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창원시의 초등학교]] [[분류:1946년 개교]] [[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의 초등학교)] ||<-2> {{{#ffffff {{{+4 '''진해중앙초등학교'''}}}}}}[br]{{{#ffffff '''鎭海中央初等學校'''}}}[br]{{{#ffffff '''Jinhae Jungang Elementary School'''}}} || ||<-2> [[파일:진해중앙초등학교 교포 .jpg]] || || {{{#ffffff '''개교'''}}} || [[ 1946년 ]] [[ 5월 31일 ]] || || {{{#ffffff '''유형'''}}} || 공립 초등학교 || || {{{#ffffff '''성별'''}}} || 남녀공학 || || {{{#ffffff '''교장'''}}} || 박희자 || || {{{#ffffff '''학생 수'''}}} || 299명[*A 2023년 기준] || || {{{#ffffff '''교직원 수'''}}} || 53명[*A] || || {{{#ffffff '''관할 교육청'''}}} || [[경상남도교육청]] || || {{{#ffffff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태백서로]] 14번길 23 || || {{{#ffffff '''홈페이지'''}}} || [[http://jhjungang-p.gne.go.kr/jhjungang-p/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include(틀:지도, 장소=진해중앙초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목차] == 개요 == 1946년에 개교한 진해구 공립 초등학교이다. == 연혁 == || {{{#ffffff '''1920. 03. 25'''}}} || 진해 제 2공립 소학교 인가 || || {{{#ffffff '''1946. 05. 31'''}}} || 진해병산국민학교로 개교 || || {{{#ffffff '''1963. 05. 02'''}}} || 진해중앙국민학교로 교명변경 || || {{{#ffffff '''1980. 12. 14'''}}} || 병설유치원 설립인가 || || {{{#ffffff '''1996. 03. 01'''}}} || 중앙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 || {{{#ffffff '''2001. 06. 05'''}}} ||제30회 전국 소년체전 양궁 개인 2관왕 || || {{{#ffffff '''2007. 11. 09'''}}} || 경상남도 교육청지정 독서시범학교 운영 보고회 || || {{{#ffffff ''''2008. 06. 10'''}}} || 경상남도 교육청지정 녹색학교 선정 (2년간) || || {{{#ffffff '''2008. 10. 11'''}}} || 제9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 어울림상 수상 || || {{{#ffffff '''2008. 10. 23'''}}} || 경상남도 교육청지정 체육활동 우수학교 선정 || || {{{#ffffff '''2009. 01. 16'''}}} || 아름다운 교육상 전국 최우수상 수상 || || {{{#ffffff '''2009. 03. 01'''}}} || 진해교육청 지정 기초학력 책임지도 지역 중심학교 운영 || || {{{#ffffff '''2011. 01. 08'''}}} || 2010 청렴기관 인증 (경상남도교육청) || || {{{#ffffff '''2011. 03. 01'''}}} || 진해중앙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 || {{{#ffffff '''2015. 05. 28'''}}} || 교기 양궁부 제44회 전국소체 금2, 은1, 동1 획득 || || {{{#ffffff '''2016. 05. 29'''}}} || 교기 양궁부 제45회 전국소체 금1 획득 || || {{{#ffffff '''2021. 09. 01'''}}} || 제29대 김수정 교장 취임 || || {{{#ffffff '''2022. 01. 11'''}}} || 제75회 졸업식 || || {{{#ffffff '''2023. 03. 01'''}}} || 제30대 박희자 교장 취임 || == 상징 == 출처: 진해중앙초등학교 홈페이지 === 교포 === [[파일:진해중앙초등학교 교포 .jpg]] 푸르른 솔 빛 기상 과 진한 사랑의 향기 그리고 중앙의 무궁한 발전을 나타낸다고 한다. === 교화 === [[파일:진해중앙초등학교 교화.jpg]] 학생들의 밝고 맑은 마음을 나타낸다고 한다. === 교목 === [[파일:진해중앙초등학교 교목.jpg]] 꿋꿋한 기상과 중앙 초등학교의 무궁한 발전을 의미한다고 한다. === 교가 === [[파일:진해중앙초등학교 교가.gif]]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교내 웅변 대회 *영어 말하기 대회 *수련회 *채육대회 운동장에서 줄다리기 달리기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수학여행 6학년 학생들이 떠난는 여행으로 주로 서울을 간다. *소풍 소풍은 1년에 총 2번 봄, 가을에 간다. == 학교시설 == === 본관 === *본관은 총 3층이다. *1층에는 1학년 교실, 역사실[* 역사실 내부에는 과거 받은 상패들과 학교에서 과거에 사용하던 전자제품 집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 교무실, 교장실, 돌봄실, 도움반, 우유보관 냉장고가 있다. *2층에는 2학년, 3학년 교실, 방송실, 보건실, 컴퓨터실, 교사 휴게실이 있으며 *3층에는 4학년 교실,방과후교실 [* 3층의 경우 서편 개단으로만 올라갈 수 있다. ] *그리고 본관 외부 오른쪽에는 덩굴이 자라는 테이블 이 있다. *본관 바닥은 80~90년대 느낌 물씬 나는 마루 바닥이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왁스칠을 해줘야 한다. *실제로 과거에는 학생들이 청소시간에 청소하며 바닥에 왁스 칠도 하였다. *현재는 교실에 오래된 마루바닥은 교체한듯 하다. *건물이 보기에 오래돼 보이고 실제로 오래되었다. === 후관 === *후관은 총 2층이다. *1층에는 병설유치원, 급식실, 음악실, 방과후교실이 있다. *2층에는 5학년 교실, 과학실, 도서실이 위치해 있다. *그리고 학교 건물 중 유일하게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 신관 === *신관은 총 1층이며 6학년 교실이 위치해 있으며 영어 교실, 6학년 교사 연구실이 있다. === 체육관 === *체육관은 앞 무대 부분과 강당 그리고 체육교사 휴게실, 2층에는 창고가 있다. === 양궁장 === *양국 부원 들의 양궁 연습장이다. 