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진주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상남도)]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fff {{{+2 진주시 갑}}}}}}'''[br]{{{-1 {{{#fff 진주시 일부[br]晉州市 甲[br]Jinju A}}}}}}}}}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진주시 갑.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60,833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남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진주시|{{{#000,#fff 진주시}}}]] 일부''' 천전동, 성북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가호동, 충무공동, 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 ||<-2> '''이전 선거구''' ||<-2> [[진주시(선거구)|진주시]] || ||<-2> '''신설년도''' ||<-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2004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박대출]]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강]] 서북-남부 생활권에 해당되는 선거구이며 현역 의원은 [[국민의힘]] 소속 3선인 [[박대출]]이다. 남강 이북 구도심 지역을 정확히 반으로 가르는 [[진주대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갑구다. [[진주성]], [[경상국립대학교]]가 이 선거구 내에 위치해 있다. 서부경남의 도농복합선거구인 만큼 대체적으로 보수성향이 두드러지는 선거구지만 [[진주혁신도시]], [[평거지구]], [[진주역세권개발사업]]을 비롯한 택지지구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민주당계 정당]] 지지 성향도 꾸준히 강해지고 있다. 특히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경남도지사 선거에서 진주에서 초.중.고를 졸업한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천전초-진주남중-진주동명고 졸업. 동명고를 제외하면 모두 갑 선거구에 해당한다.]가 자유한국당 [[김태호(1962)|김태호]]를 6.16% 차이로 꺾고 이기면서[* 이 수치는 사전투표 및 부재자투표를 제외한 선거당일 득표율 차이다. 그것까지 감안하면 진주에서 이 차이는 꽤 크다고 볼 수 있다.] 서부경남 최대도시인 진주시 전체에서의 우위를 만들어 김경수의 승리에 크게 공헌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의 여러 실책 등에 힘입어 다시 보수 우세 지역으로 돌아오고 있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2> 제13대 || [[조만후]] || [include(틀: 통일민주당)] ||<|2>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진주시 || || [[안병규]]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진양군 || ||<|2> 제14대 || [[하순봉]] ||<|3> [include(틀: 무소속)] ||<|2>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진주시 || || [[정필근]] || 진양군 || || 제15대 || [[김재천]]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진주시 갑 || || 제16대 || [[하순봉]]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진주시 || || 제17대 ||<|2> [[최구식]]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5> 진주시 갑 || || 제18대 || [include(틀:무소속)]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3> [[박대출]]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진주시 갑'''}}}}}}[br]{{{#ffffff ,,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망경동, 강남동, 칠암동, 성지동, 봉안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가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필근]](鄭必根) || 33,246 || 2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45.85% || 낙선 || ||<|2> {{{#ffffff {{{+5 '''2'''}}}}}} || 강일만(姜一萬) || 1,337 || 4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84% || 낙선 || ||<|2> {{{#ffffff {{{+5 '''3'''}}}}}} || 김도철(金道喆) || 1,083 || 5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49% || 낙선 || ||<|2> {{{#ffffff {{{+5 '''4'''}}}}}} || '''[[김재천]](金在千)''' || '''35,487'''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8.94%''' || '''당선''' || ||<|2> {{{#ffffff {{{+5 '''5'''}}}}}} || 안정원(安正湲) || 1,34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8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4,591 ||<|3> '''투표율'''[br]71.20% || || '''투표 수''' || 74,485 || || '''무효표 수''' || 1,984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진주시 갑'''}}}}}}[br]{{{#ffffff ,,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망경동, 강남동, 칠암동, 성지동, 봉안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가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최구식]](崔球植)''' || '''39,57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1.94%''' || '''{{{#000000 당선}}}''' || ||<|2> {{{#000000 {{{+5 '''3'''}}}}}} || 이기동(李基棟) || 18,800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4.67% || 낙선 || ||<|2> {{{#ffffff {{{+5 '''4'''}}}}}} || 정우근(鄭又根) || 524 || 5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0.69% || 낙선 || ||<|2> {{{#ffffff {{{+5 '''5'''}}}}}} || [[김재천]](金在千) || 9,30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2.21% || 낙선 || ||<|2> {{{#ffffff {{{+5 '''6'''}}}}}} || [[윤용근]](尹庸根) || 7,994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0.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1,138 ||<|3> '''투표율'''[br]63.87% || || '''투표 수''' || 77,367 || || '''무효표 수''' || 1,167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진주시 갑'''}}}}}}[br]{{{#ffffff ,,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망경동, 강남동, 칠암동, 성지동, 봉안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가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최진덕]](崔震德) || 28,366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1.22% || 낙선 || ||<|2> {{{#ffffff {{{+5 '''6'''}}}}}} || 차태선(車太善) || 1,736 || 4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2.52% || 낙선 || ||<|2> {{{#ffffff {{{+5 '''7'''}}}}}} || 김동철(金東徹) || 1,32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93% || 낙선 || ||<|2> {{{#ffffff {{{+5 '''8'''}}}}}} || [[김재천]](金在千) || 6,65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9.68% || 낙선 || ||<|2> {{{#ffffff {{{+5 '''9'''}}}}}} || '''[[최구식]](崔球植)''' || '''30,723'''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4.65%'''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26,291 ||<|3> '''투표율'''[br]55.29% || || '''투표 수''' || 69,822 || || '''무효표 수''' || 1,01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진주시 갑'''}}}}}}[br]{{{#ffffff ,,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망경동, 강남동, 칠암동, 성지동, 봉안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가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대출]](朴大出)''' || '''31,463'''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9.09%''' || '''당선''' || ||<|2> {{{#3AB34A {{{+5 '''2'''}}}}}} || [[정영훈(1968)|정영훈]](鄭永勳) || 18,361 || 3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2.81% || 낙선 || ||<|2> {{{#ffffff {{{+5 '''6'''}}}}}} || [[윤용근]](尹庸根) || 6,588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8.18% || 낙선 || ||<|2> {{{#ffffff {{{+5 '''7'''}}}}}} || [[권철현(1948)|권철현]](權喆鉉) || 1,852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3% || 낙선 || ||<|2> {{{#ffffff {{{+5 '''8'''}}}}}} || [[최구식]](崔球植) || 22,215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7.