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창원시 마산회원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창원시에 설치된 일반구, rd1=마산회원구)]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창원시/정치, top2=마산회원구/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창원시의 정치)] ----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창원시 마산회원구}}}}}}'''[br]{{{-1 {{{#fff [[마산회원구|{{{#fff 마산회원구 일원[br]昌原市 馬山會原區[br]Changwon Masanhoewo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창원시 마산회원구.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93,467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남도]] [[창원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마산회원구|{{{#000,#fff 마산회원구}}}]] 전역''' 석전동, 회성동, 봉암동, 구암1동, 구암2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원1동, 회원2동, 내서읍}}} || ||<-2> '''이전 선거구''' ||<-2> 마산시 을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윤한홍]]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선거구제가 처음으로 도입되어 치른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때 처음으로 생긴 선거구인데 당시엔 이곳이 [[마산시]]였고 마산시의 인구가 상한선을 넘어서 현재의 [[마산합포구]]를 마산시 갑, 마산회원구를 마산시 을로 정했다. 그리고 1990년에 마산시의 행정구역에 '구'가 도입되면서 마산시가 합포구와 회원구로 나뉘어졌고 구 이름으로 선거구 명칭이 바뀌어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마산시 회원구로 불렸고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때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다시 마산시 합포구를 마산시 갑, 마산시 회원구를 마산시 을로 옛날의 명칭으로 환원했다. 이후 2010년 [[마창진]]이 통합되어 통합 [[창원시]]가 출범하자 마산시 회원구는 창원시 마산회원구로 바뀌었고 선거구 이름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어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지금까지 쭉 사용하고 있는 명칭이다. 해당 지역에 [[마산역]], [[마산고속버스터미널]],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이 있어 외지인들이 마산으로 들어오는 관문 역할을 맡고 있는것도 나름의 특징.[*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마산연안여객선터미널이 마산합포구에 있으나 아무래도 비중은 좀 떨어지는 편이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김영삼의 근거지였던 만큼. 마산합포구와 같이 가장 민주당세가 강한 지역이였지만, [[3당 합당]]과 [[한일합섬]]의 몰락으로 대표되는 섬유 산업의 쇠퇴로 인한 인구 유출로 보수세가 압도적으로 강한 지역이 되었다. 하지만 2010년대 즈음 되어서 [[내서읍]]과 [[창원 메트로시티]]으로 대표되는 양덕2동의 개발로 인해[* 두 지역의 인구를 합치면 마산회원구 인구의 절반이다.]옆 동네인 마산합포구보단 보수세가 약한 상황이다. 세부적으로 보자면 구시가지 지역인 회원동,석전동 등은 옆 동네인 마산합포구와 보수세가 유사하고, 신시가지인 내서읍과 양덕2동에선 보수세가 약하다. 즉 신시가지와 구시가지의 성향이 꽤 갈리는 곳이라 봐도 무방하다. 현재 이 지역구의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 [[윤한홍]] 의원이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13대 ||<|4> [[강삼재]]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마산시 을 || || 14대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3> 마산시 회원구 || || 15대 || [include(틀: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16대 ||<|3> [include(틀: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17대 ||<|3> [[안홍준]]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2> 마산시 을 || || 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19대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3> 창원시 마산회원구 || || 20대 ||<|2>[[윤한홍]]|| 2016년 5월 30일 ~2020년 5월 29일 || || 21대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 마산시 을 (13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마산시 을'''}}}}}}[br]{{{#ffffff 석전동, 회성동, 봉암동, 구암1동, 구암2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원1동, 회원2동, 내서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주호(1933)|김주호]](金周浩) || 30,751 || 2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30.78% || 낙선 || ||<|2> {{{#ffffff {{{+5 '''2'''}}}}}} || '''[[강삼재]](姜三載)''' || '''54,067''' || '''1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54.12%''' || '''{{{#000000 당선}}}''' || ||<|2> {{{#000000 {{{+5 '''3'''}}}}}} || 김창원(金昌源) || 2,156 || 5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2.15% || 낙선 || ||<|2> {{{#ffffff {{{+5 '''4'''}}}}}} || 박경환(朴慶煥) || 8,087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8.09% || 낙선 || ||<|2> {{{#ffffff {{{+5 '''5'''}}}}}} || 신건욱(申健郁) || 2,975 || 4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2.97% || 낙선 || ||<|2> {{{#ffffff {{{+5 '''6'''}}}}}} || 박홍기(朴烘基) || 1,848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8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0,779 ||<|3> '''투표율'''[br]77% || || '''투표 수''' || 100,645 || || '''무효표 수''' || 761 || === 마산시 회원구 (14~16대)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마산시 회원구'''}}}}}}[br]{{{#ffffff 마산시 회원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삼재]](姜三載)''' || '''47,370'''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3.57%''' || '''당선''' || ||<|2> {{{#ffffff {{{+5 '''2'''}}}}}} || 박창규(朴昶圭) || 8,092 || 3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9.15% || 당선 || ||<|2> {{{#ffffff {{{+5 '''3'''}}}}}} || [[임수태]](林守泰) || 6,938 || 4위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7.84% || 낙선 || ||<|2> {{{#ffffff {{{+5 '''4'''}}}}}} || 김영길(金永吉) || 26,016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9.4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9,996 ||<|3> '''투표율'''[br]68.90% || || '''투표 수''' || 89,515 || || '''무효표 수''' || 1,099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마산시 회원구'''}}}}}}[br]{{{#ffffff 마산시 회원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삼재]](姜三載)''' || '''44,340''' || '''1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50.16%''' || '''당선''' || ||<|2> {{{#ffffff {{{+5 '''2'''}}}}}} || 이상기(李相基) || 2,452 || 5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2.77% || 낙선 || ||<|2> {{{#ffffff {{{+5 '''3'''}}}}}} || 박재혁(朴在赫) || 6,682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7.55% || 당선 || ||<|2> {{{#ffffff {{{+5 '''4'''}}}}}} || 신태성(愼泰晟) || 4,101 || 4위 || || [include(틀:무당파국민연합)] || 4.63% || 낙선 || ||<|2> {{{#ffffff {{{+5 '''5'''}}}}}} || 김영길(金永吉) || 28,985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2.79% || 낙선 || ||<|2> {{{#ffffff {{{+5 '''6'''}}}}}} || 이건환(李建煥) || 1,835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2.0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3,515 ||<|3> '''투표율'''[br]62.70% || || '''투표 수''' || 89,953 || || '''무효표 수''' || 1,558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마산시 회원구'''}}}}}}[br]{{{#ffffff 마산시 회원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삼재]](姜三載)''' || '''49,76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3.41%''' || '''당선''' || ||<|2> {{{#ffffff {{{+5 '''2'''}}}}}} || 김형철(金炯哲) || 11,049 || 3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4.07% || 낙선 || ||<|2> {{{#ffffff {{{+5 '''4'''}}}}}} || 신태성(愼泰晟) || 6,102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7.77% || 낙선 || ||<|2> {{{#ffffff {{{+5 '''5'''}}}}}} || 이흥식(李興植) || 