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10%, #004EA2 20%, #004EA2 30%, #004EA2)" '''{{{#ffffff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br]{{{+1 채이배}}}[br] 蔡利培 | Chae Yi-ba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채이배(더불어민주당).jpg|width=100%]]}}} || ||<|2> '''출생''' ||[[1975년]] [[1월 2일]][* 음력 [[1974년]] [[11월 20일]]] ([age(1975-01-02)]세) || ||[[전라북도]] [[군산시]] || || '''본관''' ||[[평강 채씨]] || || '''현직''' ||채이배 공인회계사사무소 회계사 || || '''링크''' ||[[http://doublechae.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m.facebook.com/justin.chae.5|[[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whej, 크기=20)] | [[https://blog.naver.com/cyber633|[[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군산경포국민학교 {{{-2 ([[졸업]])}}}[br]군산중학교 {{{-2 ([[졸업]])}}}[br][[계산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고대정대|정경대학]] {{{-2 ([[행정학]] / [[학사]])}}}[br][[방송통신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법학 / 학사)}}}[br] [[고려대학교]] 대학원 {{{-2 ([[법학]][* 상법 전공] / [[석사]] 수료)}}} || || '''병역''' ||면제,,(심장수술),, || || '''신체''' ||172cm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20대 국회의원|20]]''' || || '''약력''' ||[[삼일회계법인]] [[대한민국 공인회계사|공인회계사]][br]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연구위원[br]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위원[br][[제20대 국회의원]] {{{-2 (비례대표 6번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제3정책조정위원장[br][[국민정책연구원]] 부원장[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br][[바른미래당]] 원내부대표[br][[바른미래당]] 당대표 비서실장[br][[바른미래당]] 정책위원회 의장[br][[국무총리비서실]] 공정경제특보 {{{-2 ([[김부겸|김부겸 총리]])}}}[br][[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br][[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 {{{-2 ([[김동연|김동연 도정]])}}}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회계사 및 정치인이다. [[장하성]] 교수의 추천으로 [[안철수]] 의원이 영입한 경제전문가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안철수 의원이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시장 낙선 후 해외로 출국한 이후, [[손학규]] 전 대표의 비서실장을 맡았다가 정책위의장으로 위촉되었다. 안철수 의원이 2020년 1월 귀국 후 손 전 대표와 갈등을 겪을 때 두 사람에 대해 실망했다며 정책위의장 직을 사임하고[[http://naver.me/5g7ENvtk|#]] 3월에 [[21대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하였다.[[http://naver.me/xs4Q7P0m|#]] == 생애 == === 정계 입문 이전 === 1975년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태어났다. 군산 경포초등학교, 군산중학교를 졸업하고 인천으로 전학을 갔다.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계산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 후,1993년 [[고려대학교]] 행정학과에 입학하여 졸업하였다. 졸업 후 [[회계사]] 시험에 합격하였으며, 이후 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로스쿨|법학대학원]] 석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대학 때 마당극 동아리 탈사랑우리에서 활동했고, 직장을 다니면서 종로에서 야학 씨알배움터에서 수학선생을 했다.[[http://naver.me/xpicmzlv|#]] [[삼일회계법인]] 회계사로 일했고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여 주목받았다. 재벌기업 투명성이나 내부거래 문제 등에 관해서 전문가이다. 경제민주화 관련 대기업 회계 분식과 비자금 은닉, 내부거래 흐름 등 경제 범죄에서는 가장 오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시민사회에서 인정받는 정치인이다. [[장하성]]과 [[김상조]] 등 재벌개혁세력의 핵심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삼성그룹]] 등 대표적 재벌뿐 아니라, 오랜 기간 베일에 쌓여있었던 [[태광그룹]] 관련 사안에 지속적인 발언을 이어왔는데 이는 2018년 태광그룹 총수의 [[황제 보석]]과 [[태광그룹/논란 및 사건 사고|여러 파장]]이 이어지면서 그의 선견지명이 회자되기도 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과거 [[진보신당]] 당적을 보유하고 있었다.[* [[http://naver.me/xpicmzlv|2008년 진보신당에서 활동하던(생략)]]] 제3지대 중도 계열 정당으로 옮겨서도 재벌 저격수로 활동하고 있는 그의 본래 성향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사실상 재벌 개혁에 있어서 채이배만큼 꾸준한 목소리를 내는 정치인은 의외로 드물다.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활동 === [[장하성]] 교수의 추천으로 2016년 3월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비례대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당선 안정권인 후보 6번이었다. 