京哈铁路 (Jīnghā Tiělù) Beijing-Harbin (Jingha) Railway ||<:>'''노선명''' ||<:>징하철로 (京哈铁路) || ||<:>'''종류''' ||<:>간선철도 || ||<:>'''영업거리''' ||<:>1249 km || ||<:>'''궤간''' ||<:>1435㎜ || ||<:>'''역수''' ||<:>17 || ||<:>'''기점''' ||<:>[[베이징역]] || ||<:>'''종점''' ||<:>[[하얼빈역]] || ||<:>'''신호''' ||<:>[[추가바람]] || ||<:>'''개업일''' ||<:>1912년 || ||<:>'''운영노선''' ||<:>[[추가바람]] || [목차] == 개요 == 징하철로는 베이징과 하얼빈을 연결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철도노선이다. 중국철도총공사가 운영및 관리한다. 총 영업거리는 1249 km로 노선상에는 17개 역이 위치하고있다. 징후선의 '징'은 베이징을 의미하며 '하'는 당연히 하얼빈을 뜻한다. 전구간이 복선이며 25000V 50Hz로 전철화되어있다. 베이징에서 하얼빈에 이르기까지 모든 구간이 지상구간이며 지하구간은 없다. 징하선은 중국철도총공사의 [[8종8횡계획]]에 포함되는 중요 노선이다. == 역사 == 징하선은 석탄수송을 목적으로 1881년 개통한 탕산 개평-수거좡간 철도노선을 전신으로한다. 당시 개통한구간은 10 km가 채 안되었으며 마차철도에 지나지않았다. 이 탕산 개평-수거좡간 탕수선은 중국이 자력으로 건설한 최초의 철도노선이다. 1882년 마차만 다니던 이 노선에 증기기관차가 다니게되면서 탕수선은 1888년에 서쪽으로 톈진까지 그리고 1893년에 동쪽으로 산해관까지 연장되었다. 톈진까지 연장되었던 노선은 후에 현 베이징남역과 베이징역까지 연장되었다. 이후 수많은 연장공사를 거치며 현재의 베이징-하얼빈의 노선에 이르게되었다. == 역 목록 == ||<|2> ㎞ ||||역명 ||||<|2>소재지|| || 중국어 표준 표기법 || 간체자 || || ''0''||베이징[br] ||北京 ||||<|2> 베이징 || || ''5''||동베이징 ||北京东 || || ''151''||북탕산 ||唐山北 || 탕산시 ||<|5> 허베이성 || || ''208''||루안 ||滦县 || 루안현 || || ''276''||북다이허 ||北戴河 || 북다이허시 || || ''299''||친황다오 ||秦皇岛 || 친황다오시 || || ''315''||산하이관||山海关 || 친황다오시 || || ''437''||북후루다오||葫芦岛北 || 후루다오시 ||<|6> 랴오닝성 || || ''480''||남진저우 ||锦州南 || 진저우시 || || ''549''||북판진 ||盘锦北 || 판진시 || || ''653''||랴오중 ||辽中 || 랴오중현 || || ''703''||북선양||沈阳北 || 선양시 || || ''771''||톄링 ||铁岭 || 톄링시 || || ''889''||쓰핑 ||四平 || 쓰핑시 ||<|3> 지린성 || || ''942''||궁주링||公主岭 || 궁주링시 || || ''1003''||창춘||长春 || 창춘시 || || ''1249''||하얼빈||哈尔滨 || 하얼빈시 || 헤이룽장성 || [[분류:중국의 철도 노선]][[분류:1912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