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기네스 등재 기록, TitleEn=Most videogame voiceover performances as the same character, TitleKr=가장 많이 수록된 비디오 게임의 동일한 캐릭터의 성우 연기, Link=https://www.guinnessworldrecords.com/world-records/539489-most-videogame-voiceover-performances-as-the-same-characterr, Who=Charles Martinet, What=총 104회, Where=영국, When_Y=2019년, When_MD=8월 14일)] ||<-2>
{{{#ffffff '''{{{+1 찰스 마티네이}}}'''[br]Charles Martine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찰스 마티네이.jpg|width=100%]]}}} || || '''본명''' ||'''찰스 안드레 마티네이[br]{{{-1 (Charles Andre Martinet)}}}''' || || '''직업''' ||[[배우]], [[성우]] || ||<|2> '''출생''' ||[[1955년]] [[9월 17일]] ([age(1955-09-17)]세)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호세(미국)|산호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91cm[* [[https://www.imdb.com/name/nm0553409|출처]]] || || '''학력'''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UC 버클리]] {{{-2 (학사)}}} || || '''활동 시기''' ||배우|[[1986년]] ~ 현재[br]성우|[[1991년]] ~ 현재 || || '''링크''' ||[[https://www.imdb.com/name/nm0553409|[[파일:IMDb 로고.svg|height=20]]]] [[https://vine.co/u/1114052811714400256|[[파일:Vine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facebook.com/charles.martinet.1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harlesmartinet, 크기=20)] [[https://instagram.com/charlesmartinetitsam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우]] 겸 [[성우]]. [[프랑스계 미국인]]이며[* 마리오의 영향 때문인지 한때 이탈리아계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성인 Martinet도 [[프랑스어]]식으로 t를 묵음화한 mar-tin-AY, '마티네이'로 발음한다.[* 이름 철자 때문에 자주 '찰스 마티넷'이라고 잘못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프랑스어식 발음은 '''샤를 마르티네'''다. 영어로는 단어 끝에 ㅔ 발음이 올 수 없어서 ㅔㅣ로 대체해서 발음한다([[E]] 문서 참조).] == 생애 == [youtube(jcdIqTFgWRA)] 1955년에 [[캘리포니아]] [[산호세(미국)|산호세]]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적에는 [[스페인]]과 [[프랑스]]에 거주한 적이 있고 고등학교 졸업도 프랑스에서 했다. 어린 시절 대부분을 유럽에서 보냈기 때문에 [[영어]] 뿐 아니라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도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 이후 [[미국]]으로 돌아와 [[UC 버클리]]를 졸업했다. 1986년부터 배우 활동을 시작하여 영화 및 드라마에서 꾸준히 활동을 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70gC_IY1eqw|1991년]][[https://www.youtube.com/watch?v=R1t6iNG28zI|부터]] 마리오와 루이지의 성우로 활동하기도 했지만, 1994년에 발매된 마리오 티치스 타이핑(Mario Teaches Typing) CD-ROM 버전에서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의 성우를 맡은 것을 시작으로[* 플로피 디스크 버전에서는 로널드 B. 