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파일:DSC_0147.jpg|width=100%]] || [[파일:20230429_135304.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창원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860번}}}[* 현 [[창원 버스 3002|3002번]]] || ||<-2>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덕동동(덕동공영차고지) ||<-2>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용원종점) || ||<|2> 종점행 || 첫차 || 05:39 ||<|2> 기점행 || 첫차 || 06:03 || || 막차 || 21:56 || 막차 || 22:45 || ||<-2> 배차간격 ||<-4> 64~65분(1일 16회) || ||<-2> 운수사명 || [[대운교통(창원)|대운교통]] ||<-2> 인가대수 || 4대 || ||<-2> 노선 ||<-4> [[덕동공영차고지]] - 현동초등학교 - 월영아파트종점 - (→ [[경남대학교]]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남부터미널]] →/← 경남대·남부터미널종점 ←) - 마산합포구청·의료원 - 어시장 - 자유무역지역정문 -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 봉암동 - 유신상가 - 양곡상가 - [[장복터널]] - [[경화역]] - [[롯데마트]](진해점) - 덕산해군아파트 - [[진해구|진해구청]]·장전주유소 - 어은동 - 웅천동 - 웅동농협앞 - 해인로즈빌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용원종점 || == 개요 == 창원시의 급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90.8km다. [[http://naver.me/xtVPX856|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던 [[창원 버스 164|164번]]의 승객 분산을 위해 [[2012년]] [[3월 9일]]에 신설되었다. [[http://www.changwon.go.kr/multipleboard/BoardView.jsp?amode=itemView&cpage=8&groupNo=10239&boardNo=41|창원시 공지사항]] 그러나 [[합포로]]를 잘 타고 가다가 삼성생명과 용마고로 우회하는[* 삼성생명을 경유했던 건 같은 날 폐선된 161번의 대체목적이었던 듯하다.] 급행답지 않은 [[굴곡 노선/버스|굴곡선형]] 탓에 메리트가 없어서[* 자유무역정문 사거리에서 산호동 방면으로 좌회전 신호 기다리다가 어시장에서 이 버스 바로 뒤나 앞에 있던 [[창원 버스 164|164번]]이 먼저 합포동에서 산호동으로 지나가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시민들은 이 노선을 외면했고 [[창원 버스 164|164번]]의 헬게이트는 여전했다. 이후 서서히 입소문을 타며 조금씩 수요가 늘기 시작했지만... * 결국 여전히 낮은 운송 수익금을 이유로 [[2012년]] [[7월 1일]]에 창원시내버스협의회에서 갑작스럽게 운행 중단에 돌입했다. [[http://www.changwon.go.kr/multipleboard/BoardView.jsp?amode=itemView&cpage=1&groupNo=10119&boardNo=4168|창원시 공지사항]] 시민들은 계속 운행해달라는 민원을 시민의 소리에 올리기도 했다. [[http://www.changwon.go.kr/multipleboard/BoardView.jsp?amode=itemView&cpage=1&groupNo=10119&boardNo=4181|#]] * [[2012년]] [[7월 4일]]에 삼성생명, 용마고 대신 자유무역지역 경유로 직선화된 상태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http://www.changwon.go.kr/multipleboard/BoardView.jsp?amode=itemView&cpage=1&groupNo=10239&boardNo=48|창원시 공지사항]] 굴곡구간을 직선화하며 [[창원 버스 164|164번]]의 급행버전 노선이 되면서 수요가 조금 더 늘었지만 투입되는 차량이 절반으로 줄어들었으며 배차간격도 두 배로 늘어나 여전히 인지도가 [[창원 버스 164|164번]]에게 밀리는 듯한 모습이었다. 