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차문절공유사목판.jpg]] [[http://www.yeosuculture.or.kr/cheritage/cjeonam?m=view&bbs_id=ycdocultural&p=1&search_category=&seq=57|사진 출처]] [목차] == 개요 == 車文節公遺事. [[고려]]말의 유학자이자 충신으로 알려진 차원부(車原頫)의 문적을 [[조선]]의 7대왕인 [[세조(조선)|세조]]가 모으고 이를 1851년([[철종(조선)|철종]] 2년)에 간행한 책. 총 2권 1책이며, 현재 전남 [[광양시]]에 있는 차문절공유사 목판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12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설암설원록(雪巖雪寃錄)이라고도 부른다. 고려말의 유학자이자 화가로, 특히 [[매화]]를 잘 그려 수많은 매화 그림을 남겼다고 전해지는 운암(雲巖) 차원부(車原頫, 1320~1398)가 [[고려]]의 멸망 및 [[조선]]의 개국에 대하여 자신의 [[공신]]지위 사퇴라는 행위로 소극적인 불만을 알리다가 이를 건방지게 여긴 당시 [[이방원]](훗날 [[태종(조선)|태종]])의 명에 의해 송원(松原) 거리에서 자신 및 일가족 80여명 전원이 맞아죽고 관련 작품들도 [[기록말살형]]급으로 모조리 소각당했다. 훗날 조선의 4대왕인 [[세종대왕|세종]]이 이 사건에 대해 알아본 후 다른 어리석고 불순한 고려추종 반동인들은 몰라도 차원부만은 억울하게 죽은 면이 있다고 보고 [[황보인]](皇甫仁)에게 명을 내려 그의 신원을 회복하게 하고 시중으로 추증, 순천의 운암사(雲巖祠)에 제향하게 하면서 처음으로 복권이 이루어졌다. 이후 조선의 7대왕이 된 세조는 과거 아버지 세종이 복권시켰던 고려시대 충신 차원부라는 인물이 당시 수많은 작품을 남겼던 유명 예술가 및 화가였다는 이야기를 듣고 남아있는 그의 작품들을 모으려 했다. 하지만 전국에서 찾아본 결과 태종의 손에 의해 이미 그가 자랑하던 매화 그림 및 기타 회화 작품들은 모두 소멸되고 없었다. 하다못해 그가 남긴 일반 문적이라도 남아있는 것은 모조리 모으게 했으나 이것마저 결국 찾아낸 건 죽기 직전 쓴 유고시 2편 및 기타 작품들을 합쳐 총 10여편 정도밖에 남아있지 않았다. 고려 충신이라는 인물의 작품이 고작 이것밖에 남아있지 않다는 것에 아쉬워했지만 결국 이 몇편의 작품들에 후대의 인물들이 차원부의 행적을 예찬하여 지은 글들을 추가하여 한권의 책으로 만들어 놓았다. 이렇게 세조가 차원부의 작품을 모아놓은 후 오랜 세월이 지나 지속적으로 책이 간행되어 왔다. 1708년(숙종 34)에 황해도 평산에서 간행된 것이 남아있는 기록 중 최초의 것이고, 이후 1768년(영조 44)에 경상도 김천에서, 1781년(정조 5)에 황해도 서흥에서, 1791년(정조 15)에 운각에서 각각 책이 간행되어 왔다. 현재 전해지는 것은 1851년(철종 2)에 차석주가 편찬한 것이다. 상권은 유고로 시 2수, 설원록(雪寃錄)에 관계된 제공성씨 1편이 있고, 다음에 설원록으로 1455년(세조 1) 하위지(河緯地)가 쓴 서문 1편, 기(記) 1편, 응제시 61수, 끝에 최현(崔睍)의 발문 1편이 실려 있다. 이 중 차문부가 직접 쓴 것은 유고시 2수 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하권은 세계도·기실(紀實) 각 1편, 부록으로 행장·사실(事實) 각 1편, 추술집록(追述輯錄) 20수, 축문·상량문·봉안제문·상향축문(常享祝文)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대부분 후대의 사람들이 차문부를 위해 지은 제사 축문, 제문, 추술록, 행장 등이다. 이 중 설원록은, 차문부가 고려말의 유신(遺臣)으로 절의를 지켜 조선이 개국한 뒤 벼슬에 나가지 않다가, 1398년(태조 7) 왕자의 난 때 태종의 군대에 죽임을 당하였는데, 뒤에 억울한 사실이 밝혀져서 세조가 신원(伸寃)시켜주고 문절(文節)이라는 시호까지 내렸다는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응제시는 세조의 명에 의하여 신하들이 문절공의 행적을 예찬하여 지은 글이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2452&cid=46649&categoryId=4664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차문절공유사]]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5361&cid=40942&categoryId=32892|두산백과 : 차문절공유사]]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120000,36&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차문절공유사목판 (車文節公遺事木板)]] >고려말 조선초기의 문신인 차원부(1320~1407)의 유문(遺文)과 관련 기록을 <차문절공유사>라는 이름으로 엮어 1791년에 새긴 목판 53판이다. 중앙기관인 운각(芸閣)관 관련되고 빠진 것이 없이 전체가 보존되어 오고 있어 인쇄사적으로 가치가 크다. [[분류: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분류:조선의 도서]][[분류:광양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