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1,559 ||<|3> '''투표율'''[br]61.87% || || '''투표 수''' || 81,401 || || '''무효표 수''' || 922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진주시 갑|{{{#ffffff {{{+1 '''진주시 갑'''}}}}}}]][br]{{{#ffffff ,,천전동, 성북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가호동, 충무공동, [br]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대출]](朴大出)''' || '''46,392'''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4.49%''' || '''당선''' || ||<|2> {{{#ffffff {{{+5 '''2'''}}}}}} || [[정영훈(1968)|정영훈]](鄭永勳) || 28,861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3.89% || 낙선 || ||<|2> {{{#ffffff {{{+5 '''5'''}}}}}} || 이혁(李爀) || 9,884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1.6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6,372 ||<|3> '''투표율'''[br]59.10% || || '''투표 수''' || 86,509 || || '''무효표 수''' || 1,372 || ||<:><-6> {{{#FFFFFF '''20대 총선 경남 진주시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무소속)]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박대출|{{{#FFFFFF '''박대출'''}}}]] ||<:> [[정영훈(1968)|{{{#FFFFFF '''정영훈'''}}}]] ||<:> [[이혁|{{{#FFFFFF '''이혁'''}}}]] || || '''득표수[br](득표율)''' ||<:>{{{#FFFFFF '''46,392 [br] (54.49%)'''}}} ||<:> '''28,861 [br] (33.89%)''' ||<:> '''9,884 [br] (11.61%)''' ||<:> '''-17,531 [br] (▼20.60)''' ||<:> '''59.10%''' || || '''문산읍''' ||<:> {{{#CA252B 61.44%}}} ||<:> 29.27% ||<:> 9.29% ||<:> △32.17 ||<:> 53.17 || || '''내동면''' ||<:> {{{#CA252B 59.11%}}} ||<:> 30.01% ||<:> 10.88% ||<:> △29.10 ||<:> 61.05 || || '''정촌면''' ||<:> {{{#CA252B 72.28%}}} ||<:> 20.43% ||<:> 7.29% ||<:> △51.85 ||<:> 62.49 || || '''금곡면''' ||<:> {{{#CA252B '''73.92%'''}}} ||<:> 17.72% ||<:> 8.36% ||<:> △'''56.20''' ||<:> 61.50 || || '''명석면''' ||<:> {{{#CA252B 70.90%}}} ||<:> 19.80% ||<:> 9.29% ||<:> △51.10 ||<:> 54.55 || || '''대평면''' ||<:> {{{#CA252B 70.18%}}} ||<:> 17.95% ||<:> 11.87% ||<:> △52.23 ||<:> 64.92 || || '''수곡면''' ||<:> {{{#CA252B 69.72%}}} ||<:> 20.18% ||<:> 10.09% ||<:> △49.54 ||<:> 57.36 || || '''천전동'''[*A 법정동 강남동 · 칠암동 · 망경동 · 주약동,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 및 [[진주고속버스터미널]]이 있는 동네] ||<:> {{{#CA252B 58.85%}}} ||<:> 29.60% ||<:> 11.55% ||<:> △29.25 ||<:> 57.57 || || '''성북동'''[*B 법정동 본성동 · 남성동 · 중안동 · 인사동 · 계동 · 봉곡동, [[진주성]]이 있는 동네] ||<:> {{{#CA252B 67.10%}}} ||<:> 22.69% ||<:> 10.21% ||<:> △44.41 ||<:> 48.06 || || '''평거동'''[*F 법정동 평거동(일부) · 신안동(일부)] ||<:> {{{#CA252B 50.16%}}} ||<:> 38.03% ||<:> 11.81% ||<:> △12.13 ||<:> 56.69 || || '''신안동'''[*G 법정동 신안동(일부), [[진주교육대학교]]가 있는 동네] ||<:> {{{#CA252B 55.30%}}} ||<:> 32.01% ||<:> '''12.69%''' ||<:> △23.29 ||<:> 57.74 || || '''이현동'''[*H 법정동 이현동 · 유곡동] ||<:> {{{#CA252B 58.01%}}} ||<:> 30.21% ||<:> 11.78% ||<:> △27.80 ||<:> 56.34 || || '''판문동'''[*I 법정동 판문동 · 평거동(일부) · 귀곡동] ||<:> {{{#CA252B 49.50%}}} ||<:> 38.31% ||<:> 12.19% ||<:> △11.19 ||<:> 59.20 || || '''가호동'''[*J 법정동 '''가'''좌동 + '''호'''탄동, [[경상국립대학교 가좌캠퍼스]] 및 [[진주역]]이 있는 동네] ||<:> {{{#CA252B 49.89%}}} ||<:> 