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곤 사토시 감독 애니메이션 작품)]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82A82 0%, #602D8E 20%, #602D8E 80%, #582A82)" {{{#ffffff ''' 천년여우의 주요 수상기록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white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 ||<-5> [[파일: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로고.svg|width=200]] || ||<-5> '''{{{#white 애니메이션 대상}}}''' || || '''제4회[br]([[2000년]])''' || {{{+1 → }}} || '''제5회[br]([[2001년]])''' || {{{+1 → }}} || '''제6회[br]([[2002년]])''' || || [[블러드 더 라스트 뱀파이어(극장 애니메이션)]] || {{{+1 → }}} || '''천년여우''' [br]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1 → }}} ||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 || ||<-5> || ---- ||<-5>
'''[[애니메이션 고베|{{{#e5d85c 역대 애니메이션 고베}}}]]''' || ||<-5> [[파일:external/i1.wp.com/kobe-2.png|width=200]] || ||<-5> {{{#e5d85c '''작품상 - 극장 부문'''}}} || || '''제7회[br]([[2002년]])''' || {{{+1 → }}} || '''제8회[br]([[2003년]])''' || {{{+1 → }}} || '''제9회[br]([[2004년]])''' || || [[고양이의 보은]] || {{{+1 → }}} || '''천년여우''' || {{{+1 → }}} || [[이노센스(애니메이션)|이노센스]] || ||<-5> || ---- }}} || ||<-2>
{{{#f9fb00 '''{{{+1 천년여우}}}''' (2001)[br]''[ruby(千年女優, ruby=せんねんじょゆう)]''[br]''Millennium Actres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천년여우.jpg|width=100%]]}}} || || '''{{{#f9fb00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멜로]], [[드라마]]}}} || || '''{{{#f9fb00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곤 사토시]]}}} || || '''{{{#f9fb00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곤 사토시]][br][[무라이 사다유키]]}}} || || '''{{{#f9fb00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키 타로}}} || || '''{{{#f9fb00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루야마 마사오(1941)|마루야마 마사오]]}}} || || '''{{{#f9fb00 목소리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리카사 후미코]], [[코야마 마미]], [[야마데라 코이치]] 등}}} || || '''{{{#f9fb00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시라이 히사오}}} || || '''{{{#f9fb00 캐릭터 디자인[br]총작화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혼다 타케시]]}}} || || '''{{{#f9fb00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테라우치 사토시}}} || || '''{{{#f9fb00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히라사와 스스무]]}}} || || '''{{{#f9fb00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케 노부타카}}} || || '''{{{#f9fb00 음향}}}''' ||{{{#!wiki style="margin: 0px 10px" [[미마 마사후미]]}}} || || '''{{{#f9fb00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매드하우스]]}}} || || '''{{{#f9fb00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Eleven