루벤(Ronald B. Ruben)이 맡았다.][* 그리고 찰스는 1995년에 MS-DOS용으로 발매된 [[마리오의 게임 갤러리]]에서도 마리오 성우를 맡았다.], 1996년 [[닌텐도 64]]의 런칭작인 [[슈퍼 마리오 64]]에서 정식으로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전담 성우가 되면서 '''세계적인''' 인기 반열에 올랐다.[* 참고로 마리오 티치스 타이핑과 [[마리오의 게임 갤러리]]는 닌텐도가 아닌 [[인터플레이]] 제작이다. 즉, 초기엔 공식 성우는 아니었다.] 마리오의 성우를 맡게 된 이유는 그가 뛰어난 방언 연기(특히 이탈리아식 악센트)를 보였던 것을 [[닌텐도]]가 높이 샀기 때문이라고 한다. 물론 그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다. 성우 오디션에 참가했을 때 늦게 도착해, 면접관들이 철수하려던 직전에야 겨우 들어와 오디션을 볼 수 있었기 때문. 이때 면접관들은 "[[브루클린]]에 있는 [[이탈리아인]] 배관공을 연기해보라"라는 과제를 냈는데, 시간이 없어서 제대로 준비하지도 못했다고 한다. 심지어 오디션 보기 전에는 마리오는커녕 [[비디오 게임]]이 뭔지조차 몰랐다고. 그렇다보니 비디오 게임 캐릭터라는 특징은 무시한 채 '[[이탈리아계 미국인]] 배관공' 캐릭터에 초점을 맞추어 순전히 애드립으로 커버하였는데 다음은 그 대사 중 일부이다. >Hello, I'm-a Mario, let's make a pizza pie together. >You go get some-a sausage, I'm-a go get some spaghetti, we put spaghetti and-a sausage in the pizza. >---- >안녕, 난 마리오야, 같이 피자 파이를 만들자. >넌 소시지를 가져와, 난 스파게티를 가져올게. 피자에 스파게티와 소시지를 넣을 거야. 면접관들은 강렬한 그의 연기에 깊은 인상[* 처음엔 찰스가 너무 길게 연기하자 말하는 것을 끊으며 "알겠어요, 이제 그만. 테이프가 더 이상 없어요. 수고하셨고 곧 연락 드릴게요."라고 퉁명스럽게 말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찰스가 면접실을 나가다가 면접관이 닌텐도에 전화를 하며 "마리오를 찾았어요. 찾았다구요!"라고 하는 것을 들었다고 한다.]을 받아 닌텐도에 연락해 그를 마리오 성우로 기용케 했다. 찰스 본인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천운이 따른 것이었지, 만에 하나 조금이라도 더 늦어서 면접관들이 철수했다면 마리오의 성우는 다른 사람이 되었을 것이다. === 성우 활동 === [[파일:[1920x1080] vtime=[2_31], take=[2023-05-22 16.53.40].png|width=630]] 마리오 성우로 발탁된 후 처음 맡았던 일은 1991년 [[라스베가스]] 전자 박람회의 닌텐도 부스에서 사람의 얼굴 위치와 표정을 실시간으로 3D화 해주는 헤드기어를 착용하고 모니터 뒤에서 마리오 흉내를 내면서 관객들과 대화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은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는 어디 갔냐면서 그도 불러달라는 요청을 많이 했는데, 이에 그는 루이지는 부끄럼을 많이 타거나 바빠서 못 나온다는 핑계를 대면서도 즉흥적으로 루이지의 목소리도 훌륭하게 연기하면서 [[마리오 카트 64]] 북미판부터 루이지 및 [[와리오]]의 성우도 함께 맡게 되었다. 그리고 나중에는 [[와루이지]]의 성우도 맡으면서 1인 4역을 겸하게 되었다. 이들 넷의 목소리는 같은 성우라는 것은 눈치채기 쉽지만 각 캐릭터들의 개성을 기가 막히게 살려낸 덕에 목소리가 비슷하다는 느낌은 전혀 나지 않는다. 