37.55% ||<:> 12.56% ||<:> △12.34 ||<:> 55.93 || || '''충무공동'''[*K [[진주혁신도시]]로 이루어진 동네] ||<:> 36.73% ||<:> {{{#004EA2 '''51.29%'''}}} ||<:> 11.98% ||<:> {{{#808080 ▼'''14.56'''}}} ||<:> 61.80 || || '''후보''' ||<:> [[박대출|{{{#CA252B '''박대출'''}}}]] ||<:> [[정영훈(1968)|{{{#004EA2 '''정영훈'''}}}]] ||<:> [[이혁|{{{#808080 '''이혁'''}}}]]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CA252B '''62.11%'''}}} ||<:> 23.91% ||<:> 13.98% ||<-2> △'''38.20''' || || '''관외사전투표''' ||<:> {{{#CA252B 43.72%}}} ||<:> 43.30% ||<:> 12.98% ||<-2> △0.42[* 단 '''29표''' 차였다.] || || '''국외부재자투표''' ||<:> 24.30% ||<:> {{{#004EA2 '''71.03%'''}}} ||<:> 4.67% ||<-2> {{{#808080 ▼'''46.73'''}}}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진주시 갑'''}}}}}}[br]{{{#ffffff ,,천전동, 성북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가호동, 충무공동, [br]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영훈(1968)|정영훈]](鄭永勳) || 42,241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8.47% || 낙선 || ||<|2> {{{#ffffff {{{+5 '''2'''}}}}}} || '''[[박대출]](朴大出)''' || '''60,112'''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54.75%''' || '''당선''' || ||<|2> {{{#ffffff {{{+5 '''7'''}}}}}} || 김준형(金俊滎) || 1,503 || 5위 || || [include(틀:민중당)] || 1.36% || 낙선[* [[민주노총]]·[[정의당]]·[[민중당(2017년)|민중당]]·[[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단일화 후보] || ||<|2> {{{#ffffff {{{+5 '''8'''}}}}}} || 오필남(吳畢男) || 614 || 6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55% || 낙선 || ||<|2> {{{#ffffff {{{+5 '''9'''}}}}}} || 최승제(崔勝濟) || 2,496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27% || 낙선 || ||<|2> {{{#ffffff {{{+5 '''10'''}}}}}} || [[김유근(1974)|김유근]](金酉根) || 2,81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5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0,833 ||<|3> '''투표율'''[br]69.14% || || '''투표 수''' || 111,197 || || '''무효표 수''' || 1,416 || ||<-5> {{{#ffffff '''21대 총선 경남 진주시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정영훈(1968)|{{{#ffffff 정영훈}}}]] || [[박대출|{{{#ffffff '''박대출'''}}}]] || || '''득표수[br](득표율)''' || '''42,241 [br] (38.47%)''' || {{{#ffffff '''60,112 [br] (54.75%)'''}}} || '''- 17,871 [br] (▼16.28)''' || '''111,197 [br] (69.13%)''' || || '''천전동'''[*A 법정동 강남동 · 칠암동 · 망경동 · 주약동,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 및 [[진주고속버스터미널]]이 있는 동네] || 32.36% || {{{#ef426f 61.86%}}} || ▼29.50 || 66.08 || || '''성북동'''[*B 법정동 본성동 · 남성동 · 중안동 · 인사동 · 계동 · 봉곡동, [[진주성]]이 있는 동네] || 25.77% || {{{#ef426f 68.38%}}} || ▼42.62 || {{{#696969 58.77}}} || || '''평거동'''[*F 법정동 평거동(일부) · 신안동(일부)] || 40.10% || {{{#ef426f 52.54%}}} || ▼12.44 || 66.58 || || '''신안동'''[*G 법정동 신안동(일부), [[진주교육대학교]]가 있는 동네] || 31.75% || {{{#ef426f 62.69%}}} || ▼30.94 || 69.67 || || '''이현동'''[*H 법정동 이현동 · 유곡동] || 31.25% || {{{#ef426f 63.05%}}} || ▼31.79 || 65.59 || || '''판문동'''[*I 법정동 판문동 · 평거동(일부) · 귀곡동] || 42.09% || {{{#ef426f 50.97%}}} || ▼8.88 || 68.26 || || '''가·호동'''[*J 법정동 '''가'''좌동 + '''호'''탄동, [[경상국립대학교 가좌캠퍼스]] 및 [[진주역]]이 있는 동네] || 41.13% || {{{#ef426f 50.20%}}} || ▼9.06 || 65.94 || || '''충무공동'''[*K [[진주혁신도시]]로 이루어진 동네] || {{{#004ea2 '''54.42%'''}}} || {{{#696969 