Arts[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창 엔터테인먼트}}} || || '''{{{#f9fb00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he Klockworx[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Eleven Arts]][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무비즈 엔터테인먼트}}} || || '''{{{#f9fb00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2년]] [[9월 14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3년]] [[9월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4년]] [[7월 9일]]}}} || || '''{{{#f9fb00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 : 1}}} || || '''{{{#f9fb00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87분}}} || || '''{{{#f9fb00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262,891}}} || || '''{{{#f9fb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6028명}}} || || '''{{{#f9fb00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Google TV|[[파일:구글 TV 로고.svg|width=80]]]]}}}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9fb00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관람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width=40]]]]'''}}} || || '''{{{#f9fb00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www.madhouse.co.jp/works/2002-2001/works_movie_sennen.html|매드하우스 홈페이지 (일본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2년에 개봉한 [[콘 사토시]]의 장편 극장용 [[애니메이션]]. 제목 '천년여우'에서 여우는 ''''여배우''''를 뜻하며 '1000년에 걸친 사랑 이야기를 간직한 여배우'라는 뜻이다. 작중 여배우인 주인공 후지와라가 배우로서 [[전국시대]]부터 우주선이 나오는 [[SF]]까지 수많은 시대를 넘나드는 연기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 상세 == 본 작품은 과거 유명 여배우였으나 지금은 늙어 은퇴해 은둔하는 후지와라 치요코의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다큐멘터리 감독 타치바나 겐야와 촬영기사가 후지와라의 집을 찾아가 그녀의 이야기를 듣는 [[액자식 구성]]을 취한다. 특이한 점은 영상의 서술 방식으로, 회상(과거)과 현재, 현실 세계의 치요코와 영화에서 치요코가 맡은 배역, 액자 바깥의 이야기와 액자 안의 이야기의 경계면을 매우 모호하게 표현했다. 예를 들어 후지와라 치요코의 과거에 후지와라가 뛰어가는 장면이 나오면, 다큐멘터리 감독과 촬영기사가 그 안에서 함께 달리며 후지와라를 쫓아가고, 이내 갑자기 시대와 배경이 바뀌는 식. 급기야 다큐멘터리 감독은 회상 속 장면 중간중간에 적극적으로 끼어들어 치요코의 조력자 역할을 하기도 한다. 주인공 후지와라 치요코는 그녀가 출연하는 영화로 묘사되는 1950~60년대의 [[일본 영화]]의 리즈 시절에 유명하던 [[다카미네 히데코]], 다나카 기누요, 교 마치코 등의 여배우들의 이미지와 극히 흡사하나, 영화 배우를 은퇴하고 은둔 생활을 한다는 설정은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단골 여주인공 [[하라 세츠코]]의 실화와 극히 유사하다. 때문에 이들 모두가 감독의 후지와라 상 창조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된다. 각본가 [[무라이 사다유키]]의 작품색이 가장 강한 곤 사토시 작품으로 꼽힌다. 곤 사토시는 전작 [[퍼펙트 블루]]에서 무라이가 자신이 원하는대로 각본을 써줘 고마웠다고 한다. 그래서 이 작품은 기본 틀은 곤 사토시가 짰지만 무라이의 의견도 많이 들어줬다고 한다. 일부 영화를 오마주한 장면은 무라이가 좋아하는 영화를 선정한 것이라고 한다. [[https://www.b-ch.com/contents/feat_anitsubo/backnumber/vol_8/p01.html|#PC로 봐야 보인다.]] 무라이도 자신의 최고 명작으로 이 작품을 자주 거론한다. == 예고편 == ||
