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원시의 간선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729_095107(0).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원 361번 현대차량.webp|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창원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창원시 간선버스 36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창원간선361지도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해인로즈빌아파트) ||<-2> 종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30 ||<|2> 기점[br]행 || 첫차 || 06:40 || || 막차 || 21:50 || 막차 || 22:55 || ||<-2> 배차간격 ||<-4> 80~100분(1일 12회) || ||<-2> 운수사명 || [[진해여객]] ||<-2> 인가대수 || 2대 || ||<-2><|2> 노선 ||<-4> 해인로즈빌아파트([[청안동]]) - 부영2차아파트 - 안골포초등학교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웅동2동행정복지센터 - [[용원]]사거리 - 영남자동화기계 - 부산프라스틱공업 - __[[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제자유구역청]]__ - 풍영산업 - 동서열처리 - 갑을녹산병원 - 녹산하수처리장 - 의창수협 - 신호부영아파트 - [[르노코리아자동차|르노자동차]]남문 - 퀸덤1.2단지 - 롯데캐슬아파트 - 남명초등학교 - 낙동강철새도래지 - 명지새동네 - (← 명지시장 ←)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4> ※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 개요 == 2023년 7월 29일 개통된 창원시의 시내버스. == 역사 == * 2023년 7월 29일 [[강서공영차고지(부산)|강서공영차고지]] 개장으로 인한 노선 개편으로 인해 기존에 있던 [[부산 버스 58-1|58-1번]]이 용원·청안동에서 철수함에 따라, 지역 주민들의 불편이 예상되어 창원시에서 58-1번 재운행시까지 긴급 임시노선을 개통시켜 운행하고 있다. * 2023년 11월 중으로 58-1번의 용원·청안동 재운행이 확정됨에 따라 긴급 임시노선인 본 노선은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 특징 == * [[부산 버스 58-1]]의 개편 전 선형을 그대로 따라가며, 창원시 시내버스로서는 최초로 [[낙동강하굿둑]]을 건너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소재 [[하단역]]까지 진입하게 되었다.[* 지금도 창원-부산간 경계를 넘는 버스는 부산시 1009번 및 강서1번, 창원시 352번 및 353번이 있으나 전부 외곽지역만 잠깐 들리는 형태이다. 이외에 과거 58-2번도 창원시계내에 들어왔으나 개편으로 바로 옆 원래 55,520번만 정차하던 부산시계 내 정류장으로 이전되었다. 물론 개편 후 58-1,2번과 55,520번도 부산시계 내에서만 운행하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용원 시가지 바로 옆까지 가기에 반쯤은 창원시와 연계된다고 볼 수 있다. 이 노선들을 타고 용원 시가지 바로 옆에서 내려서 1~2분만 걸어가면 바로 용원 시가지 주택들과 가게들, 창원 버스가 서는 버스정류장 등이 있기 때문이다.][* 부산뿐만 아니라 타 지역까지 포함해도 낙동강을 건너는 창원시 시내버스는 이 노선뿐이다. 창원시에 진입하면서 낙동강을 건너는 시내버스는 부산광역시 노선을 제외하면 [[함안 버스 113-1]](남지 시종착 노선 한정), [[창녕 버스 북면-부곡, 북면-영산]]도 있다.] [[강서구(부산)|강서구]] 이외의 부산지역에 진입한 것도, [[부산 도시철도]]와 직접 연계되는 것도 최초. * 노선 길이의 80% 정도가 부산 구간이다. 