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진위역'''}}} || ||<-3>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0]]]] || || [[광운대역|{{{-1 {{{#585858,#ccc 광운대 방면}}}}}}]][br][[오산역|오 산]][br]← 4.0 ㎞ || [[수도권 전철 1호선|{{{-1 {{{#fff 1호선[br](P161)}}}}}}]] || [[신창역|{{{-1 {{{#585858,#ccc 신창 방면}}}}}}]][br][[송탄역|송 탄]][br]3.8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진위역, 너비=100%, 높이=100%)]}}}||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Jinwi || || [[한자]] ||<-2><|2> 振威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振威, ruby=チヌィ)] || ||<-3> '''주소''' || ||<-3>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경기대로(경기)|경기대로]] 1855[br](하북리 139-3)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 ([[을종위탁발매소|을종]])[br]([[평택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 ||<-3> '''운영 기관''' || || [[경부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경부선]](1차) ||<-2> 1905년 1월 1일~[br]1908년 8월 1일 || || [[경부선]](2차) ||<|2><-2> 2006년 6월 30일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 1호선}}}]] || ||<-3>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3> '''승강장 구조''' || ||<-3> 2복선 [[상대식 승강장]] || ||<-3> '''철도거리표''' || || [[서울역|{{{-1 {{{#585858,#ccc 서울 방면}}}}}}]][br][[오산역|오 산]][br]← 4.0 ㎞ || '''[[경부선]]'''[br]진 위 || [[부산역|{{{-1 {{{#585858,#ccc 부산 방면}}}}}}]][br][[송탄역|송 탄]][br]3.8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위역.png|width=100%]]}}} || || '''현 역사(2006년 준공)''' || >'''2006년 지제역과 함께 개통한 경부선 역사''' >진위역은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경부선 소속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 이후 2006년 6월 지제역과 함께 개통되었다. 평택시 진위면의 중심에 위치한 역으로 경부선의 경기도 구간 중 유일하게 '동'도 '읍'도 아닌 '면'에 소재한 유일한 역이다. 진위면은 경부선 철도뿐만 아니라 경부국도와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역 앞은 진위면의 중심 지역인 하북삼거리로, 진위면과 서탄면 주민, 인근 학교 통학생, 진위산업단지 근로자들이 주로 이용한다. 역 광장에 악귀를 물리치는 나무로 알려진 회화나무가 우뚝 서있는데 역이 들어서기 훨씬 전인 1982년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P161번.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경기대로(경기)|경기대로]] 1855 (하북리 139-3) 소재. == 역 정보 == === 구 경부선 진위역 (1905~1908) === 과거 경부선 최초개통 때 [[오산역]]과 [[서정리역]]의 중간역으로 개업하였다. 당시 거리표 상으로는 오산역으로부터 2.7마일 지점으로, 약 4.3~4.4km 정도에 해당하는 지점에 있었으며 이는 현재 진위역 남측 인근에 해당하는 곳이다.[* 1912년 토지 조사 사업 당시 작성된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083433&docid=0001597792&mngno=BJCA028639&type=12&want=1&arch_tp_id=&formType=map&rtURL=%2facreage%2flistMapSearch.do%3fpage%3d1%5edepth1%3d%25EA%25B2%25BD%25EA%25B8%25B0%25EB%258F%2584%5edepth2%3d%25EC%25A7%2584%25EC%259C%2584%25EA%25B5%25B0%5edepth3%3d%25EB%25B6%2581%25EB%25A9%25B4%5edepth4%3d%25ED%2595%2598%25EB%25B6%2581%25EB%25A6%25AC%5earch_tp_id%3d%5eserviceCode%3d1-1-3|진위군 북면 하북리 지적도]]를 보면, 당시 진위역의 지번은 하북리 157 및 158번지로 보인다. 현재는 오랜 시간을 거치며 분할된 지번만 일부 남아있으며, 분할된 지번의 흔적을 보았을 때 [[경기대로]] 하북삼거리 인근에 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역 서쪽 가까이에 진위천과 황구포가 있었다고 하며, [[경부철도가]]에서는 '물새 사냥하기 좋은 터'라고 언급된다. 1907년에는 의병의 습격을 받기도 했다. [[황성신문]]에 따르면 [[1908년]] [[8월 1일]]에 폐지되었다.[*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832102&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 > 신문 검색]]] 진위역이 있던 북면(현 진위면)은 당시 진위군(현 평택시)의 중심 지역으로, 이 역은 당시 진위군의 중심 관문 역할을 위해 만든 역이었다. 그러나 일제에 의해 현 [[평택역]] 인근인 병남면 일대가 개발되고 급성장함에 따라 지역의 중심이 남측으로 이동하였고, 북면 지역은 자연스레 쇠락하였다. 그러나 역의 폐지 시점인 1908년 이후로도 북면은 20여년 가까이 진위군의 중심으로 기능하였는데[* 진위군청이 북면에서 병남면으로 이전한 것이 1926년이다.], 그럼에도 당시 지역의 중심 관문이던 진위역이 빠르게 폐지된 이유는 알 수 없다. === 현 경부선 진위역 (2006~) === 현재의 진위역은 경부선 [[수원역|수원]]~[[천안역|천안]] 2복선화에 따른 신설역으로써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만이 정차한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050200329124008|「경부선 복복선 도내 4개역 신설 세류·죽미·하북·지제」]], 경향신문, 1997-05-02] 당시 가칭은 역 바로 앞의 마을 이름을 따 '하북역'이었으나, 진위면 지역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정식 역명은 진위역으로 정해졌다.