입구는 펜스로 되어 있고 내부에는 양궁 과녁과 쉴수 있는 조그마한 공간이 있고 내부에는 양궁 관련 물품들이 있다. === 운동장 === *운동장은 인조잔디이다. *현재는 달리기 트렉이 흙이지만 과거에는 우레탄 트렉이였다. 하지만 당시 2016년 우레탄 트랙의 유해성 물질 문제가 전국적으로 퍼져 철거하고 흙으로 깔았다.[*관련뉴스 | [[https://n.news.naver.com/article/055/0000482721?sid=103]] ] *학교를 정면으로 봤을때 기준으로 왼쪽에는 주차장과 경비초소가 있으며 오른쪽으로는 창고 그리고 뒤쪽으로는 각종 운동기구와 지압시설, 밴치, 놀이터가 있다. *과거에 운동장 스탠드 오른쪽에 닭장과 토끼 우리가 있어 그곳에서 닭과 토끼를 키웠지만 지금은 없어졌다. === 병설유치원 === *위에도 말했듯 후관 1층에 위치해 있다. *2023년 기준 원아수는 8명이다. *여름에는 물놀이도 하며 후관 유치원 바로 앞에 놀이터가 있다. == 출신인물 == *[[김하균]] - 배우 *[[박성수(양궁)|박성수]] - 양궁선수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중앙초등학교(519813)'''}}}}}} [* 걸어서 정문까지 146m로 도보로 약 3분이 소요된다.] || || {{{#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F7CDC; font-size: .95em;" [[창원 버스 163|{{{#ffffff 16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F7CDC; font-size: .95em;" [[창원 버스 164|{{{#ffffff 164}}}]]}}} || || {{{#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1|{{{#ffffff 30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2|{{{#ffffff 30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2|{{{#ffffff 302-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2-2|{{{#ffffff 302-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3|{{{#ffffff 30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5|{{{#ffffff 30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6|{{{#ffffff 30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7|{{{#ffffff 30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15|{{{#ffffff 31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17|{{{#ffffff 317}}}]]}}}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진해대로와 충장로에서 오는 버스가 만나는 첫 정류장이어서 진해에 있는 모든 지선버스를 탈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1 {{{#373a3c,#dddddd '''중앙초교후문(504003/504004)'''}}}}}} [* 걸어서 정문까지 299m로 도보로 약 4분이 소요된다.] || || {{{#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BF15; font-size: .95em;" [[창원 버스 309|{{{#ffffff 309}}}]]}}} ||}}} == 기타 == 여담으로는 *학교가 사면이 막혀있다. 남쪽으로는 주택 들이 모여있으며 동쪽으로는 대나무 숲, 서쪽으로는 작은 하천과, 북쪽으로는 철길이 지난다. 다만 높은 담장으로 막혀 있다. 이처럼 교문을 통하지 않으면 외부로 나갈수 없다. *봄철 본관과 후관 사이 벚꽃나무들이 이쁘게 핀다. 주로 이시기 단체 사진을 찍는다. *본관 1층 중앙현관에 가보면 과거에 사용하던 수업종이 여전히 달려 있다 *본관 중앙현관을 나와 왼쪽으로 가면 작은 공간이 있는데 과거에 그 공간안에 다양한 식물을 키웠다. *주차장 쪽에 있는 오르막길에 오래된 소나무가 있다. *급식실 외부 주방으로 들어가는 통로 뒤에 전통장 발효장? 같은 곳이 있다. 내부에는 장독대도 있다. *본관 앞 화단에는 다양한 동상이 설치되어 있다. 기린, 코뿕소, 호랑이, 부모와 자식 동상 등이 있다. 과거에는 도색이 다 벗겨져 흉물스러웠지만 현재는 다시 칠해 깨끗해졌다. *진해에 있는 초등학교 중 30,237.1㎡ 약 9146평으로 부지가 가장 넓다. *학교의 규모에 비해 학생수가 매우 적은 편이다. 주변에 경화 초등학교만 봐도 학생 수가 457명이다. 이와 비교해 봐도 299명이면 매우 적은 수준이다. [* 이는 주로 대백동 경화동 인구 대부분이 노인들이기 때문이다. 추후 대야동이 재개발이 완료되고 새로운 아파트가 들어서면 학생 수가 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