[youtube(6uA7dw5D-AA)] || || {{{#f9fb00 '''예고편'''}}} || ||
[youtube(mWGRmtTUkvg)] || || {{{#f9fb00 '''리마스터 예고편'''}}} || == 시놉시스 == ||
'''{{{#0177bd 천년에 걸친 사랑, 그 기억의 문이 열린다!}}}''' [br] {{{#0177bd 창립 70주년을 맞아 개축을 위해 촬영장을 철거하는 '은영' 영화사는[br]이를 기념하기 위해 전설적인 여배우 '후지와라 치요꼬'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을 '타찌바나 겐야' 에게 맡긴다. [br]평소 그녀의 작품을 수십 번이나 봤을 정도로 열혈 팬이었던 그는 그녀를 찾아 나선다.[br]그녀는 전성기를 누리던 30년 전 갑자기 은막 뒤로 사라진 뒤, 신비에 둘러싸여 온 인물.[br] [br]타찌바나는 어렵게 찾아낸 그녀에게 그녀가 잃어버린 추억의 열쇠를 내 놓으며 인터뷰를 시작한다.[br]그 열쇠는 소녀 시절 그녀가 한 남자에게 받았던 것이자 그녀의 평생을 이끌어온 운명이었다.[br] [br]1923년 관동대지진과 함께 태어난 치요꼬.[br]한참 국가가 전쟁에 몰두하고 있던 때, 그녀는 경찰에 쫓기고 있는 한 남자를 만난다.[br]부상 입은 그를 집에 숨겨주던 그날 밤 처음 만난 그에게 첫사랑을 느끼지만,[br]의문의 남자는 치요꼬를 다시 보지 못한 채 경찰을 피해 만주로 떠나버린다.[br]진정한 평화가 오면 고향의 밤하늘을 보여주겠다는 약속과 함께 '가장 소중한 것을 여는 열쇠'만 남긴 채.[br] [br]얼마 후 우연히 영화출연 제의가 들어오자 치요꼬는 그 제안에 순순히 응한다.[br]영화를 촬영하게 되는 만주에 그가 있다는 소식을 들었기 때문.[br]이때부터 그녀의 영화인생이 시작된다.[br] [br][[센고쿠 시대|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는 군주 또는 무사를,[br]에도 시대에는 반역죄인을,[br]막부 말에는 반역자로 몰린 개혁운동가를,[br]그를 처음 만난 1930년대 말에는 민권운동가를 사랑하는 여인으로,[br]치요꼬는 열쇠의 남자를 향한 사랑을 영화를 통해 더욱 키워나가는데...[br] [br]그녀가 갑자기 은막 뒤로 사라진 이유는 무엇이며,[br]그 열쇠의 남자와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br][br]출처: [[네이버 영화]]}}} || == 출연진 == * 후지와라 치요코(藤原千代子) 역 - [[오리카사 후미코]] / [[애비 트롯]](소녀), [[코야마 마미]] / [[에린 이베트]](중년), [[쇼우지 미요코]] / [[신디 로빈슨]](노년) * 그 남자(후지와라의 첫사랑) 역 - [[야마데라 코이치]] /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그레그 천]] * 타치바나 겐야(立花源也) 역 - [[사토 마사미치]](청년기), [[이이즈카 쇼조]](현재) / [[이장우(성우)|이장우]] * 이다 쿄지(井田恭二) 역 - [[오노사카 마사야]] /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벤저민 디스킨]] * 시마오 에이코(島尾詠子) 역 - [[츠다 쇼코]] / [[로라 포스트]] * 오타키 준이치(大滝諄一) 역 - [[스즈오키 히로타카]] / [[키스 실버스틴]] * 미노(美濃) 역 - [[카타오카 토미에]] * 치요코의 어머니 역 - [[쿄다 히사코]] * 긴에이 전무(銀映専務) 역 - [[토쿠마루 칸]] == 스태프 == * 기획: [[마루야마 마사오(1941)|마루야마 마사오]] * 원안: [[곤 사토시]] * 각본: [[무라이 사다유키]], [[곤 사토시]] * 콘티: [[곤 사토시]] * 연출: [[마츠오 코우]] * 캐릭터 디자인: [[혼다 타케시]], [[곤 사토시]] * 메인 작화 감독: [[혼다 타케시]] * 작화 감독: [[이노우에 토시유키]], [[하마스 히데키]], [[코니시 켄이치]], 후루야 쇼코 * 원화: [[미하라 미치오]], [[아라이 코이치]], [[니시오 테츠야]], [[오오츠카 신지]], 세오 야스히로, [[이노우에 토시유키]], [[하마스 히데키]], [[코니시 켄이치]], [[나카야마 카츠이치]], [[호리우치 히로유키]], [[미야자와 야스노리]], 후루야 쇼코 등 * 미술 감독: 이케 노부타카 * 촬영 감독: 시라이 히사오 * 음악: [[히라사와 스스무]] * 음향 감독: [[미마 마사후미]]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영화는 치요코의 SF 영화를 보는 타치바나의 시점에서 시작한다. 