원래 [[이태규(정치인)|이태규]]가 이 자리에 들어가려 했으나 당규 위반 논란이 있어 채이배 후보가 6번으로 들어가고 이태규는 8번으로 들어갔다. 결과는 둘 다 나란히 넉넉하게 당선. [[http://naver.me/FuQLqdyC|#]] [[2016년]] [[4월 8일]] 방송된 [[KBS 1TV]] [[생방송 심야토론]]에서 채이배 후보가 제일 토론을 잘 했다는 평을 받았다. 나온 패널은 [[김성태(1954년 7월)|김성태]](새누리당 비례 8번), [[김현권]](더불어민주당 비례 6번), 채이배 본인, [[이정미(정치인)|이정미]](정의당 비례 1번) [[2016년]] [[4월 9일]]에 방송된 비례대표 후보 심야토론 프로그램에 나와 이름을 알렸다. 나온 패널은 [[김종석(1955)|김종석]](새누리당 비례 10번), [[최운열]](더불어민주당 비례 4번), 채이배 본인, [[박원석]](정의당 경기 수원시 정 후보)[* 다른 사람들은 다 20대 비례대표 의원이나 박원석 혼자 19대 비례대표이다.] 참고로 김종석과 최운열은 각각 홍익대,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로 당내 대표적인 경제통 소리를 듣는 사람들이다. 2016년 4월 13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이 약 26%의 높은 득표율을 올림으로써 넉넉하게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16년]] [[4월 19일]] [[조선비즈]]와 한 인터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19/2016041901108.html|기사1]]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19/2016041901315.html|기사2]] [[파일:external/af43eb388f14e9d373cf031b1e895acf7fdfc9527fa1e1dd0892c9b7a72e64e3.jpg]] 국회에 입성하여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여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다. 4년 내내 지하철과 버스로 출퇴근하고, 수행비서를 두지 않고 정책비서만 두었다.[[http://naver.me/Gp9UFiM8|#]] 2016년 [[12월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 국회 표결에서 감표위원으로 지명되어 개표과정을 확인한 후 [[스포일러|동료 의원들에게 개표결과를 손가락으로 전하는 모습이 화면에 잡혀 화제가 되었다.]] 2020년 3월 인터넷은행법 부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인터넷전문은행]] 대주주 요건을 완화하는 법률안인데, 채 의원이 줄곧 [[KT]]에 특혜를 주기 위한 법안이라고 강하게 반발하면서 반대토론까지 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0030516315676493|#]] 20대 국회에서 나온 유일한 본회의 반대토론을 통한 부결이었다. [[http://naver.me/5ZTPLtKw|#]] 하지만 4월 다시 국회 본회의에서 인터넷은행법이 안건에 올랐고 채 의원은 다시 반대 토론자로 나섰지만 이번에는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되어서 통과되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766844|#]]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불출마하였다. 불출마하면서 남은 정치후원원금 약 2억원을 사회복지단체에 기부하였다.[[http://naver.me/Fsk1UpTZ|#]] 정치자금을 정책연구에 올바르게 쓴 의원로 꼽히기도 했다.[[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689763#cb|#]] 총선 불출마를 택한 이후 제45회 한국공인회계사회(한공회) 회장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으며 기호 1번을 배정받았다.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0/05/20200525398721.html|#]] 그리고 국회의원 임기를 마친 후 공인회계사회 회장 선거에 출마하면서 정치적 중립을 지키기 위해 2020년 6월 1일 [[민생당]]을 탈당했다. [[https://twitter.com/cwhej/status/1267408458489323520?s=09|#]] 전직 국회의원이 뛰어들면서 한공회 회장 선거에 대한 관심이 올라갔다는 평이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finance/949639.html|#]] 6월 17일, 차기 한공회 회장 선거가 열렸다. 이번 선거에서는 전자투표제가 도입되면서 64.9%로 투표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데다가 40세 이하 회원들의 비중이 약 70%로 늘어났지만, 김영식 전 삼일회계법인 대표가 39.9%(4,638표)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최중경]]의 뒤를 잇게 되었고, 채 전 의원은 32.7%(3,800표)를 얻어 낙선했다. 그래도 보수적인 회계업계에서 작지는 않은 득표율이라는 평을 받았다. [[https://www.news1.kr/articles/?3969840|#]] [[http://www.hani.co.kr/arti/society/ngo/949847.html|#]] 11월 14일, [[금태섭]] 전 의원이 [[시대전환]]에 가서 강연하는 것을 주선하였고 같이 회동하였다.[[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110387757|#]] 11월 19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8월부터 차기 대선의 정책의제를 준비하기 위하여 [[김성식(1958)|김성식]] 전 의원, [[김관영]] 전 의원, [[민생당]] 소속 [[윤영일]] 전 의원 등과 싱크탱크 공공정책전략연구소를 출범했다고 밝혔다.