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냉전)] ||<-2> '''{{{+1 집단 안보 조약 기구}}}[br]Организация Договора о Коллектив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br]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 || ||<-2>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 ||<:> [[파일:집단안보조약기구기.svg|width=100%]] || [[파일:집단안보조약기구 엠블럼.svg|width=75%]] || ||<#0067c0> '''깃발''' ||<#0067c0> '''엠블럼''' ||}}} || || '''창설일''' ||[[2002년]] [[10월 7일]] || || '''회원국''' ||6개국(정회원)[br]1개국(참관국) || || '''공용어''' ||[[러시아어]] || || '''사무총장''' ||[[카자흐스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8px]]]] 이만갈리 타스마감베토프 || || '''의장''' ||[[아르메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28px]]]] [[니콜 파시냔]] || || '''합동참모장'''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8px]]]] [[아나톨리 시도로프]] 상장 || || '''본부''' ||[[러시아]] [[모스크바]] || || '''링크''' ||[[http://odkb-csto.org/|[[파일:집단안보조약기구 엠블럼.svg|width=25]]]] | [[https://vk.com/odkb_sekretariat|[[파일:VK 아이콘.svg|width=25]]]] | [[https://ok.ru/group/55330394079395/topics|[[파일:오드노클라스니키 아이콘.svg|width=25]]]] | [[https://t.me/odkb_csto|[[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집단안보조약기구'''(ОДКБ, CSTO)는 2002년 10월 7일에 창설된 옛 소련의 구성 공화국 6개국의 집단안전보장 조직이다. == 상세 == [[러시아]] [[모스크바]]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공식 언어는 [[러시아어]]이다. [[독립국가연합]](CIS)에 가입한 [[러시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이 [[몰도바]] [[키시너우]]에서 체결하였다. 이후 우즈베키스탄이 [[2006년]] [[6월 23일]]에 가입했지만 [[2012년]] [[6월 28일]]에 탈퇴하면서 회원국 현황은 [[유라시아 연합]]과 거의 유사하다.[* 타지키스탄은 유라시아 연합에는 가입하지 않았다.] 원래는 러시아,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이 [[1992년]] [[5월 15일]]에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조약을 맺고 여기에 [[아제르바이잔]]이 1993년 9월 24일에, [[조지아]]가 12월 9일에, 벨라루스가 31일에 이 조약에 추가로 서명했다. 이 조약은 1994년 4월 20일에 효력이 발생해 조약의 유효 기간은 효력이 발생한 날짜로부터 5년으로 정했다가 1999년 4월 2일에 맺어진 조약의 유효 기간을 5년으로 더 늘리자는 협약에 대해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우즈베키스탄이 거부하며 무산되었다. 그렇게 이대로 조약이 사라지는 듯하다가 결국 [[21세기]]이후인 2002년에 다시 이 조약은 부활했다. 회원국 [[아르메니아]]가 엮인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서는 [[나고르노카라바흐]]는 방어 대상이 아니라서 개입하지 않을 것이고 만약 아르메니아 본토가 공격받을 경우에는 개입할 것이라 밝혔다.[[https://news.am/eng/news/606573.html|#]] 2022년 새해에 벌어진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카자흐스탄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개입하였다.[[https://m.yna.co.kr/view/AKR20220106020800009?section=international/all|#]] 2021년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의 국경분쟁이 발생했다. 2022년 9월 13일부터 회원국 [[2022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국경분쟁|아르메니아의 본토가 아제르바이잔에게 공격받았고]] 조약에 따라 러시아가 도와줘야 했지만, 사실상 거부당했다고 한다. 2022년 9월 15일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 사이의 국경분쟁이 재발했다.[[https://twitter.com/vestnikstabilno/status/1577556294105432064?s=46&t=sRF7QhuOh3Leo4e3TTvjgw|#]] 2023년 1월 아르메니아의 총리 [[니콜 파시냔]]은 CSTO의 합동군사훈련 개최를 거부했다. 아제르바이잔과의 분쟁에서 제대로 돕지 않는 러시아에 대한 불만으로 보인다.[[https://mirrorspectator.com/2023/01/05/armenia-abandoned-by-allies-says-pashinyan/|#]],[[https://eurasianet.org/armenia-refuses-to-host-csto-exercises|#]] == 회원국 == === 공식 회원국 === [include(틀:집단 안보 조약 기구)] === 참관국 ===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세르비아]] *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width=24]]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탈퇴한 회원국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24]] [[우즈베키스탄]]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4]] [[조지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24]] [[아제르바이잔]] == 군사 == [[파일:CSTO군훈련카자흐스탄에서.jpg|width=500]] 훈련 중인 집단신속대응군.[* 2018년 10월 8일 키르기스스탄에서 찍은 사진이다.] NATO와 마찬가지로 다국적군이 있다. 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서 훈련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러시아 관련 문서)] [include(틀:타지키스탄 관련 문서)] [각주] [[분류:집단 안보 조약 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