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fbb917><-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870_f00_s0.png|width=40]] 0870 [[대여르]] || [[파일:icon0871_f00_s0.png|width=40]] '''0871 {{{#000,#fff 찌르성게}}}''' || [[파일:icon0872_f00_s0.png|width=40]] 0872 [[누니머기]] || ||<#fbb917><-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63366><-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 목록|{{{#FFFFFF 가라르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본토)|본토]]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853MS.png]] 352 [[케오퍼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871MS.png]] '''353 {{{#000,#fff 찌르성게}}}'''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58MS.png]] 354 [[타만타]]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갑옷섬도감(DLC)|갑옷섬]] || || [[파일:768스위치아이콘.png]] 125 [[갑주무사]]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871MS.png]] '''126 {{{#000,#fff 찌르성게}}}'''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47MS.png]] 127 [[더시마사리|시마사리]]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왕관설원도감(DLC)|왕관설원]]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877MS.png]] 157 [[모르페코]]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871MS.png]] '''158 {{{#000,#fff 찌르성게}}}'''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63MS.png]] 159 [[대굴레오]]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본토)|본토]] || || [[파일:875MS.png|width=40]] 320 [[빙큐보]] || [[파일:871MS.png|width=40]] '''321 찌르성게''' || [[파일:769MS.png|width=40]] 322 [[모래꿍]] || }}}}}}}}} || }}} ||<#fbb917>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모습|모습]][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871 찌르성게.png|width=50%]] || || 찌르성게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fbb917> {{{#FFFFFF 이름}}} ||<#fbb917> {{{#FFFFFF 도감 번호}}} ||<#fbb917>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871_f00_s0.png|width=40]][br]'''찌르성게''' [br] バチンウニ(바칭우니) [br] Pincurchin || 전국: 0871[br]가라르: 353^^본토^^ / 126^^갑옷섬^^ / 158^^왕관설원^^[br]팔데아: 321^^본토^^ || [include(틀:전기타입)] || [anchor(앵커-특성)] ||<-2><#fbb917>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ㅍ#피뢰침|피뢰침]] || 전기 타입 공격을 끌어모아 특수공격을 1랭크 올린다. || || *[[포켓몬스터/특성/ㅇ#일렉트릭메이커|일렉트릭메이커]] || 등장 시 필드를 일렉트릭필드 상태로 만든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fbb917> {{{#FFFFFF 