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신도시)] [include(틀:평양시의 길거리)]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양시|{{{#white 평양시}}}]]의 [[신도시|{{{#white 신도시}}}]]·[[길거리|{{{#white 길거리}}}]]'''}}}[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_White.svg|height=60]]]]||'''{{{+1 창전거리[br]倉田거리}}}[br]{{{-2 Changjŏn Street}}}'''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전거리.jpg|width=100%]]}}} || ||<-2> {{{-1 '''▲ 창전거리의 모습'''}}}[br]{{{-2 (2015년 6월 1일)}}} || ||<|2> '''구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시점'''}}}}}} [[중구역]] {{{-2 만수동}}}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종점'''}}}}}} [[중구역]] {{{-2 만수동 / 경상동}}} || ||<|2> '''조성'''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착공'''}}}}}} [[2011년]] [[5월 22일]]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준공'''}}}}}} [[2012년]] [[6월 21일]] || || '''규모''' ||{{{-2 세대수}}} 2,784세대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9.02617025663312%2c125.755458174547842,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40001; color: white" '''창전거리'''}}} {{{-2 ([[평양시]] [[중구역]])}}}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 [[평양시]]의 [[신도시]] 겸 [[길거리]]. [[평양시]] [[중구역]]에 걸쳐 있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영생탑|[[파일:영생탑.png|width=100%]]]]}}} || || '''창전거리와 영생탑''' || [[2011년]] [[5월 22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평양 거리 한심하다'라는 불호령에 창전거리 공사 착공에 들어갔다.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1/08/25/2011082500011.html|기사#1{{{-2 (뉴데일리)}}}]] 그 때문에 [[평양시]]의 군인들과 대학생들이 총동원되어 공사가 진행됐다.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1/08/25/2011082500024.html|기사#2{{{-2 (뉴데일리)}}}]] [* 김정일 시기에 건설이 시작되어서 건물 모습이 김정은 시기 지어진 평양 신시가지와는 많이 다르다.] 그 사이에 [[김정일]]은 사망하고, [[2012년]] [[5월]]에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완공을 앞둔 창전거리를 시찰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627263?sid=100|기사#1{{{-2 (연합뉴스)}}}]] 딱 1년하고 1개월이 지난 [[2012년]] [[6월 21일]]에 창전거리는 완공됐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657483?sid=100|기사#2{{{-2 (연합뉴스)}}}]] == 특징 == 북한판 평양 중구역 [[뉴타운]]이라고 할 수 있으며, 김정은 시기 평양 최초의 신시가지이다. 평양 중심지에 아파트단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만수대 근처에 있는 평양의 고급 아파트 만수대아파트가 창전거리에 위치한다. 총 14동의 아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높은 건물은 45층짜리이고, 40층, 36층, 26층, 20층 아파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상복합 형태로 상점, 백화점, 식당, 매대, 목욕탕, 이발소 등도 설치해뒀으며, 세대는 방 3개, 4개, 5개 이렇게 총 3종류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건물 외형은 [[광복거리]]에 있는 아파트와 [[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B%B3%B5%EA%B1%B0%EB%A6%AC_%EC%95%84%ED%8C%8C%ED%8A%B8#/media/%ED%8C%8C%EC%9D%BC:North_Korea-Pyongyang-Kwangbok_Street-01.jpg|상당히 흡사하다.]] 그리고 아파트 외벽에는 다양한 색상의 LED를 붙여놨는데, 밝힐 때마다 색상을 다르게 조정하면서 밝히고 있다. 이 때문에 평양이 전력난으로 어두울 때에도 창전거리만큼은 유독 눈에 띌 정도로 환하다.