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성구의 법정동)] ||<-2> '''[[유성구|{{{#000000,#dddddd 유성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진잠동}}}'''[br]鎭岑洞 | Jinjam-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유성구 진잠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유성구 || || '''행정표준코드''' || 3670042 || || '''관할 법정동'''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원내동, 교촌동, 대정동,[br] 용계동, 성북동, 세동,[br] 송정동, 방동}}} || || '''하위 행정구역''' || 63통 305반 || || '''면적''' || 40.49㎢ || || '''인구''' || 24,520명[*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605.5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유성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조승래]] ,,(재선),, || ||<-2> '''대전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종선(1964)|박종선]] ,,(재선),, || ||<-2> '''유성구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동수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석연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여성용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원내로39번길 10[* 원내동 321-1] || || [[https://www.yuseong.go.kr/kor/sub06_04_01_01.do|진잠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행정동]]. 서쪽으로는 [[계룡시]], 남쪽과 동쪽으로는 [[서구(대전광역시)|대전 서구]]에 접한다. [[유성구]]에서 제일 남쪽에 있는 동이다. (최북단은 [[구즉동]])[* 유성구는 매우 크고 길쭉한 구이기 때문에 진잠동과 구즉동은 무려 15km 이상 떨어져있다. 진잠동 쪽에서 보면 구즉동보다는 오히려 이웃 [[계룡시]]가 더 가깝다.] 인근 [[원신흥동]] 일대에서 [[갑천]]에서 갈라져 나온 동명의 하천 진잠천이 이 동을 흐른다. 이 하천의 지류 화산천은 진잠동의 북쪽 경계이다. 남부에는 금곡천이 흘러 갑천의 지류인 두계천으로 합류한다. 진잠동의 인구는 '''34,669명'''이며[* 2021년 7월 주민등록인구] 배후의 아파트단지와 새로운 시가지를 형성하는 곳으로 앞으로 더 성장할 동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곳이다. == 역사 == * 1895년: 진잠현→진잠군 * 1914년: 대전군 진잠면 (진잠군 + 회덕군, [[부군면 통폐합]]) * 1935년: [[대덕군]] 진잠면 ([[대전시|대전부]] 부 승격 분리) * 1983년: [[대전시]] [[중구(대전)|중구]] 진잠동(내동리·교촌리·대정리·용계리·학하리) * 1989년: [[대전광역시]] [[유성구]] 진잠동(+성북리, 세동리, 송정리, 계산리[* 다만 계산리는 직할시 승격 전인 1987년에 먼저 편입되었다. 이는 위의 지역들이 먼저 대전시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실질[[월경지]]로 남는 바람에 그렇게 된 것.]), 진잠면 남선리는 [[논산시]] 두마면(현 [[계룡시]]) 편입 * 1989년: 진잠동과 원내동으로 분동 * 1995년: 진잠1동, 진잠2동으로 분동 * 1998년: 1, 2동 통합 * 2021년: 학하동, 계산동, 덕명동, 복용동이 [[학하동]](행정동)으로 분리 행정동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 진잠현의 중심지였고 이곳에 위치한 진잠초등학교는 1913년에 설립, 역사가 100년이 넘는다. == 구성 == 대전의 3대 부도심 중 하나인 '''진잠권'''을 이루는 곳이다. 46.08㎢에 달하는 굉장한 면적을 자랑하지만 [[개발제한구역]]이 83%에 달한다. 아파트 단지가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유성구의 다른 동네보다 심하게 낙후된 인상을 준다. 개발이 아직 덜 된 마을이고 곳곳에서 축사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개발제한구역]]을 차츰 줄여나가는것이 발전과 치안을 위해 시급할것으로 보인다. 그간 북쪽 여타 [[유성구]]와는 다소간 거리가 있었으나 중간에 [[학하지구]], [[도안신도시]] 등이 건설되면서 어느 정도 이어지게 되었다. 