포켓몬}}} ||<#fbb917> {{{#FFFFFF 분류}}} ||<#fbb917> {{{#FFFFFF 신장}}} ||<#fbb917> {{{#FFFFFF 체중}}} ||<#fbb917> {{{#FFFFFF 포획률}}} || || 0871 찌르성게 || 성게 포켓몬 || 0.3m || 1.0kg || 75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수중1, 부정형 || 20 || 1,000,000 || [anchor(앵커-모습)] ||<-2><#fbb917> {{{#FFFFFF 모습}}} || ||<#fbb917> {{{#FFFFFF 모습}}} || [[파일:pincurchin.gif]][br]0871 찌르성게 || [anchor(앵커-방어 상성)] ||<-3><#fbb917>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 [include(틀:땅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fbb917><-8> [[종족치|{{{#FFFFFF 종족치}}}]] || ||<#fbb917> {{{#FFFFFF 포켓몬}}} ||<#fbb917> {{{#FFFFFF HP}}} ||<#fbb917> {{{#FFFFFF 공격}}} ||<#fbb917> {{{#FFFFFF 방어}}} ||<#fbb917> {{{#FFFFFF 특수공격}}} ||<#fbb917> {{{#FFFFFF 특수방어}}} ||<#fbb917> {{{#FFFFFF 스피드}}} ||<#fbb917> {{{#FFFFFF 합계}}} || || [[파일:icon0871_f00_s0.png|width=40]][br]찌르성게 || 48 || 101 || 95 || 91 || 85 || 15 || 435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871_f00_s0.png|width=40]][br]{{{#FFFFFF 찌르성게}}}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fbb917>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fbb917> [[파일:icon0871_f00_s0.png|width=40]][br]{{{#FFFFFF 0871 찌르성게}}} || || 소드 ||가시 끝에서 전기를 발산한다. 날카로운 이빨로 바위에 붙은 해초를 갉아 먹는다. || || 실드 ||가시 하나하나에 전기를 비축하고 있다. 부러진 가시도 3시간 동안 방전을 계속한다. || || 스칼렛 ||먹이를 소화시킬 때 전기를 만들어 낸다. 5개의 단단한 이빨로 해초를 갉아 먹는다. || || 바이올렛 ||해초가 닿기만 해도 놀라서 방전해 버릴 정도로 겁쟁이다. 입술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 ||<-2><#fbb917>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개요 == 8세대에서 새로 추가된 포켓몬으로 모티브는 [[성게]]. 왠지 시무룩해 보이는 세모 눈동자와 [[금구슬|어딘가 묘하게 생긴]] 노란색 주둥이가 특징이다.[* 주둥이가 노란색인 이유는 실제 성게 생식소가 노란색이라 그런 듯하다.] 처음 유출되었을 때에는 동그란 몸매와 몸에 나 있는 가시 때문에 리전 폼 [[해무기]] 혹은 그 진화형이라는 추측이 많았으나, 나중에 해무기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개별 포켓몬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참고로 해무기 역시 본작에서 등장한다. 소드 실드 양 쪽 모두에서 등장하지만, 문제는 극악한 출현률. 9번 도로에서 '''5%'''라는 낮은 확률로 출현한다. 그나마 전기타입인 덕분에 정전기 특성인 포켓몬을 선두에 두면 쉽게 조우할 수 있다. 전기타입이 없다면 얌전히 [[맥스 레이드배틀]]로 얻는 것이 나을 정도. 또한 라이벌 [[호브]]가 사용하는 포켓몬 중 하나. [[릴리요]], [[아말도]], [[독개굴]], [[저리더프]], [[메더]], [[칼라마네로]], [[케오퍼스]]의 뒤를 이어 수생생물이 모티브이지만 물타입이 붙지 않는 케이스이다. 