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짤툰)] [목차] == 개요 == >이것이 근본이다! 짤툰 오리지널 시리즈 >---- >재생목록에 있는 설명 [[짤툰]]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정리하는 문서다. 짤툰을 대표하는 컨텐츠이지만 현재는 [[일기 시리즈|인기]] [[상여자(짤툰)|시리]][[짐승친구들/4기|즈들]]에 비해선 인기가 떨어지는 편이다. 그래도 요즘 [[짤툰]] 조회수가 매우 감소세인 걸 생각하면 [[짤툰/콘텐츠|그 외의 콘텐츠들]]보다는 조회수가 상당히 잘 나오는 편이다. 요즘에는 짤툰 오리지널도 다른 각본가가 쓰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 여는영상 == === 구버전 === [[파일:짤툰_오리지널.gif|width=600&align=center]] 왼쪽 위에서부터 탈룰라 편에 나온 진수, 중고 거래 편에 나온 할머니, 뒷광고 편에 나온 오늘의리뷰왕TV, 주작충, 마녀사냥, 사이버렉카 편에 나온 백수tv(정우), 문과 VS 이과 편에 나온 민재, 사이버 강의, 중고 거래, 힙스터, 불매운동 편에 나온 노공만 교수[* 알고리즘 편에서 나이가 68세로 밝혀졌다. ][* 짐승친구들이나 병영일기 같이 주연이 따로 정해져 있는 작품들을 제외하면 짤툰 영상들에서 주연 또는 조연으로 '''가장 많이 나온 인물'''이다. 카메오로도 정말 많이 출연했다.], 웃음을 못 참는 남자, 재택근무 편에 나온 박부장, 폰은정 편에 나온 은정, 각각 개 VS 고양이 편과 서열 정리 편에 나온 강아지 두 마리, 국밥충 편의 ~~정지찬~~주인공, 상여자 편의 주정연[* 현재는 '상여자' 콘텐츠로 간 상태다.], 햄최몇 대회, 독서실 빌런 편에서 나온 김진붕, 강아지 키우는 법 편에서 나온 빠꾸, 금연 편에서 나온 아기 준식이 있다. === 신버전 === [[파일:짤툰 오리지널 아이캐치 2022.gif|width=600&align=center]] 2021년 7월 26일에 업로드된 불륜충 편부터 새로운 여는 영상이 나왔다. 어느 순간부턴 아이캐치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추세다. 이는 다른 콘텐츠들도 마찬가지. == 목록 == === [[짤툰 오리지널/2019년|2019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짤툰 오리지널/2019년)] === [[짤툰 오리지널/2020년 상반기|2020년 상반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짤툰 오리지널/2020년 상반기)] === [[짤툰 오리지널/2020년 하반기|2020년 하반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짤툰 오리지널/2020년 하반기)] === [[짤툰 오리지널/2021년 상반기|2021년 상반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짤툰 오리지널/2021년 상반기)] === [[짤툰 오리지널/2021년 하반기|2021년 하반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짤툰 오리지널/2021년 하반기)] === [[짤툰 오리지널/2022년 상반기|2022년 상반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짤툰 오리지널/2022년 상반기)] === [[짤툰 오리지널/2022년 하반기|2022년 하반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짤툰 오리지널/2022년 하반기)] === [[짤툰 오리지널/2023년|2023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짤툰 오리지널/2023년)] === [[결혼지옥(짤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결혼지옥(짤툰))] == 파생된 콘텐츠 == === [[짤툰/콘텐츠/사탄|사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짤툰/콘텐츠/사탄)] === [[짤툰/콘텐츠/상여자|상여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짤툰/콘텐츠/상여자)] === [[찐찐짤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찐찐짤툰)] == 평가 == 초반에는 레전드인 국밥충, 탈룰라 등이 나왔고 B급 개그와 예리한 풍자로 조회수도 굉장히 높았고 팬층을 많이 영입하면서 평가도 괜찮게 전개되었다. 하지만 점점 심해지는 뇌절과 광고, 그리고 [[짐승친구들/3기|짐승친구들]]과 [[짤툰/콘텐츠/일기 시리즈|일기 시리즈]] 등의 등장으로 재미의 대체제가 나와 조회수는 하루당 많으면 60만회 정도로 크게 떨어졌다. 짤툰이 유튜브에 처음 진출했을 때의 B급 감성이 대부분 사라지고 풍자의 재미도 많이 식어버려 기존 팬들 사이의 평가가 크게 떨어졌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짤툰/콘텐츠, version=1321)] [[분류:짤툰]][[분류:짤툰 오리지널]][[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