우주선이 카운트다운을 마치고 엔진이 점화되는 순간, 영화 밖의 현실에선 지진이 발생한다. 지진이 멎자 타치바나는 그의 촬영기사와 함께 치요코의 다큐멘터리를 촬영하기 위해 출발한다. 은영 영화사의 창립 70주년과 촬영장 철거를 기념하기 위하여, 스튜디오 로투스[* 연꽃이란 뜻이다.]의 사장 타치바나 겐야는 그의 촬영기사와 함께 전설적인 스타 여배우 후지와라 치요코의 일생을 담은 다큐멘터리 제작을 기획한다. 치요코는 은영 영화사에서 수십년간 스타 배우로 군림해 왔으나, 30년 전 돌연 배우를 은퇴하고 은둔 생활을 하고 있었다. 타치바나와 그의 촬영기사는 인터뷰를 위해 치요코의 자택에 방문한다. 치요코를 만난 타치바나는 그녀에게 낡은 열쇠 하나를 건네고, 치요코는 그 열쇠는 자신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었다며 열쇠에 얽힌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1926년 [[관동 대지진]]이 일어난 직후에 태어난 치요코는 큰 가게를 운영하던 친가 덕에 혼란스럽던 정세와는 상관없이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었다. 어렸을 적 일본은 [[중일전쟁]], 무모한 [[태평양 전쟁|전쟁]]으로 사회 분위기가 [[파시즘]]으로 물들어갔으나 자신은 전쟁엔 관심이 없었고 소녀 잡지에 나오는 왕자를 만나기만을 기다렸다고 한다. 전쟁이 계속되는 어느 겨울날, 치요코는 일본 경찰에게 쫓기는 어느 한 남자와 부딪친다. 얼굴에 흉터가 있는 경찰은 치요코에게 그 남자가 도망친 방향을 묻지만, 치요코는 방향을 반대로 알려주고 그 남자를 자신의 집에 숨겨준다. 자신을 화가라고 밝힌 남자는 전쟁이 끝나고 평화가 찾아오면 고향에 가서 그림을 완성할 것이라고 말한다. 지금은 [[만주]]에서 동지들이 싸우고 있다며 치요코와 훗날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한다. 다음 날, 치요코는 눈 덮인 길바닥에서 그 남자가 목걸이로 맸던 열쇠[* [[이젤]] 가방을 여는 열쇠이다.]를 발견한다. 치요코의 집에는 경찰들이 들이닥쳐 반란군을 찾는데, 치요코의 하인이 몰래 그 남자는 역으로 무사히 도망쳤다며 귀띔해준다. 치요코는 역으로 달려가지만 기차를 놓쳐 그 남자와 이별하게 된다. 이후 그 남자에게 열쇠를 전해주기 위해 만주가 무대인 영화에 배우로 지원하여 연기를 시작한다. 만주로 간 치요코는 당시 은영 영화사의 간판 스타 시마오 에이코, 영화 감독 오타키와 함께 영화 촬영을 한다. 치요코는 그 남자를 찾겠다는 마음으로 배역에 몰두하여 열연한다. 한편 치요코의 사연을 들은 에이코는 치요코에게 점쟁이를 한명 소개하고, 그 점쟁이는 치요코가 찾는 남자가 북만주에 있다고 말한다. 치요코는 기차를 타고 북만주로 가지만 도적떼의 습격을 받아 열차가 탈선한다. 치요코가 열차 문을 여는 순간 장면은 근대에서 전국시대로 전환되고, 이때부터 영화 속에서 치요코가 맡은 배역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된다. 전쟁이 끝난 이후 그 남자의 행적은 더 이상 찾을 수 없었지만, 치요코는 그 남자가 자신의 영화를 볼 거라는 생각에 많은 작품에 출연하여 커리어를 쌓아간다. 이때 젊은 시절의 타치바나가 치요코와 함께 은영 영화사에서 견습생으로 일했다는 것이 드러난다.[* 타치바나가 무명이었기에 치요코는 타치바나를 초면으로 인식했다.] 한편 오타키는 치요코에게 작업을 걸지만 치요코는 그 남자를 잊지 못하였기에 계속 독신으로 살아간다. 그러던 어느 날, 치요코가 영화를 찍던 도중 에이코가 치요코의 열쇠를 몰래 훔쳐가는 사건이 발생한다. 열쇠를 잃어버린 계기로 치요코는 결국 오타키와 결혼한다. 그러나 치요코가 오타키의 방을 청소하던 도중 잃어버린 열쇠를 발견한다. 오타키가 인기 여배우와 결혼하기 위해 치요코를 질투하던 에이코에게 열쇠를 훔쳐달라고 사주한 것. 또한 상술한 만주 점쟁이의 점술도 에이코가 점쟁이와 짜고 친 거라는게 밝혀진다.[* 이후 치요코와 오타키의 관계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으나, 치요코가 30년간 혼자 살았다는 말로 볼 때 이혼했거나 별거중인 듯.] 한편 치요코를 만나고 싶다는 손님이 들어온다. 그는 다름아닌 '그 남자'를 쫓던, 얼굴에 흉터가 있는 경찰이었다. 그 경찰은 치요코에게 사죄하며 그 남자가 치요코에게 전해달라고 준 편지를 전달한다. 편지에는 "전쟁이 끝나면 고향 홋카이도에서 그림을 그릴 것"이라며 약속한 그곳에서 보자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치요코는 바로 홋카이도로 달려가지만 그 남자는 여전히 없었다. 장면은 맨 처음의 우주선 발사 장면으로 전환된다. 