그러면서도 메더처럼 물타입 공격기술은 제대로 배우는 것이 특징. == 스토리 == ||<#fbb917>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 Swsh || || {{{#FFFFFF 포지션}}} || 저속 쌍두 어태커 || || {{{#FFFFFF 활용도}}} || 5점 만점 기준 4.1점 || || {{{#FFFFFF 장점}}} || 넓은 기술폭, 준수한 쌍두 종족치와 내구, 좋은 방어 상성, 자체회복기 보유, 땅 타입 견제 가능 || || {{{#FFFFFF 단점}}} || 매우 낮은 스피드, 극단적으로 낮은 출현율, 늦은 등장 시기, 드래곤 타입 견제 불가 || || {{{#FFFFFF 대체 포켓몬}}} || ? || || {{{#FFFFFF 특성}}} || 피뢰침 or 일렉트릭메이커[* 수면기 미보유 팀 한정.] || || {{{#FFFFFF 추천되는 도구}}} || 자석, ? || || {{{#FFFFFF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 고릴타, 에이스번, 인텔리레온 || || {{{#FFFFFF 서브 포켓몬}}} || 아머까오, 윽우지 || || {{{#FFFFFF 추천 기술배치}}} || 찌리리따끔따끔(필수)/독찌르기/지옥찌르기/아쿠아브레이크or기습/추억의 선물/자폭 || || {{{#FFFFFF 포획지}}} || 9번도로 || || {{{#FFFFFF 유의사항}}} || ? || 자력기로 HP 회복, 스파크->찌리리따끔따끔, 물 대포->거품 광선, 독 찌르기 등 4칸을 채울 정도의 기술폭은 충분히 나온다. 기술 머신까지 합쳐주면 보복, 리벤지 등 배울 기술이 좀 더 늘어나고, 레코드까지 가면 좀 더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다만 스피드가 15로 너무 느리고, 물리가 특수보다 조금 높은 쌍두형임에도 물 타입 기술은 모두 특수기라 레코드가 강제된다. 기습은 유전기이므로 스토리만으로 스피드를 보완하기가 쉽지는 않고, 일렉트릭 메이커는 숨겨진 특성이라 와일드에리어 노가다를 돌아야 한다. 물 기술로 땅 타입을 견제할 수는 있지만 그 땅 타입 포켓몬들보다도 느리기 때문에, 자속 지진을 쓰는 포켓몬 앞에서는 얌전히 빼자. 스토리에서는 라이벌인 호브가 사용한다. 성게니까 물타입이겠지 싶지만 의외로 전기타입. 내구는 중간은 가지만 HP가 낮아서 고화력 1배로도 충분히 상대가 가능하다. == 대전 == [[저리더프]]처럼 물 속에 사는 생물이 모티브임에도 타입은 단일 전기다. 방어 상성이 매우 좋은데다가, 약점을 찔리며 동시에 전기 0배인 땅 타입에게 대항할 수 있는 물 타입 기술을 배우기 때문에 트릭룸에서는 저항할 수 있다. 종족치를 보자면 저속 쌍두형. 공격과 특수공격이 비슷하고, 스피드는 원래 바닥이라 용감/냉정 성격을 채용할 수 있으니 원하는 대로 굴릴 수 있다. 그리고 이 공격 101이 '''8세대 전기 타입 공격 1위'''에 해당하고, 후술할 일렉트릭메이커에 의해 실제 화력은 더욱 높다. 다만 [[와일드볼트]]를 배우지 못해 가장 강한 물리 자속기가 찌리리따끔따끔으로 그치는 것이 아쉬운 점.[* 다만 기본 체력이 낮은 만큼 반동기인 와일드볼트의 위험도 크고, 찌리리따끔따끔도 상당히 강력한 기술이라서 와일드볼트의 부재가 그리 큰 단점은 아니다.] 그 외 단점은 체력으로, 방어랑 특수방어는 양호하지만 체력이 낮아서 실질 내구는 떨어진다. 물리 쪽의 경우에는 [[찌리리따끔따끔]]을 배울 수 있어서 자속기 걱정은 문제 없고, [[독찌르기]], [[보복]], [[지옥찌르기]], [[아쿠아브레이크]], [[기습(포켓몬스터)|기습]], [[자폭(포켓몬스터)|자폭]][* 대폭발은 못 배운다.] 등 강력한 비자속기들을 많이 배운다. 특수 쪽은 자속기로는 [[10만볼트]]와 [[번개(포켓몬스터)|번개]], [[라이징볼트]]를 배우고, 서브웨폰으로는 [[하이드로펌프]], [[파도타기]], [[열탕]], [[베놈쇼크]], [[병상첨병]]을 배운다. 보조기는 [[압정뿌리기]], [[독압정]], [[추억의선물]], [[전기자석파]], [[HP회복]], [[일렉트릭필드]] 등을 배운다.[* 이 중 전기자석파는 병상첨병과 연계 가능, 독압정은 병상첨병과 베놈쇼크 둘 다 연계 가능하다.] 실전에서 좋은 기술이 많고, 상술했듯이 스피드가 낮아 스피드 하락 성격을 채용하고 쌍두형으로 굴릴 수도 있으니 활용할 수 있는 형태는 많을 것이다. 특성 일렉트릭메이커와 [[베놈트랩]], [[독압정]], [[압정뿌리기]], [[경혈찌르기]][*더블배틀], [[헤롱헤롱]], [[전기자석파]], [[열탕]], [[추억의선물]]을 활용해 기점 마련 서포터로 사용할 수 있다. 