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고사성어|{{{#FFFFFF 고사성어}}}]]|| ||<:>{{{+5 '''[[倜]]'''}}} ||<:>{{{+5 '''[[儻]]'''}}}||<:>{{{+5 '''[[不]]'''}}}||<:>{{{+5 '''[[羈]]'''}}}|| ||<:>기개있을 척||<:>빼어날 당||<:>아니 불||<:>굴레 기|| ||<-3> '''언어별 명칭''' || || 중국어 ||<-2>Tìtǎng bùjī|| || 일본어 ||<-2>てきとうふき(덴키토후키) || [목차] == 의미 == 기개(氣槪)가 있고, 뜻이 커서 남에게 눌려지내지 않음을 이르는 말 == 출전 == > [[耽]][[字]][[彥]]道,少有[[才]][[氣]],'''俶[[儻]]不[[羈]]''',[[爲]][[士]][[類]][[所]][[稱]]。(탐자언도, 소유재기, 척당불기, 위사류소칭) > 탐은 [[자(이름)|자]]가 언도로 젊을 적 재기가 있고, 호방하고 세속에 구애되지 않아 선비들에게 칭송 받았다. > ----- > [[진서]] 원탐전([[袁]]耽[[傳]]) [[진서]] 원탐전에서는 [[倜]] 대신에 俶으로 쓰여 있는데 이 때는 '비로소 숙'이 아니라 '기재있을 척'으로 읽으며 俶儻(척당)과 倜儻(척당)은 같은 뜻이다. [[원탐]]은 생몰연월이 불명이지만 [[원환]]의 증손자이자 [[원소(삼국지)]]의 먼 친척의 손자이지만 실수로 중요 내용을 누락한 보고를 올려 조정을 뒤집어놓은 죄로 면직당하고 얼마 안가 요절했다. == 여담 == 사용된 한자도 좀 어려운, 다소 생소한 사자성어인데, [[경남기업 회장 자살 사건]]에서 저 한자성어가 적힌 액자가 [[홍준표]] 의원 사무실에 있었느냐 아니면 [[한나라당]] 대표 사무실에 있었느냐가 논란이 되는 바람에 화제가 되었다. 2017년 12월 22일, [[http://v.media.daum.net/v/20171222142443486|대법원에서 성완종 리스트에 대한 고등법원의 무죄판결을 최종 확정하였지만,....]]. [[http://newstapa.org/42957|하지만 ‘홍준표 1억’을 뒷받침하는 척당불기’ 동영상 발견이 되었다]]. 이에 대한 질문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784991|홍준표: "MBC가 참 이상해졌네"]](...)[* 원본 영상 위치는 [[http://imnews.imbc.com/fullmovie/fullmovie01/2672616_6446.html|이곳]]이지만 원 기사는 [[Internet Explorer]]에서만 기사를 볼 수 있으며 영상은 현재 접근불가 상태이다. 현재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214&aid=0000149382|네이버 기사]]로만 볼 수 있으며 마지막 부분인 6분에 나온다. ~~벌써 성지순례 댓글들이 달리고 있다...~~] 적당불기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분류:한자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