치요코가 탄 우주선이 발사되려는 순간 영화 세트장이 지진으로 무너지고, 치요코가 잔해에 깔릴 위기에 처하자 타치바나가 구해준다. 이때 치요코는 우주복 헬멧에 비친 노파의 모습을 보고 무언가 깨달은 듯이 촬영장을 빠져나간다. 이 사건을 이후로 치요코는 영화계에서 은퇴하고 30년간의 은둔 생활을 한다. 왜 은둔 생활을 했냐는 타치바나의 질문에, 치요코는 이미 자신이 그 남자가 기억하는 모습이 아닐 만큼 늙어버렸기 때문이라고 대답한다. 치요코를 증오하며 저주를 걸던 노파는 바로 늙어버린 치요코 자기 자신인 것이다. 이후 병세가 악화된 치요코는 병원으로 실려간다. 치요코의 병원으로 가는 타치바나는 그 경찰이 자신에게 한 말을 회상한다. 그 경찰이 말하길, 사실 치요코가 찾는 남자는 자신에게 모진 고문을 받아 수십년전에 죽었다고. 즉 치요코는 수십년간 죽은 사람을 찾아 헤맨 것이다. 죽을 날이 머지않음을 깨달은 치요코는, 타치바나의 마지막 대화에서 사실 그를 만나지 않아도 괜찮다고 말한다. 장면은 다시 우주선 발사 장면으로 전환된다. 우주선에 탄 치요코는 "사실 그를 쫓는 나 자신이 좋았다"는 말을 남기고, 우주선이 우주를 가르며 나아가는 장면으로 끝이 난다. == 사운드트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9ZR3m4Jd5g)]}}} || || {{{#f9fb00 '''엔딩 테마곡 '로타티온(LOTUS-2)'[* '로테이션'이 아니다. 원제가 'ロタティオン(LOTUS-2)'이므로 '로타티온'이 맞다.]'''}}} || [[파프리카(애니메이션)]]로 유명한 곤 사토시의 작품을 전담하는 일본의 뮤지션 [[히라사와 스스무]]가 모든 음악을 담당하였다. 완성된 음악은 작품의 분위기와 잘 맞아 떨어져 스토리를 리드해 나가기까지 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엔딩으로 들어간 Rotation(LOTUS-2)도 훌륭하다.[* ロタティオン(LOTUS-2)은 원래 제목에 괄호가 들어간다. 히라사와 스스무 본인의 1995년 노래 lotus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 lotus-2라고 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millennium-actress, critic=70, user=7.7)]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millennium_actress_2001, tomato=93, popcorn=90)] [include(틀:평가/IMDb, code=tt0291350, user=7.9)]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millennium-actress, user=4.2, list=Letterboxd Top 250, rank=233)]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41241, presse=4.7, spectateurs=3.9)]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41900, user=7.736)]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239231, user=3.9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1544, user=8.4)]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307394, user=8.7)]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qJnXO, user=3.5)]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37969, light=88.24)]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33652,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8.30)]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33603, expert=없음, user=7.5)]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15372, user=4.0)] [include(틀:평가/MRQE, code=sennen-joyu-m100014451, critic=72, user=없음)] > The story of an aging movie actress' complicated personal saga unfolds in this sophisticated anime film that deftly blurs memory and make-believe into a meditation on the nature of cinema itself. > '''능수능란하게 