살짝 애매한 공격력 때문에 쌍두 딜러로 차별화가 어렵고, [[독압정]], [[압정뿌리기]]를 깔고 [[추억의선물]]로 상대를 엿먹인 다음에 퇴장할 수 있는 훌륭한 포켓몬이기에 필드 깔이 서포터로 쓰는 것도 추천한다. 특성은 둘 다 실용성이 좋다. 피뢰침은 전기에 약한 포켓몬을 보호하는 동시에 찌르성게의 특공을 올릴 수 있는데, 공격이 더 높긴 하지만 특공도 91이나 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특수형으로 키우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숨겨진 특성이 '''일렉트릭메이커'''인데, 카푸꼬꼬꼭과 함께 일렉트릭메이커를 보유한 유이한 포켓몬이다. 일렉트릭필드 보정을 받은 공격 풀보정 아이템 미장착 [[찌리리따끔따끔]]의 결정력이 26,208이며, 특공 풀보정 아이템 미장착 [[10만볼트]]의 결정력은 27,553, [[라이징볼트]]의 2배 적용 결정력은 '''42,861'''가 나온다. 일단 [[카푸꼬꼬꼭]]에 비하면 스피드가 너무 느리기에, 일반적인 파티에서는 대체로 일렉트릭필드를 깐 뒤 후공으로 강력한 전기 공격을 먹인 후 기습으로 마무리하여 1인분을 노리는 단순한 전략 정도만 가능하다. 따라서 제대로 써먹으려면 트릭룸 파티의 전기 타입 딜러로 써먹는 것이 좋다. 트릭룸에서는 20족도 모두 제치고 선공권을 보장받으며, 찌리리따끔따끔에 붙어있는 30% 풀죽음의 효과도 크게 누릴 수 있다. 어차피 스피드를 깎으므로 공격과 특수 중 한쪽에 몰빵하고 체력을 최대로 보정하면 나름 딜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공격/특공 중 보정하지 않은 쪽의 기술도 하나 정도는 써먹을 만하다. 비록 [[냉동빔]]은 배울 수 없지만, 아쿠아브레이크, 하이드로펌프, 파도타기 등 물 타입 견제기를 배울 수 있어 땅 타입 견제가 가능하므로 다른 전기 타입에 비해서 형편이 좋은 편이다. 다만 대다수의 전기 포켓몬이 고전할 수 밖에 없는 물/땅 타입에게는 찌르성게도 별 수 없다. 풀 타입 포켓몬 혹은 하다못해 풀 타입 견제기를 배워 이들을 견제할 수 있는 포켓몬은 필수이다. 9세대에서는 [[열탕(포켓몬스터)|열탕]]을 몰수당하고 일렉트릭필드를 전개하면서도 일렉트릭필드 상태에서 가장 높은 능력치를 올려주는 사실상 상위호환인 [[미라이돈]]이 등장했지만 초전설 포켓몬이라 랭크배틀 사용에 제약이 걸리고, [[카푸꼬꼬꼭]]이 전송 불가 포켓몬이 됨에 따라 유일한 일렉트릭메이커 특성을 보유한 포켓몬으로서 가치가 올랐다. 특히나 특유의 기점마련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바이올렛 버전 [[패러독스 포켓몬]]의 특성인 쿼크차지를 발동 시켜줄 수 있어서 패러독스 포켓몬의 금지가 풀린다면 핵심 포켓몬으로서 활약할 여지가 생겼으며 풀 테라스탈을 통해 물/땅 타입 포켓몬에게도 저항할 수 있게 되었다. 여태껏 못 배웠던 [[와일드볼트]]를 배울 수 있게 되어 화력이 조금 상승한 것도 덤. == 기타 == * 팔데아지방에서는 [[코산호]]가 등장하지 않아 찌르성게가 [[시마사리]]의 주 먹이가 되었다는 도감 내용이 있다. 그래서 시마사리의 도감 삽화는 시마사리가 찌르성게를 노리는 듯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다만 타입 상성에 의해 시마사리가 오히려 전류가 흐르는 가시에 찔려 마비되는 경우도 있는 듯 하다. * 이로치는 주둥이 색깔이 주황색으로 좀 더 진한 성게 정소 색으로 변한다. * 동그란 몸체에 튀어나온 부분이 있어 동일한 생김새인 해무기, 누니머기와 엮인다. 귀엽다는 평도 많다. == 삽화 == ||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871 찌르성게 dex.png|width=50%]] || || '''찌르성게'''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 {{{#FFF 이름}}} ||<:>{{{#FFF 유래}}} || || 한국어 || 찌르성게 || 찌르다 + 성게 || || 일본어 || バチンウニ || || || 영어 || Pincurchin[* Pinc'''h'''urchin으로 잘못 쓰이는 경우가 많다.] || Pincushion(바늘방석, 바늘꽂이) + Urchin(성게) || || 중국어(번체) || || || || 중국어(간체) || || || [[분류:8세대 포켓몬]][[분류:전기타입 포켓몬]][[분류:진화체가 없는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