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척수'''([[脊]][[髓]], Spinal cord)는 [[척추]] 내에 위치한 중추신경의 일부분이다. == 역할 == 말초[[신경]]을 통해서 들어오는 모든 감각신호들을 받아들여 신호를 판단하는 [[뇌]]로 보내거나, 뇌에서 신호를 판단/분석한 뒤 신체반응을 어떻게 해야할지를 말초신경에 흥분신호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뇌를 거치지 않고 자체적으로 신호를 판단해서 순간적인 자극에 대해 반사운동을 하게 하는 중추기관이다.[* 머리 쪽의 무조건반사는 주로 [[연수(뇌)|연수]]가 맡는다.] 척수는 뇌로 말초신경의 신호를 전해주는 [[신경계]]의 중추기관이기 때문에 [[두개골]]로 보호받는 뇌처럼 기다란 [[척추]] 안에 위치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온몸에 퍼져있는 수많은 교감신경들은 대부분 직간접적으로 척수와 연결되어있다. 이 교감신경들은 뇌줄기나 척수 끝부분과 연결되어있는 부교감신경과 서로 [[길항작용]] 관계에 있어서, 한쪽이 흥분하면 다른 쪽도 반응하여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척수가 손상이 되면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전신마비]]나 [[하반신마비]]를 겪게 될 수 있다. 팔+다리 or 다리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배변 기능을 상실한다. 척수가 절단되면 경우에 따라 그게 원인이 되어 사망할 수도 있다. 척추동물의 배[[신경삭]](Dorsal nerve cord)으로 척추나 척삭처럼 등쪽에 위치하지만 절지류나 환영동물들은 복신경삭(Ventral nerve cord)이기 때문에 척수에 해당하는 중추신경이 배쪽에 있다. 동물의 척수는 식재료로도 사용하는데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은 [[감자탕]]이나 [[뼈해장국]]의 돼지 등뼈에 붙은 척수를 먹는 것이다. == 척수의 신경로 == === 오름신경로(Ascending tract) === 오름신경로는 말초에서 뇌(대뇌, 소뇌 등)로 올라가는 신경로이며, 감각신경로이다. 아래 서술한 신경로 외에도, Spinotectal tract, Spino-olivary tract 등이 존재한다. ==== 뒤기둥 안쪽섬유띠로(DCML, Dorsal-Column Medial Lemniscus pathway) ==== 3개의 뉴런으로 이루어진 신경로이며, 진동, 분별 감각, 고유수용감각(proprioception)을 대뇌 피질에 전달한다. * 1차뉴런은 감각신경절에서 시작하여 척수 백색질의 dorsal funiculus, 연수의 dorsal column으로 이어진다. * 2차뉴런은 연수의 dorsal column에서 시작하여 medial lemniscus에서 교차(decussation)이 일어나며, 시상의 [[시상(뇌)#s-3|배쪽뒤가쪽핵]](VPL, ventral posterolateral nucleus)으로 이어진다. * 3차뉴런은 시상의 VPL에서 시작하여, 대뇌의 몸감각피질(somatosensory cortex)로 이어진다. ==== 척수시상로(Spinothalamic tract) ==== 3개의 뉴런으로 이루어진 신경로이며, 앞쪽척수시상로(anterior spinothalamic tract)와 가쪽척수시상로(lateral spinothalamic tract)가 있다. 이들은 척수에서 교차가 이루어지며, 시상의 VPL을 거쳐 대뇌의 somatosensory cortex에서 끝난다. * 앞쪽척수시상로는 주로 가벼운 터치를 대뇌 피질에 전달한다. * 가쪽척수시상로는 주로 고통과 온도 감각을 각각 대뇌 피질에 전달한다. 1차뉴런이 감각신경절에서 척수로 들어갈 때 리사우어 신경로(Lissauer's tract)를 거친다. ==== 척수소뇌로(Spinocerebellar tract) ==== 척수에서 시작되어 소뇌 피질에서 끝나는 신경로이며, 앞쪽척수소뇌로(anterior spinocerebellar tract)와 뒤쪽척수소뇌로(posterior spinocerebellar tract)가 있다. * 앞쪽척수소뇌로는 2번 교차하며, 위소뇌다리(superior cerebellar peduncle)을 통해 소뇌로 들어간다. * 뒤쪽척수소뇌로는 교차하지 않으며, 아래소뇌다리(inferior cerebellar peduncle)을 통해 소뇌로 들어간다. 두 신경로는 2번 교차하거나 교차하지 않으므로, 결국 동측의 감각을 전달하게 된다. === 내림신경로(Descending tract) === 아래 서술한 신경로 외에도 Tectospinal tract, Rubrospinal tract, Vestibulospinal tract, Reticulospinal tract 등이 존재한다. ====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 피질에서 척수로 이어지는 위운동신경세포(upper motor neuron)와 척수에서 근육 등의 작용기(effector)로 이어지는 아래운동신경세포(lower motor neuron)로 구성되어있다. 외측피질척수로(lateral corticospinal tract)와 내측피질척수로(anterior corticospinal tract)가 있다. * 외측피질척수로는 대부분의 수의운동에 관여한다. 연수의 피라미드(pyramid)에서 교차하므로, pyramidal tract라고도 부른다. * 내측피질척수로는 척수에서 교차한다. [[분류:신경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