[* 우상화 선전물([[주체사상탑]], [[김일성김정일동상]], [[평양 개선문]] 등)을 제외하면 평양에서도 창전거리만큼 항상 불을 환하게 밝히는 건축물은 최충성층들의 거주지인 [[경루동]]밖에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건물 내부 조명이 완전히 나가도 외벽 조명만큼은 나가지 않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S-4aBiddoGg|자정에 정전된 평양]]의 모습을 담은 영상에서도 창전거리만큼은 우상화 선전물, 가로등과 함께 평양의 어둠을 희미하게 밝히고 있을 정도로 북한에서 전력 공급에 매우 신경을 써주는 건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새벽이 되면 창전거리는 커녕 가로등조차 평양의 전력난을 이기지 못하고 전력이 나가버려 평양의 새벽은 우상화 선전물들이 외로이 지키는 중이라고 한다. [[https://www.dailynk.com/%ED%8F%89%EC%96%91%EB%8F%84-%EC%A0%84%EB%A0%A5%EB%82%9C-%EC%8B%AC%EA%B0%81%EA%B3%A0%EC%B8%B5-%EC%95%84%ED%8C%8C%ED%8A%B8%EC%97%90-%ED%83%9C/|#]]] 창전거리의 화려한 야경은 어떻게 보면 김정은 시기 평양의 변화와 그로 인한 '평양 공화국' 고착화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셈이다. 내부 모습은 이렇다. [[https://www.nocutnews.co.kr/news/964553|거실 1]] [[https://www.koreaherald.com/view.php?ud=20150322000030|거실 2]] [[http://nk.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643|부엌 1]] [[https://www.youtube.com/watch?v=BNv1ZjunoIo&list=PLy3G_hcHfV6gbYUwuWNKZkAv6Ulwc25Kg&index=41|부엌 2(2:33~2:44)]][* 보이다시피 부엌에 가스관이 없어서 가스레인지를 쓰지 못하는 환경인데, 북한 주민들은 이런 환경을 [[가스버너]]로 떼우는 중이라고 한다.] [[https://cdn.tongilnews.com/news/photo/201506/112198_42939_535.jpg|방]]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2495727|영상의 9:49~10:02 부분]] 야간의 화려한 외양과 비교하면 검박하다 싶을 정도로 단촐한데, 북한은 이런 집을 가지고 창전거리를 방문한 외국인들이 "당신들(이 집에 사는 사람들)의 친척 중에 권력자나 특권층이 있지 않는가"라 거듭 물어볼 정도로 놀라워하던 수준으로 호화롭다고 과대포장하고 있다. [[로동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속도전]]의 일환으로 87일 만에 45층 골조공사를 끝냈다고 하며,[* 쉽게 말해 '''이틀에 1층씩 지은 셈이다.''' 그나마 70층 건물의 골조를 74일 만에 쌓았다는 [[려명거리신도시]]보다는 찬찬히 지은 셈이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2495727|영상의 11:17 부분]]에서 나온 창전거리의 건설 모습 영상을 잘 보면 왼쪽에 있는 골조 2개가 '''대놓고 휘어져 있는 등'''[* 비슷하게 려명거리신도시도 기록 영화에서 휘어진 골조가 대놓고 보인다.] 여러 면에서 [[부실공사]] 정황이 포착되는데,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2014년 5월[* [[평양 아파트 붕괴 사고]] 무렵이다.] 건물이 10cm 가량 내려앉고 외벽에 수많은 금이 갔다는 풍문이 있다. [[http://nk.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303|#]] 다만 이 보도 이후로 창전거리 아파트의 상태에 대한 추가 보도는 보이지 않는 상태이며,[* 창전거리보다 더 높이, 더 빨리 지은 [[미래과학자거리]]와 려명거리신도시도 2023년 현재까지도 건물이 내려앉았다는 소식은 들려오지 않고 있다. 그래도 남한 사람 입장에서는 불안할 수밖에 없다는 것은 변하지 않지만.] 보도의 출처가 북한 관련 [[소식통]]을 방패삼아 [[장성택]] 고사포 처형설, [[현송월]] 총살설을 위시한 수많은 오보들을 양산했던 [[조선일보]]라는 것 또한 유념해야 하나, 이를 감안해도 겉보기와는 달리 안전 상태가 뭔가 불안한 것은 여전하다. [[주성하]]의 말에 따르면 전기 사정이 열악한 겨울에도 오전 5시~7시[* 출근 시간대이다.], 오후 6시~11시[* 퇴근하고 집에서 쉬는 시간대인데다가 야경을 자랑해야 하는(...) 시간대이다.] 사이에는 주택에 전력이 들어오며[* 물론 주택이 정전되도 외부 장식등은 빛을 잃지 않는다고 한다. 상술한 평양의 자정 영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수돗물도 하루 두세 번은 나오지만 난방은 제대로 되지 않아 영하의 날씨 속에서 얼어죽는 거주자도 나올 정도라고 한다. 사실 아파트에서 사는 평양 주민들도 [[자력갱생]]으로 따로 '무동력 난방장치'[* 부엌이나 베란다에 부뚜막을 쌓고 석탄으로 덥힌 물을 배관을 통해 방으로 보내는 방식인데, 설치에 80~100달러 정도, 석탄값도 한 해 40달러나 들어 중산층 이하는 설치할 엄두도 못 낸다고 한다. 그리고 연탄가스 중독으로 인한 사망자도 적잖지 않아 '무동력 난방장치'를 기피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를 설치하며 난방을 해결하고 있지만 창전거리는 하필이면 당에서 하사한 집이라며 개조를 허용하지 않기에 이조차 불가능하다고 한다.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131203/59291535/3|#]] 평양 중심부에 위치한 거리인 데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부실공사 의혹도 있는지라 재개발 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수십 층짜리 순수 주거용 건물을 여러 채 지어놓았기 때문에, 재개발시 경제성 확보가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분류:북한의 도로]][[분류:중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