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참물범}}}(잔점박이물범)[br]Harbor seal}}}'''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rbor seal.jpg|width=100%]]}}}|| || [[학명|{{{#000 '''학명'''}}}]] || ''' ''Phoca vitulina'' '''[br]Linnaeus, 1758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s-3.2|{{{#000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식육목(Carnivor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아목'''}}}]] ||개아목(Caniformia)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물범과(Phocidae) || || [[생물 분류 단계#s-3.8|{{{#000 '''속'''}}}]] ||물범속(''Phoca'') || || [[생물 분류 단계#s-3.9|{{{#000 '''종'''}}}]] ||'''참물범'''(''P. vitulina'')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어]]''' || 참물범, 잔점박이물범 || || '''[[영어]]''' || Harbor seal || || '''[[중국어]]''' || 港海豹 || || '''[[일본어]]''' || ゼニガタアザラシ || }}}}}}}}}|| [[파일:물범 뽀뽀.jpg]]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태평양]], [[북대서양]] 연안에서 서식하는 [[바다표범]]의 일종이다. == 상세 == 늦가을부터 늦봄까지 [[뉴욕]]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더 자주 볼 수 있는 지역은 그 중에서도 Fire Island National Seashore와 Montauk Point State Park이다. 대부분의 물범이 북반구의 얼음이 덮힌 해안에 사는데 비하여 이 물범은 온난한 해안에 산다. 번식기 동안에 가장 힘이 센 수컷이 6∼7마리 정도의 암컷을 거느리나 물개처럼 집단을 이루지는 않는다. [[어류]], [[오징어]], [[조개]]를 먹는다. 물범의 위쪽은 어두운 회색에 밝은 점이 있고 아래쪽은 이보다 더 밝은 색이다. 가끔 [[한반도]]로 회유하기도 하며, [[점박이물범]]과 비슷하지만 골격과 생태적으로 차이가 있다. 천적은 [[범고래]], [[상어]][* 주로 [[백상아리]]나 [[뱀상어]]다.]다. 국내 [[동물원]], [[아쿠아리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해양포유류이다. 2023년 기준 참물범을 볼 수 있는 곳은 다음과 같다. 동물원: [[서울동물원]][* [[점박이물범]]도 함께 사육중], [[에버랜드/주토피아|에버랜드 주토피아]], [[대전 오월드]], [[우치공원#우치공원 동물원|우치공원 동물원]] 등 아쿠아리움: [[코엑스 아쿠아리움]], [[아쿠아플라넷 63]],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아쿠아플라넷 일산]], [[플레이아쿠아리움 부천]], [[대전 아쿠아리움]], [[대구 아쿠아리움]], [[아라마루 아쿠아리움]], [[아쿠아플라넷 여수]], [[아쿠아플라넷 제주]] 등 해외동물원: [[우에노동물원]] [각주] [[분류:물범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