일부 버스 동호인들은 용원주민들이 마산가는 버스 신설을 계속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이 노선을 용원으로 보내보자고 하기도 하였다. * [[2012년]] [[7월 30일]]에 시간표가 조정되면서 [[창원 버스 164|164번]]과 통합배차관리 체계로 묶이게 되었다. [[http://www.changwon.go.kr/multipleboard/BoardView.jsp?amode=itemView&cpage=1&groupNo=10239&boardNo=51|창원시 공지사항]] * [[2014년]] [[11월 21일]]에 [[경남대학교]]에서 [[덕동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따라서 배차간격도 40분에서 50분으로 늘어났고 운행횟수도 25.5회에서 22회로 줄어들었다. 다만 마산발 막차는 22시 36분에서 52분으로 늘었고 실질적으로 운행거리가 늘어나 월영아파트발 막차는 36분에서 23시 2분으로 늘어난 셈이 되었다. [[http://www.changwon.go.kr/multipleboard/BoardView.jsp?amode=itemView&cpage=1&groupNo=10239&boardNo=92|창원시 공지사항]] |||| ||[[파일:20160214155710.jpg|width=300]]|| || 용원까지 연장하던 날의 개통식 사진.[*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969878|출처]]] || * [[2016년]] [[2월 12일]]에 장천동에서 용원으로 연장되었다. [[http://www.changwon.go.kr/multipleboard/BoardView.jsp?amode=itemView&cpage=2&groupNo=10239&boardNo=112|창원시 공지사항]] 그동안 같은 시내인데도 불구하고 마산-용원을 바로 잇는 노선이 없었던 때여서 수요 추이를 보기 위해 6개월간 시범운행을 실시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다만, 증차가 되지 않아 배차간격이 1시간 가량으로 벌어지게 되었다. 이로써 [[창원 버스 762|762번]]을 제치고 좌석버스 중 가장 배차간격이 긴 노선이 되었다. --물론 그래봤자 [[창원 버스 159|159번]]의 아성에는 미치지 못한다.-- 용원으로 연장하던 날에 진해구청장 및 지역구 국회의원, 도의원, 시의원 및 용원지역 시민단체들이 참여한 가운데 개통식을 가졌다.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969878|관련 기사]] 시승 후 부림시장과 어시장도 탐방했다고. * [[2016년]] [[5월 27일]]에 용원 7시 30분 출발 차량이 7시 15분 출발로 앞당겨졌다. [[http://www.changwon.go.kr/multipleboard/BoardView.jsp?amode=itemView&cpage=1&groupNo=10239&boardNo=121&category=&org_code=&menucode=&searchType=content&searchString=860|창원시 공지사항]] * 2016년 2월에 용원으로 연장할 때 6개월간의 시범운행이었고 2016년 8월로 6개월이 경과하였는데 의외로 수요가 괜찮고 반응도 나쁘지 않아서 그대로 정규 노선화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2018년]] [[3월 2일]]에 덕동 첫차가 5시 49분에서 5시 39분으로 조정되었다. 용원 첫차는 기존과 동일하다. [[https://www.changwon.go.kr/depart/bbs/view.do?bIdx=513714&ptIdx=298&mId=0701010000|창원시 공지사항]] * 책임배차제 시행에 따라 2021년 9월 1일부터 [[대운교통]]에서 운행되고 있다. * 2023년 6월 10일에 창원시 시내버스 전면 노선개편으로 [[창원 버스 762|762번]]과 통합되어 [[창원 버스 3002|3002번]]으로 변경되었다. == 특징 == * --일명 공기수송 급행좌석 버스이다.