기억을 흐릿하게 하고 영화 자체의 본질에 대한 명상을 하게 만드는, 이 정교한 애니메이션 영화 속에서 나이 들어가는 전설적인 여배우의 복잡한 개인적 삶의 일대기가 펼쳐진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천년의 사랑, 멜로 애니메이션의 새 지평이 보인다.''' >---- >[[박평식]] (★★★☆) >'''‘사랑밖에 난 몰라’가 과연 ‘인간-여자’를 얼마나 보여줄까?''' >---- >유지나 (★★★☆) >'''‘왜 애니메이션인가’란 질문에 ‘왜 애니메이션이면 안 되나’로 답한다.''' >---- >[[이동진]] (★★★) >'''그 불가능한 사랑이 인생 같고 영화 같고 폼도 나고...''' >---- >임범 (★★★★) 능수능란한 편집과 연출, 뛰어난 각본이 빛나는 작품이다. 곤 사토시의 천재적인 화면 구성은 여기서도 빛을 발해, 시간대가 계속 왔다갔다하고 화면에 보이는 것이 어떤 시점인지 모호하게 표현되었음에도 극이 물흐르듯 진행되며, 오히려 이 산만해질 수 있는 구성이 더욱 감정을 깊게 전달해줘 관객으로 하여금 주인공에게 더 이입하게 만든다. 특히 후반의 치요코가 편지를 받고 달리는 부분에서 이러한 편집의 힘이 폭발한다.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262,891''' || '''(기준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262,891''' || 미정 || 한국에는 2004년에 소리소문 없이 개봉했는데 전국 10개 극장에서 6028명이 관람했다. == 수상 및 후보 == * 제5회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애니메이션 대상 '''수상''' * 제8회 [[애니메이션 고베]] 작품상 극장 부문 '''수상''' * 제34회 [[시체스 영화제]] 오리엔탈 익스프레스 - 최우수작품상 '''수상''' * 제26회 브졸국제아시아영화제 Liberty, Equality, Creativity 후보 == 2차 매체 == 2003년 2월 일본에 [[DVD]]를 발매했다. 초회 생산 한정판 컬렉션 박스와 일반판의 2종으로 발매했으며 정가는 13440엔, 5040엔이다. 컬렉션 박스는 본편과 서플의 2 디스크 사양으로, 감독이 직접 일러스트를 그린 수납 박스와 오디오 코멘터리가 수록되었다. 본편의 일본어 & 영어 자막 수록, 이외 콘티, 설정집과 해설서, 포스트 카드 북 등이 들어간 호화 사양이라 재고 소진 후에는 프리미엄이 붙어 일본내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상태다. 한국에는 2004년 8월에 일본판 컬렉션 박스의 디스크 구성대로 2 디스크 사양의 DVD가 정식 발매했다. 디스크수 외에는 모두 일반판과 동일한 사양이라 2013년 시점에도 별다른 프리미엄은 붙지 않아 가격대가 높게 거래되거나 하지는 않지만 재고가 거의 소진되어 구하기 쉽지 않다. 2014년 2월 21일, 일본에 [[블루레이]]를 발매했다. 정가는 6090엔으로, 디스크 한 장에 본편 외에도 극장 예고편이나 TV 스팟 등의 특전 영상과 함께 DVD 컬렉션 박스에만 수록된 오디오 코멘터리도 포함되었다. 단, 컬렉션 박스의 특전 디스크에 수록된 메이킹 영상은 제외됐다. 본편, 특전 모두 일본어를 포함 어떤 자막도 지원되지 않으나 곤의 장편 작품 중 마지막으로 BD화 된 덕에[* 홍보 문구에 따르면 천년여우는 곤 사토시 애니메이션 중 [[4K]] 복원으로 나온 케이스다. 퍼펙트 블루나 크리스마스에서 기적을 만날 확률, 파프리카는 블루레이 초기 구형 HD 마스터로 나온지라 지금 시점에서는 화질이 애매한 부분이 많다.] 곤의 작품을 담은 BD 중 영상, 음성에 걸쳐 최상급의 퀄리티를 보여준다. == 기타 == * 영화 중간에 나오는 물레 돌리는 예언자 노파는 [[거미집의 성]]에 나오는 예언자를 그대로 오마주한 것.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25795|출처]] 이 밖에도 일본 고전 영화에서 오마주한 장면이 많다. [[https://www.youtube.com/watch?v=8_S0rLrxdS0|유튜브 영상]] * 곤 사토시 애니메이션 중 유일하게 한국어 더빙이 이뤄진 작품이었으나 나중에 [[도쿄 갓파더즈]]도 더빙되면서 유이한 더빙 작품이 되었다. 다만 성우들이 [[강수진(KBS 성우)|강수진]]이나 [[이장우(성우)|이장우]]를 제외하고 정보가 없다. == 외부 링크 == * [[https://www.imdb.com/title/tt0291350/?ref_=nv_sr_srsg_3|IMDb]]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1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로맨스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