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켓]][[분류:장쩌민 시대]][[분류:쓰촨성의 사건사고]][[분류:1996년 재난]][[분류:폭발 사고]]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youtube(FBJ9ue6GKek)] [[https://en.wikipedia.org/wiki/Long_March_3B|위키피디아 항목]] 1996年长征三号乙火箭发射事故 (2·15事故) [[1996년]] [[2월 14일]]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쓰촨성]]에 있는 [[시창 위성발사센터|시창 우주센터]] 근처에서 일어난 대형 참사. 상업용 [[인공위성]]인 인텔셋 708호 위성을 정지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창정]] 3B가 고장으로 인해 옆으로 기울어져 주변 마을에 추락했다. == 상세 == [[파일:external/www.thespacereview.com/2326a1.jpg]] [[파일:external/www.thespacereview.com/2326b1.jpg]] 로켓은 Pad 2에서 발사되었으며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발사한 지 채 몇 초가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경로를 이탈하였고 그대로 민가에서 100m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 떨어졌다. [[http://www.thespacereview.com/article/2323/1|#]][[http://www.thespacereview.com/article/2326/1|#]] 최초 보도 당시 사상자는 200~500명으로 추정했지만 이후 중국 당국이 발사 전 주민을 대피시켰다고 정정했다. 이 사고로 6명이 사망하고 57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병원에 입원했다.[[http://military.people.com.cn/n1/2016/0218/c1011-28133914.html|#]][[http://military.people.com.cn/n1/2016/0218/c1011-28133914.html|#]] [[미국]]이나 [[소련]]도 [[우주경쟁]] 시대에 비슷한 규모 혹은 그 이상의 발사 실패를 여러 번 기록했다. 발사 직후 1m(…)를 떠올랐다가 그대로 주저앉아 '''폭발한''' 미국의 [[뱅가드 위성|뱅가드 발사체]]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다. 소련은 [[https://en.wikipedia.org/wiki/Nedelin_catastrophe|네델린 참사]]와 [[http://www.nytimes.com/1989/09/28/world/1980-soviet-rocket-accident-killed-50.html|플례셰츠크 참사]]로 수백 명[* 네델린 참사는 사망자 중에 전략 로켓군 사령관 [[미트로판 네델린]] 포병 상원수와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사령관 같은 고위급 인사들도 있었다.]이 사망한 전례가 있다. 우주개발에서 이러한 사고는 생각보다 흔하기 때문에 민간인 피해를 최대한 피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바닷가나 반경 수십 킬로미터 내에 아무도 살지 않는 황무지에 로켓 발사기지를 건설한다. 대표적으로 [[소련]]이 건설해서 현재 [[러시아]]가 쓰고 있는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는 반경 수백 킬로미터가 허허벌판이었고 몇 안 되는 거주자들은 모두 다른 곳으로 강제로 이주되었다. [[미국]]은 바닷가인 [[플로리다]] 해안에 [[케네디 우주센터|로켓 발사 기지를 따로 만들었고]] [[중국]]도 최초로 건설한 [[주취안 우주기지]]는 거주민이 없는 [[내몽골]] 사막 한가운데에 있지만 [[시창 위성발사센터|시창 우주기지]]는 [[중소결렬|중국-소련 관계가 아주 악화]]되었을 때 소련군의 공격범위를 피해서 내륙인 [[쓰촨성]]에서 급하게 만드느라 안전 문제는 크게 고려되지 않았다.[* [[중국-소련 국경분쟁]] 이후 중국은 소련과의 전면전을 염두에 두고 국가 중요시설을 소련과의 국경선에서 거리가 먼 내륙 지대로 급하게 이전하기 시작했다. 각종 무기공장, 과학기술연구기지 등이 쓰촨성 지역에 졸속으로 건설됐는데 시창우주기지도 그 중 하나다.] 즉, 이 참사는 우주기술의 문제뿐만 아니라 위치까지 문제였다. 시창 우주기지는 주위에 민가가 있었기 때문에 때문에 로켓이 추락했을 경우 큰 인명피해를 낼 수밖에 없었다. 건설 당시의 국제정세가 그랬다지만 [[안전불감증]]이 일으킨 사고라고 볼 수도 있겠다. 게다가 보통 우주기지는 적도와 가까울수록 유리한데 여러 사정을 고려한다면 [[하이난섬]]이나 그 인근 지역 또는 [[상하이시]], [[푸젠성]]이나 [[저장성]] 등 동쪽으로 발사해도 아무런 이상이 없는 곳으로 갔어야 했다. 당시 사고를 낸 창정 3B 로켓은 이후에는 사고를 일으킨 바가 없으며 중국의 상업위성 발사는 창정3B 또는 3B/E로 발사된다. 미국 기업이자 계약 상대였던 인텔셋과의 법적 분쟁 때문에 독립 위원회로 추락 원인을 조사했는데 이 과정에서 미국측이 의도치 않게 법으로 금지된 항속 장치 노하우를 전달했다고 한다. 가격도 동급의 미제 델타 로켓이나 일제 H-2 로켓의 1/3에 불과하기 때문에 경쟁력도 높아 여러 국가들의 위성이 이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나가고 있다. 그러나 측면 부스터가 마을에 낙하하여 민가에 떨어지거나 마을 전체가 [[하이드라진]]에 오염되는 사고는 아직도 반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