38.72%}}} || '''△15.70''' || 70.08 || || '''문산읍''' || 35.19% || {{{#ef426f 58.42%}}} || ▼23.23 || 64.52 || || '''내동면''' || 34.41% || {{{#ef426f 59.34%}}} || ▼24.93 || '''74.41''' || || '''정촌면''' || 36.61% || {{{#ef426f 56.11%}}} || ▼19.50 || 68.15 || || '''금곡면''' || {{{#696969 20.22%}}} || {{{#ef426f '''72.48%'''}}} || {{{#696969 ▼52.25}}} || 68.21 || || '''명석면''' || 25.06% || {{{#ef426f 69.53%}}} || ▼44.47 || 66.65 || || '''대평면''' || 24.36% || {{{#ef426f 70.96%}}} || ▼46.60 || 71.24 || || '''수곡면''' || 30.08% || {{{#ef426f 65.80%}}} || ▼35.71 || 68.35 || || '''후보''' || [[정영훈(1968)|{{{#004ea2 '''정영훈'''}}}]] || [[박대출|{{{#ef426f 박대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1.92% || {{{#ef426f 54.08%}}} ||<-2> ▼22.16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47.40%}}} || 45.15% ||<-2> △2.25 || || '''재외투표''' || {{{#004ea2 67.85%}}} || 28.57% ||<-2> △39.29 || [[더불어민주당]]은 중소기업진흥공단 상임감사 정영훈을 단수 공천했다. 상임감사직을 유지한 채 출마할 수 있다는 선관위의 유권해석이 있었으나, 도의적인 문제, 공단 업무 부담 등을 이유로 3월 10일에 상임감사직을 사퇴했다. [[미래통합당]]은 경남 진주갑에 현역 재선 의원인 박대출 의원을 단수 공천했다. 예비후보로 등록했던 김유근 후보[* 제8대 지선 [[바른미래당]] 경남도지사 후보였다.]는 이에 반발해 미래통합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민중당(2017년)|민중당]]에서는 김준형[* 전 [[경상대학교]] 총학생회장으로, 당시에는 [[한총련]] 소속이었으며, 지금은 그 악명높은 [[한국대학생진보연합]]의 진주지부인 진주진보연합 소속이다. 실제로 친미청산을 주장하는 등 NL계에 가까운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후보로 나선다. [[서울대학교]] 동아리연합회 학생회장, [[민주노동당]] 전국학생위원회 조직국장 등을 지낸 최승제 지역재생연구소장도 무소속으로 출마했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CD=A0002596735|#]] 이로써 19대, 20대 총선과 마찬가지로 박대출 VS 정영훈의 리턴매치가 성사되었다. 개표 결과 38.47% : 54.75%로 미래통합당 박대출 후보가 득표율 16.28%, 득표 수 17,871표 차로 이변 없이 3선에 성공했다. 세부 결과를 살펴보면 박대출 후보는 [[진주혁신도시]]인 충무공동[* 정영훈 후보가 이 곳에서 유일하게 과반 이상을 득표하며 진주시에서 거의 유일한 민주당계 텃밭의 존재감을 보였다. 공공기관이 많은 혁신도시 특성상 수도권에서 내려온 주민들이 많기 때문.]을 제외한 모든 읍, 면, 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박대출 후보는 문산읍에서 955표 차, 내동면에서 644표 차, 금곡면에서 721표 차, 명석면에서 1,102표 차, 대평면에서 329표 차, 수곡면에서 495표 차로 승리했고 천전동에서 4,367표 차, 성북동에서 2,350표 차, 평거동에서 1,713표 차, 신안동에서 2,185표 차, 이현동에서 2,022표 차, 판문동에서 924표 차, 가호동에서 1,137표 차로 승리했다. 그 밖에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84표 차로 승리했다. 특히 박대출 후보는 지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김경수]] [[경상남도지사]]가 앞섰던 [[평거동]], 판문동, [[가호동]], [[문산읍(진주)|문산읍]], 내동면에서 승리함으로써 보수 기반을 다시 확장하는 데 성공하였다. 2위 정영훈 후보는 충무공동 1곳에서 1,733표 차로 승리한 걸 제외하면 모든 읍, 면, 동에서 패배했고 그 밖에 관외사전투표에서 245표 차, 국외부재자투표에서 33표 차로 승리하는 것에 그쳤다. 그러나 정영훈 후보에게도 성과는 있었는데, 38%를 득표하여 [[19대 대선]] 때 [[문재인]] 전 대통령도 얻지 못한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지난 지방선거에서 김경수가 진주 갑 지역에서 50%를 득표하였던 것보다는 상당히 하락하였다.][* 그러나 정영훈 후보는 총선 이후 진주시의회 의장 선거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터졌고 민주당 중앙당 조사 끝에 진주시 갑을 사고지역으로 처리하였고 결국 지역위원장직이 정지됨과 동시에 정치적으로 완전히 몰락해 버렸다. 그리고 그 자리는 이전에 진주시장에 출마한 적 있는 [[갈상돈]]이 차지하였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진주시 갑'''}}}}}}[br]{{{#ffffff ,,천전동, 성북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가호동, 충무공동, [br]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상남도의 정치]][[분류:진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