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취규정'''}}}[br]{{{-1 昌德宮 聚奎亭}}}}}}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덕궁 취규정,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1640년]] {{{-1 (창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취규정.png|width=100%]]}}} || || {{{#gold ''' 취규정[* [[https://twitter.com/chlove_u/status/658902333145743360/photo/2|사진 출처 - 문화재청 트위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fn10s0YPXo)]}}}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소요정, 취한정, 농산정, 청의정, 태극정과 같이 소개한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 [[창덕궁/건축물#s-4|후원]]의 [[정자(건축물)|정자]]이다. 관람지 권역에서 [[창덕궁 옥류천|옥류천]] 권역으로 가는 길 [[언덕]]에 있다. 북향(北向)이다. 주로 [[왕]]이 쉬거나 [[책]]을 읽는 곳으로 사용했다. == 이름 == '취규(聚奎)' 뜻은 '규성(奎)으로 별들이 모인다(聚)'이다. 규성(奎星)은 [[전통]] [[별자리]]인 이십팔수 중의 하나로 '문(文)'을 주관하는 [[별]]이다.[* [[서양]] [[별자리]] 중에서는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안드로메다자리]]에 대응한다.] 즉, [[학문]]에 힘쓸 [[인재]]가 모이기 바라는 염원을 담은 이름이다.[[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JinGc946Q1nSp01RIikfH3LbQWi1olFSGe75sY1gn1t58jtD4wFoZNTl5cyzcjHy.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6065§ionId=ocp&pageIndex=1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 == 역사 == 1640년([[인조]] 18년)에 지었다. 1688년([[숙종(조선)|숙종]] 14년)에 고쳐지었고 이후 큰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옛날 취규정.png|width=100%]]}}} || || {{{#gold ''' 왼쪽은 《동궐도》의 취규정(붉은 원 안), 오른쪽은 《조선고적도보》의 취규정 '''}}} || == 구조 == *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목조]] [[건물]]로 5량가 구조이다. 칸 수는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총 3칸이다. 사방이 트여있다. 가운데 칸으로만 실내에 들어갈 수 있다. * 2단 짜리 기단 위에 [[건물]]을 올렸다. [[주춧돌]]은 사각이며 출입 칸 하단부에는 [[계단]] 역할을 하는 1단 짜리 장초석을 놓았다. *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기와]]를 얹어 마감했다. [[용두]]와 취두를 올렸으나 [[잡상]]은 두지 않았다. [[처마]]는 홑처마이며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다. [[기둥]]은 사각이다. * 바닥은 전부 우물[[마루]]이다. 실내의 주심도리와 중도리 사이는 서까래가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조성했으나 중앙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만들었다. 측면 천장은 부챗살 모양의 선자서까래가 보이는 구조이다. * 칸 하단부마다 머름 형태 [[난간]]을 둘렀다. 단, 실내로 출입할 수 있는 가운데 칸 북쪽 부분의 하단부는 제외다. * [[현판]]은 흰 바탕에 검은 글씨이며, 가운데 칸 북쪽 부분의 [[도리]]에 걸려있다. == 여담 == * [[일제강점기]]였던 1912년 4월에 [[순종(대한제국)|순종]]이 [[순정효황후]] 및 [[종친]], [[조선귀족|귀족]]들과 [[창덕궁]] [[후원]]에서 [[꽃]] 구경을 할 때 여기에 간이 [[가게]]를 설치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zc_10504016_00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v2JmEsjpE0)]}}}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창덕궁 후원에서 만나는 한권의 책' 행사 홍보 영상.[br]시기는 2016년 가을이다. '''}}} || 2010년부터 [[문화재청]]에서 매년 [[봄]]과 [[가을]]에 여는 '창덕궁 후원에서 만나는 한권의 책' 행사 장소로 사용한다. 정자 내부에 책을 비치해두어 시민들이 후원의 경치를 보며 [[독서]]할 수 있게 한다.[* [[창덕궁 영화당|영화당]], [[창덕궁 폄우사|폄우사]], [[창덕궁 존덕정|존덕정]]도 장소로 활용한다.] 행사 기간은 일정하지 않으나 대략 4월 중순 ~ 5월 중순(봄), 10월 중순 ~ 11월 중순(가을)이다. 창덕궁 후원 입장료만 내면 별도로 들어가는 돈은 없다. 2020년에는 [[SARS-CoV-2|코로나 19]] 사태로 진행하지 않았다.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