창원 구간은 사실상 청안동~용원사거리 구간이 전부인데, 여기 주민들 타라고 만든 노선이기 때문에 완전한 아웃창원이라기엔 애매한 존재다.[* 부산 시내에서는 창원이 목적지가 아닌 경우 대체 노선이 널리고 널렸으니 환승할인이 불가능하고 더 비싼(성인 교통카드 기준 부산 1200원, 창원 1450원, 단 58-1번은 1700원이라 더 비싸다.) 이 노선을 이용할 이유가 없다.] * 창원시에서는 부산 58-1번의 청안동 철수를 통보받은 후 지속적으로 청안동 구간의 재운행 요청을 했으나 전부 거절당했고, 결국 개편 이틀 전인 7월 27일 국토교통부 노선조정위원회에 조정 신청과 함께 대체 노선의 긴급 운행을 공지하기에 이른다. 이때 노선번호는 임시 58-1번이었지만 그날 오후 노선번호가 다시 361번으로 변경되었다.[* 메가시티 협약 이전에는 창원시에서 동아여객과 함께 부산차적 버스를 빼려고 했던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일인 셈.] * 개선명령에 의해 임시 운행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부산시와의 협의, 또는 국토부[* 창원시와 부산광역시는 공통의 상급청이 없으므로 국토부에서 직접 조정한다.]의 조정이 끝나면 결과에 따라 노선이 변경될 예정이다. * [[창원 버스 155|155번]]과 같이 [[진해여객]]에서 단독배차로 운행한다. 그리고 저상버스도 운행한다. * 창원 버스와 부산 버스/도시철도 간에는 별도의 환승협약이 없기 때문에 환승 시 할인을 받을 수 없다. 단, 하단역에 진입하는 [[김해 버스 220|김해 220번]]과는 [[창원-김해 광역환승할인|협약]]이 맺어져 있어 1회에 한해 환승할인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서로의 시간표가 환승을 고려하고 짜진 것이 아니며 양 노선 모두 배차가 매우 긴 편이라 탑승 전 시간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용원·청안동에서의 수요가 많으나, 부산 시내에서의 수요 또한 존재한다. [[녹산산업중로]] 일대에서 사실상 독점구간이 존재하기 때문. 27번신호등 교차로보다 동쪽으로는 58-1번과 일치하지만 6번신호등 교차로까지는 58-1번 또는 이 노선을 타야 신호, 명지, 하단으로 갈 수 있다. 그런데 58-1번은 좌석 노선이므로 이 노선보다 비싸다. 또 58-1번도 배차가 긴지라 낮은 확률로 이 버스가 먼저 들어올 수 있다. 그래서 환승할인이 불필요하거나 (목적지가 이 노선 정류소에서 걸어갈 수 있는 경우) 계속해서 창원 버스로 환승할 예정인 경우 더 싼 361번을 타는 경우도 있는 것. 27번신호등 교차로보다 서쪽으로는 이 노선과 [[부산 버스 58-2|58-2번]]만이 하단역으로 가지만 58-2번은 송정공원으로 우회하므로 시간만 맞으면 이 노선이 더 빠르다. * 이 노선이 생기면서 일반시내버스 요금인 1450원에 진해에서 하단역으로 갈 수 있다. 심지어 함안군 칠원읍/칠북면 일부지역에서도 1750원에 하단역으로 가는 것도 가능해졌다. 다만 진해에서 이 노선으로 환승하여 이동할 경우 배차간격이 길어 환승대기시간을 넘길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시간표 === ||<-2> [[파일:창원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창원시 간선버스 361번}}} || || {{{-1 해인로즈빌아파트}}} 출발 || 하단역 출발 || || 05:30 || 06:40 || || 06:50 || 08:00 || || 08:10 || 09:20 || || 09:50 || 11:00 || || 11:20 || 12:30 || || 12:50 || 14:00 || || 14:20 || 15:30 || || 15:50 || 17:00 || || 17:20 || 18:35 || || 18:50 || 20:05 || || 20:20 || 21:30 || || 21:50 || 22:55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하단역]] == 둘러보기 == [include(틀:하단역 환승센터 경유버스)] [include(틀:용원 경유 시내버스)] [include(틀:명지신도시 버스)] [[분류:창원시의 간선버스]][[분류:부산광역시를 경유하는 경상남도 시내버스]][[분류:2023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