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격의 종류)] == 개요 == {{{+1 [[處]][[格]] / Locative}}} || '''처소, 시간적·공간적 범위, 지향점 따위를 나타내는 격.''' || || [[출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6943600|네이버 국어사전]] || 처소·방향·원인·유래 등을 나타내는 체언이 가지는 격으로 한국어'''에'''는 ‘에, 에서’ 가 쓰인다. 처격은 보통 무정물 [[명사(품사)|명사]]에 쓰이지만 여격은 유정물 명사에 쓰인다. 행위의 위치나 장소 등을 지시하는 격이기도 하다. == 각 언어별의 처격 == === 한국어 === '에', '에서' 등이 쓰인다. ‘에서’ 는 후치사 ‘서’ 가 첨가되어 형성된 것으로 분석하는 학자들도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처격의 고유 형태는 '에' 밖에 없다. === 일본어 === 일본어에서는 に, で가 처격의 역할을 한다. === 러시아어 === 러시아어의 처격은 사실상 전치격에 통합되었거나 사라졌기에 독립된 격으로 보지는 않는다. 예외적으로 снег, рай 등 150여 개의 남성명사의 경우와 дверь 등 극소수의 여성명사의 경우 в나 на 뒤에서 처격으로 곡용된다. 'лес(숲)'의 곡용을 예로 들자면 'о ле́се'(전치격) - 'в лесу́'(처격). 또한 강세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дверь(문)'를 예로 들자면, 전치격에서는 'две́ри'지만 처격에서는 'двери́'로 발음한다. [[분류: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