그나마 루이지와 와루이지가 비슷한 편. [youtube(3fWPTHO0kg0)] [[마리오 & 루이지 RPG 시리즈]]에선 마리오와 루이지가 긴 대화를 할 때 [[이탈리아어]]처럼 들리는 아무말을 중얼거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전형적인 [[아무 말 대잔치]]인지라 실제 이탈리아어 화자들도 알아들을 수 없다고 한다. 마리오 역할로 너무 유명하다보니 다른 역을 맡기라도 하면 필연적으로 마리오 드립이 같이 나온다. 본인부터가 인터뷰에서도 언제나 "It's-a me, Mario!"를 깔고 시작한다.[* 보통은 "이츠 미! 마리오~ 우후~!" 로 알려져 있지만, 이탈리아 억양이 들어가 있어 실제로는 "이쯔 미~"에 가깝다.] 찰스 마티네이 본인 또한 마리오 시리즈 캐릭터들의 성우 활동을 매우 즐기고 있으며, 인터뷰에서 죽을 때까지 마리오의 성우를 맡고 싶다고 말했다. 동시에 자신이 더 이상 마리오의 목소리를 낼 수 없을 것 같으면 닌텐도에 다른 사람을 찾아보라고 말할 것이라 밝혔다. [[https://www.thegamecrater.com/charles-martinet-interview/|#]] 2017년 연말에는 마리오에게 보내는 Q&A에서 찰스 마티네이가 목소리로 대답해주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ngvvr1C2bLHFLZzvN06gfmopvJjQX8HE|#]] 2018년 12월 7일,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으로 100번째 마리오 연기를 한 뒤로 가장 많이 수록된 비디오 게임의 동일한 캐릭터의 성우 연기에 대한 내용으로 기네스 북에 등재되었다. [[https://twitter.com/CharlesMartinet/status/1073644309755412480|#]]) 2023년 8월 21일, 마리오 프랜차이즈의 성우 활동에서 '''[[마리오 + 래비드 반짝이는 희망]]을 마지막으로 은퇴'''하고 [[대사#大使|친선대사]] 역할을 맡을 것임이 발표되었다.[* 마리오 프랜차이즈의 성우 활동을 그만뒀을뿐이며 성우 활동 자체는 은퇴하진 않았다.] [[https://twitter.com/NintendoAmerica/status/1693624002982314108|영어]] [[https://twitter.com/Nintendo/status/1693624080581152969|일본어]] 이후 마리오와 루이지는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원더]]부터, 와리오는 [[끝내주게 춤춰라 메이드 인 와리오]]부터 [[케빈 아프가니]]가 맡게 되었다. [[https://twitter.com/Kotaku/status/1693668453201158360|#]] 친선대사 임명 발표영상에서 미야모토 시게루를 '''[[덕업일치|마리오 목소리로 "아빠"]]'''라고 부르며 많은 팬들을 뭉클하게 했다.[[https://youtu.be/eoNbkSgMqjM|#]] 상술한 찰스 마티네이의 마리오 역할에 대한 애정과 그와 관련된 발언을 보면 정황상 세월의 흐름으로 마리오의 목소리를 내는 것에 무리가 온 것으로 인해 마리오 프랜차이즈 성우 활동에서 물러나게 된 것으로 보인다. == 출연작 == ※ 가나다순 정렬. === 애니메이션 === * [[죠죠의 기묘한 모험]] OVA - [[윌슨 필립스(죠죠의 기묘한 모험)|윌슨 필립스]] * [[드래곤볼 슈퍼 슈퍼 히어로]] - 마젠타 === 게임 === * [[라쳇 & 클랭크 시리즈|라쳇 & 클랭크 퓨처:시간의 틈새]] - [[올버스]] * '''[[마리오 시리즈]] (1991년 ~ 2023년)''' *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 '''[[베이비마리오]]''', '''[[베이비루이지]]''' *''' [[와리오]], [[베이비와리오]], [[와루이지]]''' * [[메탈마리오]], 섀도우 마리오, 미니 마리오, 로보 마리오[*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판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로봇 마리오.], [[쿵쿵]] * '''[[동키콩]]'''[* 2001-2004. 그 뒤로는 [[나가사코 타카시]]가 맡는다.], '''[[디디콩]]'''[* 역시 2004년까지. 