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은성의 동의보감 시리즈)]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3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fff '''연극·영화·TV부문 대상'''}}} || || 제12회[br]([[1976년]]) || {{{+1 →}}} || '''제13회[br]([[1977년]])''' || {{{+1 →}}} || 제14회[br]([[1978년]]) || || 유랑극단{{{-2 (연극)}}} || {{{+1 →}}} || '''집념''' || {{{+1 →}}} || [[화려한 외출(1978)|화려한 외출]] || ||<-5> {{{#ffffff '''영화부문 작품상'''}}} || || 제12회[br]([[1976년]]) || {{{+1 →}}} || '''제13회[br]([[1977년]])''' || {{{+1 →}}} || 제14회[br]([[1978년]]) || || [[왕십리(영화)|왕십리]] || {{{+1 →}}} || '''집념''' || {{{+1 →}}} || [[화려한 외출(1978)|화려한 외출]] || ||<-5> || ||<-2> {{{+2 '''집념'''}}} (1977)[br]執念 | ''Concentration of Atten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집념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최인현]] || || '''원작''' || [[이은성(작가)|이은성]] || || '''각본''' || [[이은성(작가)|이은성]] || || '''제작''' || 김용덕 || || '''제작사''' || 우성사 || || '''기획''' || 서림, 박용빈 || || '''촬영''' || 장석준 || || '''조명''' || 이현우 || || '''편집''' || 김희수 || || '''음악''' || 최창권 || || '''미술''' || 조경환 || || '''출연''' || [[이순재]], [[김신재]], [[김창숙(배우)|김창숙]], [[최남현]], [[박병호(배우)|박병호]], [[김인태(배우)|김인태]], [[김영인(1940)|김영인]] || || '''협찬''' || 허준선생기념사업회[br]경희한방연우회 || || '''개봉일''' || [[1977년]] [[6월 25일]] || || '''개봉관''' || 국제극장 || || '''관람인원''' || 3,286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허준]]의 일대기를 그린 1977년 개봉작. 1975년~1976년 [[MBC]]에서 방영한 드라마 [[집념(드라마)|집념]]의 극본을 썼던 [[이은성(작가)|이은성]]이 "다시 깊이 있게 만들어 보고 싶다"고 하여 주로 [[사극]]을 연출했던 [[최인현]] 감독[* 《태조 왕건》, 《이조상노비사》, 《홍길동》, 《집념》, 《관세음보살》, 《세종대왕》, 《소명》 등 총 연출작 64편 중 30편이 사극이다.]과 만나 제작하게 됐다. 최인현 감독은 이 작품으로 [[대종상]] 우수작품상과 감독상, [[백상예술대상]] 대상, 작품상을 수상하며 그의 대표작이 되었고, 생전에 자신이 가장 아끼는 작품으로 꼽곤 했다. 당시 [[최인현]] 감독은 허준의 [[초상화]]까지 입수하여 사실적 묘사에 공을 들였으며, [[이순재]]에게 이 같은 이미지를 계속 요구하는 바람에 애를 먹었다고 한다. 이은성은 드라마와 영화의 줄거리를 토대로 1984년 '일요건강'에 [[소설 동의보감]]을 연재했다. 드라마 [[집념(드라마)|집념]]에 출연했던 [[이순재]]는 영화에도 출연해 허준 역을 연기했으며 이후 드라마 [[동의보감(드라마)|동의보감]]과 [[허준(드라마)|허준]]에서도 [[허준(드라마)/등장인물#s-3.1|유의태]] 역할을 맡으면서 무려 이 시리즈의 4개 작품에 출연했다. == 줄거리 == 용천부사 허륜과 종인 손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허준]]은 새로운 인생을 위해 [[경상도]] [[산청]] 지방으로 간다. 그곳에서 삼적대사의 권고로 [[명의#名醫|명의]] [[유이태|유의태]]에게서 [[사사#s-1|사사]], 스승을 능가하는 신진기예 의원으로 성장한다. 온갖 모함과 질시 속에서도 성실과 노력으로 일관, [[선조(조선)|선조]] 때 [[어의#왕실 주치의|어의]]가된다. 때마침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선조를 목숨을 걸고 지키며 의서를 옮긴다. 그러나 [[흑사병]]의 전염을 막으려 하다가 자신도 죽게 된다. 이후 조정은 [[보국숭록대부]]와 양평군의 [[작호]]를 다시 내리고 죽음을 애도한다. == 수상 == * [[1977년]] * 제16회 [[대종상]] 우수작품상, 감독상([[최인현]]), 각본상([[이은성(작가)|이은성]]), 촬영상, 편집상 * 제13회 [[백상예술대상]] 연극·영화·TV부문 대상, 영화부문 작품상, 남자 최우수연기상([[이순재]]), 시나리오상([[이은성(작가)|이은성]]) [[분류:한국 영화]][[분류:1977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백상예술대상 대상 수상자]][[분류:백상예술대상 작품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