--[* 이유는 들쭉날쭉한 배차간격 때문이다. --최소 1시간이 넘어가는 배차이다.-- 게다가 실질적으로는 [[부산 버스 1011|부산 1011번 노선]]과 조합되면 부산, 특히 해운대로 가는 루트와 경합되어 (진짜 이유는 해운대 - 마산남부 노선이 다니는 [[동서고가로]]와 [[황령터널]] 정체 때문이다) 시외버스와의 알력 등으로 인해 함부로 증차하지 못하고 있다.] * 이 노선이 신설되면서 2009년 [[창원 버스 760|760번]]의 마산역 단축 이후 전무했던 마산합포구-진해 간 좌석노선이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 용원으로 연장된 후 [[창원 버스 757|757번]]을 제치고 창원시 좌석버스 중 '''최장거리'''노선이 되었다.[* 네이버 지도 기준 757번 편도거리 약 44km, 860번 약 45km] 왕복 90.8km로써 한 번 왕복하는 데 무려 '''3시간 10분'''정도 걸린다고 한다. (시내버스 중 최장거리 노선은 읍면노선인 [[창원 버스 40번대 노선|41번]]('''왕복 94.6km''')이다.) 하지만 [[창원 버스 757|757번]]이 용원에서 신항까지 연장된 이후 '''91.1km'''가 되면서 그 757번이 제일 길어졌으나, 얼마 뒤에 기점이 [[창원대학교]]로 변경되어 왕복 87km로 단축되면서 다시 창원시 좌석버스 중 가장 긴 노선이 되었다.[* 만일 [[가덕도신공항]]이 개항되어 가덕신공항발 창원행 교통편 확충 등을 이유로 757번과 860번 중 하나 혹은 모두가 [[가덕도]]로 연장될 경우, 왕복 100km가 넘어가버린다.] * 진해 구간에서 [[창원 버스 164|164번]]과 함께 여좌고가로를 통해 바로 경화동으로 가며 경유지도 용원 연장 전까지는 장천동 일부를 제외하고 경유지도 완전히 똑같았다.[* 164번은 신광아파트를 860번은 장천대동다숲아파트를 각각 경유한다.] 장천동 일부가 다르다고 해도 장천동은 진해 끝자락이라 진해가는 사람들한테는 164번이랑 별반 차이가 없었다.[* 만약 164번이 여좌고가로를 타지 않고 중앙시장과 태백동으로 돌아서 가고 급행인 이 노선만 여좌고가교를 통해 이동했다면 시간적 메리트가 컸겠지만, 164번도 여좌고가교를 통해 가기에 시간적 메리트도 크지 않고 거의 164번의 바이패스 역할만 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수요는 별로 없었다.] * 창원시에서 유일하게 전 차량 고급좌석버스로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창원에서 801번과 함께 고급좌석이 고정으로 투입되는 노선이다. 801번은 7대중 3대가 고급좌석.] 따라서 고급좌석버스를 소유하고 있는 6개 회사만 배차에 참여했다. 그러다 책임배차 후에는 1대빼곤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으로 교체되었다. * 창원시 유일의 [[FX116|FXII116]]이 뛰었던 노선이기도 하다.[* [[대중교통]] 소속 차량이었다. 하지만 2021년 4월에 대차되어서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이 운행한다.] * 현동지구 내 다른 정류장[* 시립마산요양병원, 현동중흥1차아파트, 현동초등학교]은 다 서는데 묘촌입구만 안 선다. 덕분에 그린품애아파트 주민들은 현동초등학교에서 내려서 걸어가야 한다. 이는 [[창원 버스 801|801번]]도 마찬가지. * 이 노선과 [[부산 버스 강서9-1|부산 강서구 9-1번 버스]]를 이용하면[* 용원종점에서 환승. 하단방향은 바로 그 자리에서 환승 가능하며 덕동방향은 길을 건너야 한다.] 마산과 하단을 저렴하게 오갈 수 있으며 경제자유구역청에서 환승 후 [[부산 버스 1011|1011번]] 연선상에 있는 곳으로 가도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다. 출발지가 봉암동이나 신세계백화점 인근이고 목적지가 하단역 근처거나 감천, [[영도구]], 용당 등지라면 한 번 이용해보는 것이 어떨까?[* 환승 혜택은 없지만 교통카드 기준으로 1,750+1,160=2,910원이기 때문에 시외버스보다도 싸다. 현금으로 타도 600원 저렴하다(마산-사상 3,500원). 