11,566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14.7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1,466 ||<|3> '''투표율'''[br]52.60% || || '''투표 수''' || 79,636 || || '''무효표 수''' || 1,151 || === 마산시 을 (17~18대)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마산시 을'''}}}}}}[br]{{{#ffffff 내서읍, 회원1동, 회원2동, 석전1동, 석전2동, 회성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안홍준]](安鴻俊)''' || '''48,75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9.36%''' || '''당선''' || ||<|2> {{{#000000 {{{+5 '''3'''}}}}}} || [[하귀남]](河貴男) || 34,764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5.19% || 낙선 || ||<|2> {{{#ffffff {{{+5 '''4'''}}}}}} || 김영길(金永吉) || 15,25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45% || 낙선 || ||<|2> ~~{{{#ffffff {{{+5 '''5'''}}}}}}~~ || ~~이흥식(李興埴)~~ || - || - || || ~~[include(틀:무소속)]~~ || - || 사퇴 || ||<|3> '''계''' || '''선거인 수''' || 168,042 ||<|3> '''투표율'''[br]59.99% || || '''투표 수''' || 100,803 || || '''무효표 수''' || 2,026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마산시 을'''}}}}}}[br]{{{#ffffff 내서읍, 회원1동, 회원2동, 석전1동, 석전2동, 회성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하귀남]](河貴男) || 15,105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19.86% || 낙선 || ||<|2> {{{#ffffff {{{+5 '''2'''}}}}}} || '''[[안홍준]](安鴻俊)''' || '''48,79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64.14%''' || {{{#000000 '''당선''' }}} || ||<|2> {{{#ffffff {{{+5 '''6'''}}}}}} || 송정문(宋正文) || 10,638 || 3위 || || [include(틀:진보신당)] || 13.98% || 낙선 || ||<|2> {{{#ffffff {{{+5 '''7'''}}}}}} || 이수철(李守喆) || 1,537 || 4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2.0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4,106 ||<|3> '''투표율'''[br]44.23% || || '''투표 수''' || 77,011 || || '''무효표 수''' || 936 || === 창원시 마산회원구 (19대~)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창원시 마산회원구'''}}}}}}[br]{{{#ffffff 마산회원구 일원[*창원마산회원 석전동, 회성동, 봉암동, 구암1동, 구암2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원1동, 회원2동, 내서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안홍준]](安鴻俊)''' || '''53,382'''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3.85%''' || '''{{{#000000 당선}}}''' || ||<|2> {{{#3AB34A {{{+5 '''2'''}}}}}} || [[하귀남]](河貴男) || 38,118 || 2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38.45% || 낙선 || ||<|2> {{{#ffffff {{{+5 '''6'''}}}}}} || [[백상원(정치인)|백상원]](白尙源) || 7,62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7.6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5,977 ||<|3> '''투표율'''[br]54.66% || || '''투표 수''' || 99,967 || || '''무효표 수''' || 846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창원시 마산회원구(선거구)|{{{#ffffff {{{+1 '''창원시 마산회원구'''}}}}}}]][br]{{{#ffffff 마산회원구 일원[*창원마산회원 석전동, 회성동, 봉암동, 구암1동, 구암2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원1동, 회원2동, 내서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윤한홍]](尹漢洪)''' || '''47,813'''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7.80%''' || '''당선''' || ||<|2> {{{#ffffff {{{+5 '''2'''}}}}}} || [[하귀남]](河貴男) || 43,666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3.66% || 낙선 || ||<|2> {{{#ffffff {{{+5 '''3'''}}}}}} || 안성오(安晟吾) || 8,533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8.5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3,197 ||<|3> '''투표율'''[br]58.50% || || '''투표 수''' || 101,314 || || '''무효표 수''' || 1,302 || ||<-9> {{{#ffffff '''20대 총선 경남 창원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윤한홍|{{{#ffffff '''윤한홍'''}}}]] || [[하귀남|{{{#ffffff '''하귀남'''}}}]] || [[안성오|{{{#ffffff '''안성오'''}}}]]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47,813 [br] (47.80%)'''}}} || '''43,666 [br] (43.66%)''' || '''8,533 [br] (8.53%)''' || '''+ 4,147 [br] (△4.14)''' || '''58.5%''' || || '''내서읍''' || 41.19% || {{{#004ea2 '''50.47%'''}}} || 8.34% || {{{#808080 ▼'''9.28'''}}} || 59.13 || || '''회원1동''' || {{{#c9252b '''58.85%'''}}} || 33.78% || 7.37% || △'''25.07''' || 54.48 || || '''회원2동''' || {{{#c9252b 58.79%}}} || 33.87% || 7.33% || △24.92 || 53.75 || || '''석전1동''' || {{{#c9252b 53.27%}}} || 39.38% || 7.35% || △13.89 || 55.08 || || '''석전2동''' || {{{#c9252b 51.78%}}} || 40.94% || 7.27% || △10.84 || 55.59 || || '''회성동''' || {{{#c9252b 54.10%}}} || 39.74% || 6.16% || △14.36 || 55.73 || || '''양덕1동''' || {{{#c9252b 52.62%}}} || 37.38% || '''10.0%''' || △15.24 || 52.51 || || '''양덕2동''' || {{{#c9252b 47.44%}}} || 44.69% || 7.87% || △2.75 || 60.74 || || '''합성1동''' || {{{#c9252b 51.24%}}} || 39.80% || 8.97% || △11.44 || 51.74 || || '''합성2동''' || {{{#c9252b 55.12%}}} || 35.45% || 9.43% || △19.67 || 51.65 || || '''구암1동''' || {{{#c9252b 52.55%}}} || 37.90% || 9.55% || △14.65 || 56.11 || || '''구암2동''' || {{{#c9252b 49.69%}}} || 41.33% || 8.98% || △8.36 || 58.58 || || '''봉암동''' || {{{#c9252b 49.86%}}} || 41.76% || 8.38% || △8.10 || 49.66 || || '''후보''' || [[윤한홍|{{{#ca252b '''윤한홍'''}}}]] || [[하귀남|{{{#004ea2 '''하귀남'''}}}]] || [[안성오|{{{#046240 '''안성오'''}}}]]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c9252b 52.11%}}} || 31.92% || '''15.96%''' ||<-2> △20.19 || || '''관외사전투표''' || 34.71% || {{{#004ea2 53.21%}}} || 12.08% ||<-2> {{{#808080 ▼18.50}}} || || '''국외부재자투표''' || 18.28% || {{{#004ea2 '''70.97%'''}}} || 10.75% ||<-2> {{{#808080 ▼'''52.69'''}}} || [[새누리당]]에선 현역 [[안홍준]] 의원과 경상남도 [[윤한홍]] 전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경선을 치렀는데 윤한홍이 공천을 받았다. 그리고 [[더불어민주당]]에선 [[17대 총선]]부터 계속해서 출마하고 있는 [[하귀남]] 변호사가 4번째 도전에 나섰다. 그 밖에도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서도 안성오 후보가 출마를 하여 3자 구도가 정립되었다. 보수 성향이 강한 선거구답게 [[윤한홍]] 후보가 승리하긴 했으나 신승이었다. 하귀남 후보로선 4번째 도전만에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성과를 올렸고 본인 최고 득표율을 또 다시 갱신하는 성과를 얻었다. 다만 안성오 후보가 두 후보 간 득표율 차보다 더 큰 8.53%를 득표했기에 안성오와의 단일화가 됐으면 당선될 수 있었다는 점이 하귀남 입장에선 매우 아쉬울 듯하다. 윤한홍은 동 지역과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승리했다. 하귀남은 내서읍에서만 무려 '''2,802표''' 차로 윤한홍을 크게 이겼고 관외사전투표, 국외부재자투표에서도 승리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창원시 마산회원구(선거구)|{{{#ffffff {{{+1 '''창원시 마산회원구'''}}}}}}]][br]{{{#ffffff 마산회원구 일원[*창원마산회원 석전동, 회성동, 봉암동, 구암1동, 구암2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원1동, 회원2동, 내서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하귀남]](河貴男) || 48,018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1.95% || 낙선 || ||<|2> {{{#ffffff {{{+5 '''2'''}}}}}} || '''[[윤한홍]](尹漢洪)''' || '''64,581'''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56.42%''' || '''당선''' || ||<|2> {{{#ffffff {{{+5 '''7'''}}}}}} || 조민기(趙敏記) || 851 || 4위 || || [include(틀:우리공화당)] || 0.74% || 낙선 || ||<|2> {{{#ffffff {{{+5 '''8'''}}}}}} || 