[[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11192113015&code=910402|#]]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국민캠프(윤석열)|대선 캠프]] 합류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news.joins.com/article/24118763|#]] 그러나 [[극딜|"최근 윤 캠프는 중도 확장을 한다고 하면서, 윤 전 총장 행보는 보수·수구이고, 심지어 출마선언의 '공정과 상식'은 없고, 비상식적인 언행을 보이고 있다"]]며 캠프영입 보도에 강한 불쾌감을 표했고 윤석열 측의 [[언론플레이]]에 같이 놀아줄 시간이 없다며 직설적으로 거부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63939|#]] 2021년 10월 [[김부겸]] 당시 국무총리의 공정경제 특보로 임명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007143300001|#]] === [[더불어민주당]] 활동 === 2021년 12월 8일, 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지지를 위해 [[김관영]] 전 의원과 함께 [[더불어민주당]] 입당을 할 예정이란 보도가 나왔고, 실제로 더불어민주당으로 입당한다고 발표했다.[[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022560.html|#]] 2021년 12월 10일, 공식적으로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는데 같은 자리에 [[이재명]] 후보도 동석했다. 차기 총선에 출마한다면 고향인 [[군산시(선거구)|군산시]]에 출마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언론에서 출마가 점쳐진다는 보도가 여럿 나왔으며 경쟁자가 지역민 평가가 낮은 신영대와 인지도가 좋은 편인 김의겸뿐이기 때문이다. 2022년 3월 13일, [[더불어민주당]]의 [[20대 대선]] 패배 이후 꾸려진 비상대책위원회의 비상대책위원으로 선임되었다. 다음날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하여 대선 패배에 대하여 전적으로 [[문재인]] 대통령 탓을 하려던게 아니었는데 그 발언만 조명되면서 자신이 [[친문]]과 완전히 갈라선것처럼 그려져버렸다고 해명했다. 또한 [[연합뉴스TV]]에 출연해서는 청와대 출신 의원들의 집단 성명과 관련, "이렇게까지 집단적으로 하는 건 저도 좀 섭섭하다"면서 "반성과 사과에는 특별한 금기가 없어야 한다"며 "대선 패배는 당도 책임 있고 정부도 책임 있고 대통령이나 후보나 모두가 책임을 조금씩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317046152001|#]] [[2022년]] [[4월 29일]], [[송영길]] 전 대표가 경선 끝에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출마하게 되면서 공석이 된 [[계양구 을]]에서 열릴 [[2022년 6월 보궐선거|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었고, [[5월 3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출마 의지를 밝혔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504/113221874/1|#]] 그러나 결국 [[이재명]] 상임고문이 이 지역구에 전략공천을 받으면서 출마가 무산되었다. 2022년 10월 21일, [[경기도청]] 산하의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로 내정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1021069700061?input=1195m|#]] 2023년 8월 10일에 도와 도의회에 일자리재단 대표이사 사직서를 제출하였으며 31일에 사직하였다.[[https://v.daum.net/v/20230821113925935|#]] 사직 후 이번 제22대 총선에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 지역구에 출마할 것이라고 한다. == 사건사고 == === 보좌관의 성추행 === [[대한민국의 미투 운동]]에 있어서, [[19대 국회]] 시절 [[더불어민주당]] 쪽 의원실에서 근무하다가 채이배 의원실로 자리를 옮긴 보좌관이 19대 국회 시절 부하 보좌진을 성추행했다는 폭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채이배 의원은 [[2018년]] [[3월 6일]] 사실을 확인하고 대국민 사과를 한 뒤, 해당 보좌진을 면직 처리했다. [[http://news.donga.com/3/all/20180306/88970294/2|기사]] === [[채이배 의원 감금 사건|감금 피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채이배 의원 감금 사건)] == 기타 == * [[2018년]] [[3월 19일]] 부친 채명묵 씨가 별세하였다. [[https://news.v.daum.net/v/20180321043019018|기사]] * 전 국회 동료였던 [[표창원]]이 진행하는 [[MBC 표준FM]] [[뉴스 하이킥]]의 경제뉴스 코너에 고정 출연 중이다. 해당 코너는 본래 화요일이었다가 개편으로 월요일로 이동했다. * [[더불어민주당]]에서 단신라인으로 꼽힌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진보신당)] || 2008 - 2012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2012 - 2016 || 탈당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 - 2018 || 입당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018 - 2020 || 합당[*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생당)] || 2020 || 합당[* [[대안신당]], [[민주평화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2021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1 - 현재 || 입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6,355,572 (26.74%)''' || '''당선 (6번)''' || '''초선'''[* 2018.02.13 [[바른미래당]] 창당(신설합당)[br]2020.02.24 [[민생당]] 창당(신설합당)]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민생당)] [[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국민의당(2016년) 국회의원]][[분류:바른미래당 국회의원]][[분류:민생당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군산시 출신 인물]][[분류:1975년 출생]][[분류:평강 채씨]][[분류:공인회계사]][[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진보신당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