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72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강북구의 여자고등학교]][[분류:오산학원(강북구)]]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강북구의 고등학교)] ||<-2> '''{{{#white {{{+1 창문여자고등학교}}}[br] 昌文女子高等學校[br]Changmun Girls’High School}}}''' || ||<-2> [[파일:창문여고.png]] || ||<-2> [include(틀:지도, 장소=창문여자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1972년]] || || {{{#white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성별'''}}} || [[여학교]] || || {{{#white '''형태'''}}} || [[사립]] || || {{{#white '''학교법인'''}}} || 학교법인 오산학원 || || {{{#white '''교장'''}}} || 배윤근 || || {{{#white '''교감'''}}} || 정영 || || {{{#white '''교훈'''}}} || 참답게 착하게 꽃답게 || || {{{#white '''교화'''}}} || [[진달래]] || || {{{#white '''교목'''}}} || 벽오동 || || {{{#white '''학생 수'''}}} || 922명[br]([[2023년]] [[4월]]) || || {{{#white '''교직원 수'''}}} || 86명[br]([[2023년]] [[4월]]) || || {{{#white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성북강북교육지원청]] || || {{{#white '''주소'''}}} || [[서울특별시]] [[강북구]] 월계로 61 ([[미아동]], 창문여자고등학교) || || {{{#white '''홈페이지'''}}} || [[http://changmun.sen.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창문여중고교사.jpg|width=370]]|| || 학교 전경 ||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에 위치한 [[사립]] [[여자고등학교]]이다. 같은 재단에 속한 창문유치원, [[창문여자중학교]]와 함께 있다. == 학교 연혁 == [[파일:창문여고 연혁.jpg]] 출처: 창문여자고등학교 홈페이지 == 교훈 및 상징 == [[파일:창문여고 상징.jpg]] 출처: 창문여자고등학교 홈페이지 === 교가 === 창문여중과 창문여고의 교가는 동일하다. == 학교 특징 == 미술거점학교로 예체능계열 학생들의 대학 진학률이 매우 좋은 편이다. 펜싱부 학생들은 주로 천보실을 이용한다. 운동부로는 펜싱부와 세팍타크로부가 있다. == 학교 시설 == '''본관''': 1,2학년 학생들이 이용한다. 교과교실제로 인해 쉬는시간마다 다음 교실로 이동하는 학생들의 불평불만을 들을 수 있다. 계속되는 학부모 항의 때문에 22년부터는 2개의 층만 이동하며 수업을 듣는다고 한다. --이럴거면 교과교실제를 왜 하는건지 모르겠다-- 5층에 1학년 홈베이스, 3층에 2학년 홈베이스가 있다. 1학년 홈베이스는 너무 높이 있는 탓에 고층에 교실이 있는 학생이 아니면 --귀찮아서-- 잘 이용하지 않는다. '''천보실''': 3학년 학생들이 이용한다. 급식실 위쪽에 위치해있으며 기숙사(경당서실)도 이곳에 있지만 코로나 때문에 아예 운영하고 있지 않다. -2023년 기숙사를 다시 운영하고 있다. '''급식실''': 코로나로 한칸씩 띄어 앉아 급식을 먹을 때는 자리가 부족해 학생들의 자리를 지정해줬다. --마치 식당처럼-- 평소에도 앉고싶은대로 앉는게 아니라 급식을 받은 순서대로 선생님이 자리를 지정해준다. -2023년부터 자유롭게 앉을 수 있게 되었다. '''진수당''': 미술거점 학교와 펜싱부 헬스장 이외에는 [[창문여자중학교]]에서 이용한다. '''강린당''': 통합교무실, 교장실, 위클래스, 방송부실과 학생회실 등이 있다. 등굣길에 보이는 노란문이 강린당이다. --언제 쓰는지 모를-- 녹음부스가 3층에 있다. '''기영관'''(도서관): 리모델링하여 2018년도에 재개관했다. 내부에 카페가 있으나 학생들은 이용하지 못하게 한다.--수익을 위한 곳이 아닌 직업교육을 위한곳이라-- 기영관 자체 와이파이가 존재해 인터넷이 잘 되는 편. == 학교 생활 == 학교 내신 성적, 생활 태도를 반영하여 성적이 상위권 학생들만 [[기숙사]](경당서실)에 들어갈 수 있다. 기숙사 방 배치, 책상 모두 성적을 반영한다. === 주요 행사 ===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창문가족한마당: 5월 * 오산예연: 11월 === 학과 === 방과후 프로그램 중에 타학교 학생들과 함께하는 미술거점 프로그램이 있다. 그 외 문 이과, 펜싱부, 세팍타크로부 등이 있다 == 운동부 == 펜싱부와 세팍타크로부를 육성하고 있다. 한 때 [[핸드볼]]부를 운영했으나[* 김귀년 설립자가 대한핸드볼협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해체되었다. 2022 제 103회 전국체전(울산광역시)에서 펜싱부 단체전 1위, 개인전 1위 세팍타크로부 1위를 한 바있다.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로즈리]] - [[EBS]] 스타강사 * [[박선숙]] - 정치인 * [[신숙희]] - 법관 * [[안소희]] - 前 [[원더걸스]] 출신 가수. * [[오유진(2000)|오유진]] - 배우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 창문여고 앞 || [[서울 버스 강북05|강북 05번]] [[서울 버스 강북09|강북 09번]] [[서울 버스 강북11|강북 11번]] || || 창문여고 앞 || 간선 [[서울 버스 100|100번]] [[서울 버스 103|103번]] [[서울 버스 111|111번]] [[서울 버스 172|172번]] 지선 [[서울 버스 1017|1017번]][* 월계동행만 경유] [[서울 버스 1137|1137번]] 공항 [[공항버스 6011|6011번]] || === 지하철 === [[수도권 전철 4호선]] [[미아사거리역]] 2번 출구 학교 바로 앞에 지하철을 만들고 있는 중이다. 2026년 7월 완공 예정이며 종종 수업 중에 폭탄 소리가 들린다. == 사건·사고 ==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 기타 == • 학교 이름을 따서 1995년 입학한 1979년생 동창회를 [[윈도우 95]], 1998년 입학한 1982년생 동창회를 [[윈도우 98]], 2000년 입학한 1984년생 동창회를 [[윈도우 2000]] 등으로 부른다고 한다. • 교과교실제를 시행 중이다. 3학년 제외. • 진수당 2층에서 귀신을 봤다고 하는 학생들이 꽤 많다. • 화장실에 휴지가 없다. 학교는 예산이 부족해서 그렇다고하는데 이것 때문에 학원 홍보지를 휴지나 물티슈와 함께 돌리면 학생들이 그때 받은 휴지를 주로 이용한다.- 2022년 오랜 시간에 걸친 학생회의 노력으로 모든 화장실 휴지 설치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