관할 법정동은 계산동·교촌동·대정동·방동·성북동·세동·송정동·용계동·원내동·학하동이다. === [[원내동]]/[[서구(대전)|서구]] [[관저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원내동)] 진잠동 최남단에 위치한 동으로 진잠동의 핵심과도 같은 곳이다. [[행복센터]]도 당연히 원내동에 있다. [[원내동]]은 [[서대전IC]]가 있고, [[계룡시]], [[논산시]]에서 대전으로 들어오는 길목으로 교통량도 많고, 아파트 단지들이 많이 입주해있다. [[계백로]]([[4번 국도]]) 바로 맞은 편의 서구 관저동과 같은 생활권으로 묶이기도 한다. 유성 시가지와는 길쭉한 [[도안신도시]]를 통해 이어진다. 진잠천이 이 곳 내동리에서 발원한다. === 교촌동 === ||<-2> '''[[유성구|{{{#000000,#dddddd 유성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교촌동}}}'''[br]校村洞 | Gyoch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유성구 교촌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유성구 || || '''행정표준코드''' || 3020010200 || || '''관할 행정동''' || 진잠동 || || '''면적''' || 2.11㎢ || 교촌동은 원내동에 맞닿은 남쪽 지역만이 개발되어있다. 교촌동과 원내동의 경계는 북서쪽 활꼴로 휜 진잠로인데, 교촌동 방향으로 확장된 시가지도 진잠로의 선형대로 휘어있는 형상이다. 꽤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는 진잠향교가 있으며, 이 향교에서는 동사무소의 주최로 매년 여름마다 [[향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교]] 및 [[한자]], [[예절]] 등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진다. 주택가 사이에 있어서 찾는 것이 좀 어려울 수도 있다. 대전교촌초등학교가 위치하고 있으며, 학교와 아파트 단지 뒷쪽으로 넘어가면 낙후된 시골마을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원내동에 위치한 진잠도서관이 원내동과 교촌동 경계선에 위치하고 있어, 교촌동 아파트의 도서관 접근성은 매우 좋은편이다. [clearfix]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원내동, version=20)] === 대정동 === ||<-2> '''[[유성구|{{{#000000,#dddddd 유성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대정동}}}'''[br]大井洞 | Daejeo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유성구 대정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유성구 || || '''행정표준코드''' || 3020010300 || || '''관할 행정동''' || 진잠동 || || '''면적''' || 4.25㎢ || 대정동에는 [[홈플러스 서대전점]]과 아울렛이 있다, 대로변에서 툭 튀어나온 아파트단지가 있고 뒤에는 작은 마을들이 있다, 이 마을들이 원래 대정동이다. 대정동에는 물류센터가 많이 자리하고 있다. 그중 한진은 오는 2023년까지 대전종합물류단지 내 5만9541㎡ 부지에 연면적 14만9110㎡, 지상 4층으로 물류센터를 짓는다. 연면적 기준으로 축구장 20개 규모다. 지금 글을 쓰고 있는 시점까지 완공 되지는 않았지만 운영에 필요한 1200명 이상의 신규인력도 지역에서 우선 채용하기로 해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거라 예상된다. 또 기존에 [[상하차|상하차 아르바이트]]하고자 하는 성인, 중고생들이 많이 오고 간것처럼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올 것으로 본다. [[폐건물/목록/대전광역시|폐건물]] 항목에도 있는 [[충일여자고등학교]]와 지금은 공장 가동을 중단한 충남방적 공장이 있는 곳이 이 곳이다. 원내동과는 그리 멀지 않은 지역이지만 이 일대가 1km 가량 방치되어 있어서 시가지가 떨어져 있다. 이들 지역들은 모두 [[도안신도시]] 2,3차 개발 예정지역으로 철거 예정인데, 관건은 [[대전지방교정청]]과 [[대전교도소]]가 있는 곳이기도 해서 교도소가 다른 동네로 이전하지 않는 한 교도소 주변은 개발이 어려울 듯하다.[* 그나마, 최근에 대전교도소를 방동으로 이전 계획이 잡히긴 했지만, 언제쯤 이뤄질 지 기약이 없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이전 시 [[대전지방검찰청]] 및 [[대전지방법원]]과 훨씬 멀어진다.] [[도안대로]]도 일단 북쪽 용계동에서 끊겨있고, 남쪽에서 다시 시작하는 형세라서 일단 연결하리라는 것은 확실한데 기약이 없다. 2019년 4월 16일 13시 40분 경에 [[산불]]이 났고, 2시간 만에 [[https://www.sedaily.com/NewsView/1VHVZK4I3T|무사히 진화]]했다고 한다. [clearfix] === [[용계동(대전 유성구)|용계동]] === [[목원대학교]] 옆 용계동은 산림이 많고 대부분이 농경지이다. 2010년대 초반 쯤까지만 해도 [[목원대]]에서 가장 가까운 자취방을 구할 수 있는 곳이었으나 [[도안신도시]] 1차 산업이 완료된 이후 주변에 아파트를 비롯한 원룸이 비약적으로 늘어나 굳이 이 쪽을 찾는 경우는 많이 줄었다. 워낙 낙후되기도 하였고 그나마 싼 값에 가려는 정도다. 일단 도안신도시의 남서부 일부도 행정구역상으론 용계동이다. 