허양희(許良姬) || 1,004 || 3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8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4,936 ||<|3> '''투표율'''[br]70.21% || || '''투표 수''' || 115,805 || || '''무효표 수''' || 1,351 || ||<-10> {{{#ffffff '''21대 총선 경남 창원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하귀남|{{{#ffffff 하귀남}}}]] || [[윤한홍|{{{#ffffff '''윤한홍'''}}}]] || || '''득표수[br](득표율)''' || '''48,018 [br] (41.95%)''' || {{{#ffffff '''64,581 [br] (56.42%)'''}}} || '''- 16,563 [br] (▼14.47)''' || '''115,805 [br] (70.21%)''' || || '''회원1동''' || {{{#696969 32.32%}}} || {{{#ef426f '''65.89%'''}}} || {{{#696969 ▼33.57}}} || 67.15 || || '''회원2동''' || 33.04% || {{{#ef426f 65.39%}}} || ▼32.36 || 66.00 || || '''석전동''' || 39.29% || {{{#ef426f 59.19%}}} || ▼19.90 || 69.74 || || '''회성동''' || 33.69% || {{{#ef426f 64.44%}}} || ▼30.75 || 68.08 || || '''양덕1동''' || 36.56% || {{{#ef426f 61.38%}}} || ▼24.82 || {{{#696969 63.98}}} || || '''양덕2동'''[*A [[창원 메트로시티]] 및 마산회원구청, [[창원 NC 파크]], [[마산고속버스터미널]]이 있는 동네] || 41.89% || {{{#ef426f 56.82%}}} || ▼14.93 || '''72.97''' || || '''합성1동'''[*C [[창원롯데캐슬 더퍼스트]]가 있는 동네] || 41.11% || {{{#ef426f 57.56%}}} || ▼16.45 || 67.85 || || '''합성2동'''[*B [[마산시외버스터미널]] 및 [[창신대학교]]가 있는 동네] || 36.03% || {{{#ef426f 62.13%}}} || ▼26.09 || 65.33 || || '''구암1동''' || 38.32% || {{{#ef426f 59.26%}}} || ▼20.94 || 67.08 || || '''구암2동''' || 41.47% || {{{#ef426f 56.47%}}} || ▼15.00 || 67.10 || || '''봉암동''' || 39.12% || {{{#ef426f 58.74%}}} || ▼19.61 || 64.26 || || '''내서읍''' || '''46.36%''' || {{{#ff7e9d 52.26%}}} || '''▼5.90''' || 68.72 || || '''후보''' || [[하귀남|{{{#004ea2 '''하귀남'''}}}]] || [[윤한홍|{{{#ef426f 윤한홍}}}]]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4.26% || {{{#ef426f 49.72%}}} ||<-2> ▼5.46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3.19%}}} || 44.83% ||<-2> △8.37 || || '''재외투표''' || {{{#004ea2 69.49%}}} || 30.50% ||<-2> △38.98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하귀남]] 변호사가 다시 출마했고, [[미래통합당]]에서는 [[윤한홍]] 의원이 공천을 받아서 리턴매치가 되었다. 4년 전 선거 때엔 민주당 표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으로 분열되었기에 윤한홍이 보수층 + 표 분산에 힘입어 불과 4.14% 차로 승리했다. 하귀남 후보는 4년 동안 착실히 지역구 관리를 하겠다며 [[권토중래]]를 다짐했는데 과연 그 동안에 공을 들인 성과가 얼마나 나올 것인지 주목되었다. 또 2년 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자유한국당]] [[김태호(1962)|김태호]]를 상대로 이곳 창원시 마산회원구에서 신승을 거두었다는 점, [[허성무]] 창원시장 역시 [[자유한국당]] [[조진래]]를 10% 가까운 격차로 승리했던 것도 하귀남에게 큰 힘이 될 듯 했다. 그러나 선거 당일 출구조사 결과 57.8% : 41.3%로 윤한홍이 당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표 결과도 격차가 약간 줄어들었지만 큰 변동 없이 윤한홍이 56.42% : 41.95%로 14.5% 차로 승리하며 재선에 성공했다. 오히려 지난 총선 때보다 표 차가 더 벌어졌다. 이로 볼 때 지난 총선 당시 국민의당에 갔던 표가 윤한홍에게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이 바른미래당과 합당하고, 그 정당에 있었던 친안들은 21대 총선 직전 미래통합당으로 가고, 안철수도 새 정당을 차리면서 보수성향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윤한홍은 전 지역,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승리했다. 하귀남은 관외사전투표, 국외부재자투표에서만 승리하는 데 그쳤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창원시 마산회원구(선거구)|{{{#ffffff {{{+1 '''창원시 마산회원구'''}}}}}}]][br]{{{#ffffff 마산회원구 일원[*창원마산회원 석전동, 회성동, 봉암동, 구암1동, 구암2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원1동, 회원2동, 내서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상남도의 정치]][[분류:마산회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