그 뒤로는 [[스즈키 카츠미]]가 맡는다.] * [[마무(마리오 시리즈)|마무]][* [[슈퍼 마리오 USA]]에서 등장하는 최종보스 개구리인데, 2001년에 발매된 [[슈퍼 마리오 어드밴스]]에서 맡았다.], 가위게, 삼두사, [[찍두기]], 파이어 가이[* 앞의 4보스는 [[슈퍼 마리오 USA]]에서 등장하는 보스인데, 2001년에 발매된 [[슈퍼 마리오 어드밴스]]에서 맡았다.] * [[섀도우 오브 메모리즈]] - [[호문쿨루스]] * [[슈퍼 펀치 아웃!!]] - 등장하는 캐릭터 전부 * [[엔드 오브 이터니티]] (영문판) - 라거펠트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파서낙스]]''' * [[BIT.TRIP|Bit.Trip Presents Runner 2: Future Legend of Rhythm Alien]], [[BIT.TRIP|Runner3]] - 내레이터 === 외화, 드라마 === * [[더 게임(미국 영화)]] - 니콜라스의 아버지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마리오 형제의 부모님|마리오 형제의 아버지]][* 본작에서 마리오 역은 배우 [[크리스 프랫]]이 캐스팅되었다. 이 때문에 영화 내 본인의 캐스팅이 밝혀지기 전까지 마리오 성우 교체가 맞는 결정이었나 캐스팅 논란이 있었던 편. 자세한 것은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마리오의 성우 관련|항목]] 참조.], 주세페[* 영어뿐 아니라 '''한국어'''를 포함한 '''전 세계 대부분의 더빙판에서 주세페 역을 맡았다'''.] === 다큐멘터리 === * [[하이 스코어(넷플릭스)]] - 나레이션 === 기타 === * 프로젝트 2014 - 고질라 vs. 쿱질라 - [[마리오]], [[루이지]] == 기타 == || [youtube(rvhnxf_qqOU)] || || 찰스 마티네이와의 인터뷰 || * 본인의 [[소셜 네트워크]]에서 자기가 맡은 캐릭터들의 피규어를 가지고 일상 속에서 [[만담]]을 하는 게 많이 있으니 한번 보자. * [[미야모토 시게루]]에게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의 [[링크(젤다의 전설 시리즈)|링크]]를 연기하고 싶다고 했는데 거절당했다고 한다. [[http://gonintendo.com/?p=104332|시게루는 링크는 목소리가 없는 게 좋다고 말했다고 한다.]] 결국 링크의 성우는 일본 성우인 [[타키모토 후지코]](소년)와 [[히야마 노부유키]](청년)가 담당하는데, 대사 없이 기합, 비명만 외치는 캐릭터가 되었다. * 오랫동안 마리오 역을 맡다 보니 마리오가 되는 꿈을 꾼다고 한다. [[슈마갤]] 같은 분위기 속 달빛 아래 호수나 바다 위를 날아가거나, 가끔 2D로 된 꿈을 꿀 때도 있다고 한다. [[https://www.gamesradar.com/legendary-mario-voice-actor-charles-martinet-on-his-favorite-characters-and-why-he-now-dreams-in-2d/|#]] * 인터뷰에서 한 팬의 요청으로 [[호텔 마리오]]의 마리오 대사를 시전한 적이 있다. [[https://youtu.be/K2xTvwkkK50|"All toasters toast toast!"]] * 신장이 191cm나 된다고 한다. 평균 신장이 큰 편인 서구권 사람이라는 것을 감안해도 장신이며 특히 나이에 비해 여전히 상당한 체격이다. *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마리오 시리즈 성우들 중 최고령이었으나, 2008년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Wii]]부터 [[모톤(마리오 시리즈)|모톤]],[* 단, 모톤은 현재 다른 성우로 교체되었다.] [[부웅부웅]]역의 1950년생 라니 미넬라가 들어옴으로써 최고령 자리에서는 물러나게 되었다. == 관련 문서 == * [[배우/서구권]] * [[성우/북미]] [[분류:미국 남배우]][[분류:미국의 영화 배우]][[분류:미국 남성 성우]][[분류:1955년 출생]][[분류:1986년 데뷔]][[분류:1991년 데뷔]][[분류:산호세(미국) 출신 인물]][[분류:프랑스계 미국인]][[분류:UCB 출신]][[분류:마리오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