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책바다/bookbada.jpg|align=right]] [목차] == 개요 == '''책바다 국가상호대차서비스''' [[https://books.nl.go.kr/PU/contents/P10100000000.do]]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도서 [[상호대차]] 서비스. 한 마디로 줄이자면, 자기 지역 도서관에 원하는 책이 없을 때 타 도서관의 책을 택배로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물론 집 앞까지 배달해 주는 것은 아니고, 자기 지역 도서관으로 배달된다. 공공도서관이라면 대부분 이용 가능하며, 대학도서관도 이용할 수 있으나 네임드 대학에서는 잘 참여하지 않는다. [[https://books.nl.go.kr/PU/contents/P40402000000.do|공공도서관]]과 [[http://etc.riss.kr/libn_ch/ill/organ_nlk_lending.jsp|대학도서관]] 참여 목록. 2007년부터 '국가표준상호대차서비스'라는 이름으로 프로젝트가 시작, 2008년 1월 15일부터 서울의 25개 공공도서관을 비롯해 광역시/도 8개 공공도서관과 함께 국가표준상호대차서비스제를 먼저 도입했고, 그해 4월 1일부터 시행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18년부터 홈페이지가 개편되었다. == 상세 == [[파일:attachment/nils.jpg|width=500]] 이용료는 1건당 5,200원이다. 단, 일부 지역 도서관에서는 각 지자체에서 3,000원~3,700원을 보조해 줘서 1,500원~2,2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장애인]]의 경우는 [[무료]]이다. 1인당 최대 3권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14일 동안 대출/열람할 수 있고 7일 연장 가능하다.(대학도서관은 연장불가) 연체 3회시 (또는 3권 동시 연체시) 6개월간 이용이 정지되므로 주의하자. 관외 대출시 사진속의 가방에 담아서 주며, 반납할 때도 그 가방에 담아서 반납한다. [[네이버]]에서 협찬해 준 가방인데, 도서관에 따라서 [[택배]] 주고받는 단계에서만 쓰는 곳도 있으니까 큰 기대는 하지 말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신청을 해야하는데, 도서관 및 책바다 회원가입 후 자신이 다니는 도서관 [[사서(직업)|사서]]의 승인이 떨어져야 이용이 가능하다. 보통 1주일 내에 승인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 늦어지는 경우는 전화해보자. 책바다를 자주 쓰는 게 아니다 보니까 매일 홈페이지를 체크하지 않아서 신청이 들어온지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지어 이 홈페이지를 체크하려고 해도 [[암드립|암세포가 마구 생긴다]]. 그래도 도서관에 직접 전화해서 승인을 부탁하면 금방 해준다.] 일단 상호대차 신청을 한 이후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도서 수령 도서관의 담당 사서가 대출 요청 승인 1. 도서 제공 도서관의 담당 사서가 확인 후 제공 승인 1. 만일 도서가 대출/분실/수선/제적 등의 이유로 제공 불가능한 경우, 그 다음으로 가까운 도서관에 자동 대출 요청 1. 책을 보내줄 수 있는 도서관에서 제공이 승인되면, 택배로 발송 (그렇기 때문에 연휴나 주말이 끼면 늦어진다.) 1. 수령 도서관에 도착하면 수령 확인. 수령 전산 처리가 끝나야 이용자에게 문자가 간다. 꽤 복잡하고, 일반적으로 잘 이용하지 않는 서비스인지라 중간 과정에서 늦어지기 일쑤다. 때문에 성격이 급한 이용자의 경우 해당 도서관에 직접 전화를 하기도. 또한 인기도서의 경우 처음에 지정한 도서관에서 빌릴 수 있을 확률은 극히 낮고, 계속 제공 불가능이 뜨면 다른 도시에 있는 도서관까지 내려가야 한다. 그러므로 오 내가 찾는 책이 다 ㅇㅇ도서관에 있네? 묶음배송 시키면 되겠군! 이라는 희망은 일찌감치 버리는 게 좋다.. 대출기간은 신청지 도서관에 도착한 날로부터 14일이고, 책이 도착하면 도착안내와 반납일을 문자로 알려준다. 대학도서관을 제외한 공공도서관 자료의 경우 연장도 할 수 있다. 연장이 되는지 안 되는지 잘 모르겠으면 신청내역에서 연장신청 버튼이 활성화 되어 있는지 보면 된다. 그렇게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내려오다 보면 마지막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의 도서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는 관외대출은 할 수 없고, 열람만 가능하다. 이유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상호대차를 해야 한다는 것은 그 책이 '''국내 도서관에 딱 2권'''[* [[국립중앙도서관]] 납본 서적은 보통 2권. 하나는 열람용, 하나는 보존용. 매우 드물지만 그 2권 중 1권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긴 한데, 그렇게 되면 국립중앙도서관에서도 방문 전날에 예약하고 가야 열람이 가능하며, 책바다는 당연히 이용불가.] 있다는 거다! 판매 중인 책이 전국의 그 어느 다른 도서관에도 없고 [[국립중앙도서관]]에 2권만 있는 경우라도, 절대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대여를 해주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게 분실 위험을 원천봉쇄하는 것. 본래 목적이 보존이기 때문에 열람용인 책이 있더라도 대여를 해줄 수가 없다... 라는 이유. 그러므로 중앙도서관에서 대여할 수 있겠네?라는 순진한 꿈은 접자. [[분류:문헌정보학]][[분류: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