그리고 출발지에서 출발지역 터미널까지, 도착지역 터미널에서 최종 목적지까지 시내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돈이 2,400원 가량 더 드는 셈이니 실제 교통비 절감효과는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거기에 비록 [[진해대로]] 경유이기는 하지만 [[남해고속도로]] 정체와 사상 ~ 하단 구간의 굴곡을 생각한다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으며 최종 도착지가 감천, [[영도구]]일 경우 [[부산 버스 55]], [[부산 버스 58-2]]나 [[부산 버스 520]]을 타고 경제자유구역청에서 [[부산 버스 1011]]으로 환승하면 용원에서 영도까지 1시간 정도만에 간다. 해운대 방면도 시외버스가 이용하는 [[동서고가로]]나 [[황령터널]]에 사고 났다는 소식이 들리면 월영동에서부터 바로 이 루트로 가는 것이 나으며, 단순 정체라도 출발지가 봉암동, 신세계, 마산고속버스터미널 근처라면 이 루트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 창원 구간은 유신상가 및 양곡상가 단 '''2곳'''만 정차를 한다. 즉, 양곡상가 다음 정류소는 유신상가 또는 경화동이다. 양곡상가 - 경화동 구간은 급행답게 스피드를 내는 빈도가 꽤 많다. --일명, [[창원 버스 800|800번]] 뺨치는 구간.--[* 양곡상가 - 경화동 구간 사이의 거리는 약 7.7km으로 창원 시내버스 중 정류장 사이의 간격이 제일 길었다. 지금은 3000번대 신설로 정류장 사이가 10km가 넘는 노선이 있다] * 반면 진해 구간에서는 급행답지 못한데 경화동~롯데마트 구간은 연속 5개 정류장을 정차하고 해인로즈빌~용원초등학교 구간은 연속 9개 정류장을 정차한다. * 용원, 웅동 주민들이 [[창원 NC 파크]]를 갈 때에 최적인 버스이다. 신세계백화점 정류소에 내려 창원 NC 파크 야구장까지 도보 10분 정도 소요. 다만 배차가 매우 길어 시간표를 참고해야 한다. 버스 개편이후는 [[마산고속버스터미널]]까지 하차하여 도보10분정도면 된다. === 시간표 === ||
<-10><#D32A09> {{{#ffffff 창원 버스 860번 운행시간표}}}[br]{{{#ffffff 2022년 5월 1일 기준 /}}} [[https://bus.changwon.go.kr/info/busTime.do|출처]] || || 횟수 || 덕동공영차고지 || 용원종점 || || 1 || 05:39 || 06:03 || || 2 || 06:53 || 07:15 || || 3 || 07:58 || 08:46 || || 4 || 09:02 || 09:51 || || 5 || 10:07 || 10:55 || || 6 || 11:11 || 12:00 || || 7 || 12:16 || 13:04 || || 8 || 13:20 || 14:09 || || 9 || 14:25 || 15:13 || || 10 || 15:29 || 16:18 || || 11 || 16:34 || 17:22 || || 12 || 17:38 || 18:27 || || 13 || 18:43 || 19:31 || || 14 || 19:47 || 20:36 || || 15 || 20:52 || 21:40 || || 16 || 21:56 || 22:45 || === 노선 === || [[파일:창원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860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용원동로|{{{#353535,#eee '''용원동로'''}}}]] || || {{{-2 용원초등학교 ▼}}}||{{{-2 ▲ 용원종점(회차)}}} || ||<|2> [[용원로(창원)|{{{#353535,#eee '''용원로'''}}}]]||[[용원남로|{{{#353535,#eee '''용원남로'''}}}]] || ||{{{-2 ▲}}} || ||<-2> [[용원로(창원)|{{{#353535,#eee '''용원로'''}}}]] || || {{{-2 ▼}}}||{{{-2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2> [[안골로(창원)|{{{#353535,#eee '''안골로'''}}}]] || || {{{-2 안청초등학교 ▼}}}||{{{-2 ▲}}} || ||<-2> [[안청남로|{{{#353535,#eee '''안청남로'''}}}]] || || {{{-2 부영3차아파트 ▼}}}||{{{-2 ▲ 안청초등학교}}} || ||<-2> [[안청북로|{{{#353535,#eee '''안청북로'''}}}]] || || {{{-2 해인로즈빌아파트 ▼}}}||{{{-2 ▲ 부영2차아파트}}} || ||<-2> [[안청로(창원)|{{{#353535,#eee '''안청로'''}}}]] || || {{{-2 ▼}}}||{{{-2 ▲ 해인로즈빌아파트}}} || ||<-2> [[진해대로|{{{#353535,#eee '''진해대로'''}}}]] || || {{{-2 용원휴요양병원 ▼}}}||{{{-2 ▲}}} || ||<-2> [[남의로|{{{#353535,#eee '''남의로'''}}}]] || || {{{-2 의곡마을 ▼}}}||{{{-2 ▲ 용원휴요양병원}}} || ||<-2> [[웅동로(창원)|{{{#353535,#eee '''웅동로'''}}}]] || || {{{-2 마천공단입구 ▼}}}||{{{-2 ▲ 웅동농협앞}}} || ||<-2> [[남영로|{{{#353535,#eee '''남영로'''}}}]] || || {{{-2 STX아파트 ▼}}}||{{{-2 ▲ 마천공단입구}}} || ||<-2> [[월남로|{{{#353535,#eee '''월남로'''}}}]] || || {{{-2 호산나노인복지센터 ▼}}}||{{{-2 ▲ STX아파트}}} || ||<-2> [[웅천로(창원)|{{{#353535,#eee '''웅천로'''}}}]] || || {{{-2 어은동 ▼}}}||{{{-2 ▲ 천자봉공원묘원}}} || ||<-2> [[어은로(창원)|{{{#353535,#eee '''어은로'''}}}]] || || {{{-2 STX조선입구 ▼}}}||{{{-2 ▲ 어은동}}} || ||<-2> [[진해대로|{{{#353535,#eee '''진해대로'''}}}]] || || {{{-2 ▼}}}||{{{-2 ▲ 경화동}}} || ||<-2> [[봉양로(창원)|{{{#353535,#eee '''봉양로'''}}}]] || || {{{-2 양곡상가 ▼}}}||{{{-2 ▲}}} || ||<-2> [[신촌로(창원)|{{{#353535,#eee '''신촌로'''}}}]] || || {{{-2 봉암교 ▼}}}||{{{-2 ▲ 유신상가}}} || ||<-2> [[봉양로(창원)|{{{#353535,#eee '''봉양로'''}}}]] || || {{{-2 신세계백화점 ▼}}}||{{{-2 ▲ 자유무역지역후문}}} || ||<-2> [[합포로|{{{#353535,#eee '''합포로'''}}}]] || || {{{-2 마산합포구청.의료원 ▼}}}||{{{-2 ▲ 어시장}}} || ||<-2> [[3.15대로|{{{#353535,#eee '''3.15대로'''}}}]] || || {{{-2 경남대남부터미널종점 ▼}}}||{{{-2 ▲ 연세병원}}} || ||<|4> [[가포로|{{{#353535,#eee '''가포로'''}}}]]||[[해안대로|{{{#353535,#eee '''해안대로'''}}}]] || ||{{{-2 ▲ 경남대학교}}} || ||[[월영동서로|{{{#353535,#eee '''월영동서로'''}}}]] || ||{{{-2 ▲ 남부터미널}}} || ||<-2> [[가포로|{{{#353535,#eee '''가포로'''}}}]] || || {{{-2 월영아파트종점 ▼}}}||{{{-2 ▲}}} || ||<-2> [[월영남로|{{{#353535,#eee '''월영남로'''}}}]] || || {{{-2 ▼}}}||{{{-2 ▲ 월영아파트종점}}} || ||<-2> [[가포로|{{{#353535,#eee '''가포로'''}}}]] || || {{{-2 ▼}}}||{{{-2 ▲}}} || ||<-2> [[예월로|{{{#353535,#eee '''예월로'''}}}]] || || {{{-2 ▼}}}||{{{-2 ▲}}} || ||<-2> [[밤밭고개로|{{{#353535,#eee '''밤밭고개로'''}}}]] || || {{{-2 시립마산요양병원 ▼}}}||{{{-2 ▲}}} || ||<-2> [[현동로|{{{#353535,#eee '''현동로'''}}}]] || }}}}}}}}} || || ||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경화역]](여객업무 미실시) ==# 둘러보기 #== [include(틀:용원 경유 시내버스)] [[분류:창원시의 좌석버스]][[분류:201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3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