보기륜]]이 6조가 된 [[폭풍호]]와 조종수가 [[T-72]]처럼 차체전면 가운데에 탑승하는 형식으로 바뀌어서 아예 새로 개발한 차체로 보이는 [[선군호]]와 달리 그나마(...) [[T-62]]의 원형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최후의 [[천마호]]개량형으로 보고있다. 물론 북한내에서는 [[폭풍호]] 역시나 천마-215/216으로 분류되어 T-62의 북한판인 천마호에 속하지만 북한 외 국가들에서는 외형적으로만 놓고봤을땐 그 누구도 저것을 T-62라고 보질 않는다(...) 물론 기술적 증진은 거의 없기때문에 천마-214나 [[폭풍호]], [[선군호]]나 성능은 눈에 뻔하긴 하지만 전체적인 개량점을 분석하자면 위 사진에 나온 것처럼 T-62의 현대화버전인 T-62M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T-62M과 달리 향상된 연막탄체계와 사격통제장치가 탑재되지않고 기존의 천마호(T-62) 원판 장비를 그대로 사용한 점, 또 포탑이 서방형으로 각져지고 후부가 늘어나서 여유탄약고나 추가장비 탑재 또는 위치이동이 추정되는 점을 봤을때 시기상으로 비교한 것일뿐 천마-98/214와 T-62M도 결국엔 똑같은 전차를 이용한 개량형이라는 것 외에는 공통점이 거의없다. 다만 [[북한]]의 [[천마-98/214]]와 [[러시아]]의 [[T-62|T-62M]]의 설계사상은 딱 구분되는데, 전자의 경우 기술과 자금이 없어서(...) 구식전차인 T-62를 극한으로 개량한 것이고 후자는 남아도는 구형전차인 T-62로 현대화를 시킨 물건이기 때문에 전자는 [[선군호|지금도 개량형이 나오고있지만]] 후자는 대외판매사업등에서 옵션으로 선택하는게 아닌 이상 자국군 제식용으로는 저 전차를 추가개량한 물건을 굳이 필요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게다가 기술적으로도 이미 T-62M보다 뒤떨어져 있을 것이 눈에 선하기 때문에 한국군 M48도 제대로 상대하기 어려울게 분명하다. == 관련 문서 == * [[천마호]] * [[폭풍호]] * [[선군호]] * [[T-62]] * [[조선인민군 육군]]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북한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조선인민군/장비]][[분류:2세대 전차]][[분류:주력 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