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드 핀더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18번}}}''' || || [[리치 힐]][br](2016) || {{{+1 →}}} || '''채드 핀더[br](2016~2020)''' || {{{+1 →}}} || [[미치 모어랜드]][br](2021)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4번}}}''' || || [[제이크 램]][br](2020) || {{{+1 →}}} || '''채드 핀더[br](2021)''' || {{{+1 →}}} || [[맷 데이비슨]][br](2022)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10번}}}''' || || [[마이크 알드레티]][br](2021) || {{{+1 →}}} || '''채드 핀더[br](2022)'''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Pinder.jpg|width=100%]]}}} || ||<-2> '''{{{+2 채드윅 허드슨 "채드" 핀더}}}[br]Chadwick Hudson "Chad" Pinder''' || ||<|2> '''출생''' ||[[1992년]] [[3월 29일]] ([age(1992-03-29)]세) || ||[[버지니아주|버지니아 주]] [[리치먼드(버지니아)|리치먼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포쿼슨 고등학교 -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 || '''신체''' ||188cm / 95kg || || '''포지션'''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유틸리티 플레이어]]'''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3 MLB 신인드래프트|2013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71번,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6~2022)''' || || '''등장곡''' ||Desperado - Rihanna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야구선수. 포지션은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유틸리티 플레이어]]. 포수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 출장을 기록했다. == 선수 경력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013 MLB 신인드래프트|2013년 드래프트]]에서 오클랜드에 2라운드로 지명받아 입단했다. 2016 시즌 데뷔하였고, 데뷔 시즌에는 22경기 .235/.273/.373의 슬래시라인을 기록하였다. 2017 시즌에는 .238/.292./457, 17홈런으로 이전 시즌보다 발전된 장타력을 보였고, 2018 시즌과 2019 시즌에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100경기 넘게 출장하였다. 2020년 단축시즌에는 부상으로 24경기 출장에 그쳤으며, .232/.295/.393의 슬래시라인을 기록했다. 2021 시즌에는 시즌 초 부상으로 빠졌다가 5월 14일 복귀하였으나 커리어로우 시즌을 보내고 있다. 7월 7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경기에서 9회말 2아웃 마지막 타석에서 내야 땅볼을 치고 전력질주하다가 햄스트링 부상을 입어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이 경기까지 성적은 .216/.269/.358이다. 8월 20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8번타자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며 복귀하였다. 9월 24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경기에서는 석 점 앞선 7회 말 2사 만루 상황에서 [[세스 브라운]]의 대타로 들어섰고, [[브룩스 레일리]]의 4구를 받아쳐 만루 홈런을 뽑아냈다. 개인 통산 두 번째 만루포이자 시즌 4호 홈런. 참고로 오클랜드의 타자가 대타 만루홈런을 때린 것은 2011년 스캇 사이즈모어 이후 무려 10년 만이라고 한다. 2022년 272만 5천 달러에 연봉조정을 완료했는데, 시즌 중반 핀더보다 연봉이 높던 [[엘비스 앤드루스]], [[스티븐 피스코티]], [[프랭키 몬타스]]가 모조리 팀을 떠나며 졸지에 팀 내 최고연봉자가 되었다. 2022 시즌 종료 후 FA가 되었다. 신시내티, 워싱턴과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지만 전부 방출됐다가 애틀란타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으나 승격에 대한 가능성이 없어보이자 은퇴를 선언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채드 핀더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6 ||<|7>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22 || 55 || 12 || 4 || 0 || 1 || 4 || 4 || 0 || 3 || 14 || .235 || .273 || .373 || .645 || -0.3 || -0.4 || || 2017 || 87 || 309 || 67 || 15 || 1 || 15 || 36 || 42 || 2 || 18 || 92 || .238 || .292 || .457 || .750 || 0.1 || 0.9 || || 2018 || 110 || 333 || 77 || 12 || 1 || 13 || 43 || 27 || 0 || 27 || 88 || .258 || .332 || .436 || .769 || 2.3 || 2.1 || || 2019 || 124 || 370 || 82 || 21 || 0 || 13 || 45 || 47 || 0 || 20 || 88 || .240 || .290 || .416 || .706 || 0.2 || 1.6 || || 2020 || 24 || 61 || 13 || 3 || 0 || 2 || 8 || 8 || 0 || 5 || 13 || .232 || .295 || .393 || .688 || 0.1 || 0.1 || || 2021 || 75 || 233 || 52 || 16 || 1 || 6 || 30 || 27 || 1 || 16 || 62 || .243 || .300 || .411 || .712 || 0.1 || 0.2 || || 2022 || 111 || 379 || 85 || 18 || 0 || 12 || 38 || 42 || 2 || 14 || 118 || .235 || .263 || .385 || .648 || -0.1 || -0.7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6시즌)''' || 553 || 1740 || 388 || 89 || 3 || 62 || 204 || 197 || 5 || 103 || 475 || .242 || .294 || .417 || .711 || 2.5 || 3.6 ||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2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2023년 은퇴]][[분류:리치먼드(버지니아 주) 출신 인물]][[분류: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