낙후되다 보니 [[도안신도시]] 2~3단계 개발을 논의 중인 곳인데 엎어지기를 반복하고 있어서 진척이 상당히 느리다. 일단은 목원대 인근에 완공된 도안대로를 중심으로 2023년부터 오피스텔이 다수 들어설 에정이며, 2-5구역도 나머지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진척이 빠른 편이라 이르면 2023년부터는 시행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얼마나 낙후된 곳이면 대전 한복판에 있는데도 대전 시외나 최외곽 교통소외지역에나 운행하는 대전 외곽버스가 들어온다(...) === [[성북동(대전)|성북동]]/방동/세동/송정동 === ||<-2> '''[[유성구|{{{#000000,#dddddd 유성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세동}}}'''[br]細洞 | Se-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유성구 세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유성구 || || '''행정표준코드''' || 3020010800 || || '''관할 행정동''' || 진잠동 || || '''면적''' || 7.39㎢ || ||<-2> '''[[유성구|{{{#000000,#dddddd 유성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송정동}}}'''[br]松亭洞 | Songjeo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유성구 송정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유성구 || || '''행정표준코드''' || 3020010900 || || '''관할 행정동''' || 진잠동 || || '''면적''' || 4.00㎢ || ||<-2> '''[[유성구|{{{#000000,#dddddd 유성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방동}}}'''[br]芳洞 | B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유성구 방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유성구 || || '''행정표준코드''' || 3020011000 || || '''관할 행정동''' || 진잠동 || || '''면적''' || 7.68㎢ || 대전광역시의 최서단 시가지인 대정동 일대로부터도 산장산으로 막혀있어서 사실상 다른 동네이다. 송정동, 방동의 경우 서쪽 두계천 너머의 [[계룡시]]와 더 가깝다. 서쪽 이웃 남선리도 1989년까지는 같은 진잠면이었다가 [[논산시]](현 [[계룡시]])로 편입될 정도였으니. 유로가 다소 바뀌어서 두계천이 정확한 경계인 것은 아니다. 사실 동이 된 것도 [[대전광역시]]가 광역시가 되면서 일괄 동으로 바뀐 탓이지 이들 동지역보다는 건너편 계룡시 리 지역이 더 번화하다. 방동은 방동저수지가 있다. 저수지가 꽤 크니 시간 나면 구경해 보는 것도 괜찮다. 방동 일부 지역은 초등학교를 계룡시 두마면에 있는 두마초등학교로 배정을 받는다. [[성북동(대전)|성북동]]과 세동은 사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으로 동쪽 반대편 [[대덕구]] 장동과 유사하다. 이들 동은 앞서 말한 [[계룡시]]로부터도 멀다. 이들 4개 동은 [[대전시]] 편입 시기가 약간 다르다. 다른 동은 1983년, 이들 4개 동은 6년 뒤인 1989년에 편입되었다. 그래서 이들 4개 동은 [[중구(대전)|중구]]에 속했던 적이 없다. [clearfix] == 주요 시설 == 성세원이라는 장애인복지관이 있다. [[호남고속도로지선]]이 지나간다. === 기관 === * 진잠동주민센터 * [[대전교도소]] === 상업 === * [[롯데마트 서대전점]] * [[모다아울렛 대전점]] === 교육 === ==== 초등학교 ==== * 진잠초등학교 * 교촌초등학교 * [[대정초등학교]] ==== 중학교 ==== * [[진잠중학교]] ==== 고등학교 ==== * [[대전도시과학고등학교]] === 주거 === * 계룡건설산업 학하 계룡리슈빌 학의뜰 - 2011년 8월 입주. * 제일건설 유성 제일 오투그란데 리빙포레 - 2018년 6월 입주. * 제일건설 대전 학하지구 제일 오투그란데 미학 - 2011년 10월 입주. * 계룡건설산업 학하 리슈빌 포레아파트(공공지원 민간 임대아파트) - 2023년 2월 입주 == 교통 == === 버스 === * '''진잠동에는 진잠[[시외버스]][[정류소]]가 절실하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변두리에 있기에 [[유성시외버스정류소]]도 멀고 [[대전서남부터미널]]조차 매우 멀다. ==== 급행 ==== * [[대전 버스 급행1]] ==== 마을 ==== * [[대전 버스 마을3]]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지명]] * [[대전광역시]] * [[유성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성구, version=511, paragraph=5.3.1)] [[분류:유성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