[* [[http://www.p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851|「진위는 옛부터 평택의 중심지」]], 평택시민신문, 2000-11-30] 경부선 수원 - 천안 2복선화 계획에 따른 추가역이지만 2복선 개통 당시인 2005년에는 운영하지 않다가 2006년에 역사를 완공하고 운영을 개시했다. 위 주소에서 보듯이 평택시 진위면의 중심에 위치한 역이다. 경부선 경기도 구간에서 면에 소재한 역은 이 역밖에 없다. 읍에 소재한 역은 하나도 없다. 왜냐하면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오산시]]는 읍면 지역이 없는 [[도농분리시]]이고 [[화성시]]와 나머지 평택시 구간은 동 지역을 지나기 때문이다. 동시에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탕정역]], [[신창역]]과 함께 면에 소재한 단 3개의 역 중 하나이다. 미래에는 [[초성리역]]도 추가될 예정이다. 지하철 노선도 가운데 가나 표기가 チンイ로 표기된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표기이다. == 역 주변 정보 == 역 서쪽은 벼농사를 하는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진위면의 새로운 중심(하북)에 있는 역이다. 1번 국도로 인해 새로 생겨난 중심지로 옛부터 내려온 중심지는 진위면 소재지인 봉남리이며, 진위역에서 [[평택 마을버스 6|마을버스 6번]], [[평택 마을버스 6-1|6-1번]], [[평택 마을버스 8|8번]]을 이용하면 갈 수 있다. 역 동쪽으로 진위산업단지가 있다. 대규모 산업단지는 아니지만 서울 및 수도권 인근 지역에 몰려있는 공장을 분산하기 위해 만든 곳이다. 영풍제지, [[롯데웰푸드]], [[매일유업]], [[LG전자]], 원익IPS, 팜에이트, 플랜티팜 등의 [[회사]]들이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 '''연도'''}}}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5]]]] || {{{#fff '''비고'''}}} || || 2006년 || 1,445명 || [* 개통일인 6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8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7년 || 1,832명 || || || 2008년 || 2,239명 || || || 2009년 || 2,450명 || || || 2010년 || 2,498명 || || || 2011년 || 2,766명 || || || 2012년 || 2,827명 || || || 2013년 || 2,926명 || || || 2014년 || 3,095명 || || || 2015년 || 3,101명 || || || 2016년 || 3,196명 || || || 2017년 || {{{#0052a4 3,282명}}} || || || 2018년 || 3,243명 || || || 2019년 || 3,233명 || || || 2020년 || 2,288명 || || || 2021년 || 2,466명 || || || 2022년 || 2,969명 || || ||<-3> {{{#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2022년 기준 1호선 수도권 구간에서 [[서동탄역]]을 뒤따라 이용객 수가 두 번째로 적은 역이며, 1호선 전체 구간으로 따져도 이용객 수가 6번째로 적은 역이다. 과거에는 [[평택지제역|지제역]]의 이용객이 진위역의 절반 수준이라 수도권 내 최소였지만, SRT가 정차하고 이용객이 대폭 늘어 상황이 역전되었다. 서동탄역마저도 동탄신도시의 개발에 따라 이용객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이고, 현재 기준으로 약 200명 정도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나중에 동탄인덕원선 서동탄 지선이 이어진다면 서동탄역은 이용객이 더 늘어날 것이다. 2023년 개통 예정인 연천군 연장 구간 이용객이 이 역보다 적은 게 아니라면 이 역이 1호선 수도권 구간 이용객 최소로 남을 것이다. * 하지만 진위산업단지 출퇴근 고정수요가 제법 나오기에 [[월롱역]]과 비슷하게 면 지역 치고는 이용객이 많다. 출퇴근 시간이 되면 평소에는 거의 아무도 없다시피 하는 승강장에 이용객들이 꽤 많이 오고간다. == 승강장 == || [[파일:진위역1.jpg|width=500]] || || 진위역 승강장 || ||<-6> ↑ [[오산역|오산]] || || {{{#fff 1}}} || ㅣ || ㅣ || ㅣ || ㅣ || {{{#fff 2}}} || ||<-6> [[송탄역|송탄]] ↓ || || {{{#fff 1}}}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2> 완행 ||[[오산역|오산]]·[[병점역|병점]]·[[수원역|수원]]·[[구로역|구로]] 방면|| || {{{#fff 2}}} ||[[서정리역|서정리]]·[[평택역|평택]]·[[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 방면|| 2018년 1월 기준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이 역은 송탄 방면으로 3퍼밀 내리막길이 있다. ==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2015년 1월 29일 오후 5시 30분경 이 역에서 20대 남성이 천안발 용산행 급행열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 여파로 상행선 청량리방향의 열차운행이 지연되었다.[* [[http://pop.heraldcorp.com/view.php?ud=201501292021027922639_1|「진위역 사고, '20대男 갑자기 뛰어들어'」]], 헤럴드POP, 2015-01-29] == 연계 교통 == [include(틀:평택시의 교통)] === 버스 === ||<-2>
{{{+1 {{{#373a3c,#dddddd '''진위역(48129)'''}}}}}} {{{#!wiki style="text-align: center" 서탄입구 방면}}} || ||<-2> '''평택시'''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평택 버스 660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00; font-size: 28" {{{#fff 6600}}}}}}]]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평택 버스 150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3c9; font-size: 28" {{{#fff 1502}}}}}}]] [[평택 버스 152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3c9; font-size: 28" {{{#fff 1522}}}}}}]] || || [[마을버스|{{{#ffffff '''마을'''}}}]] ||[[평택 버스 1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11-2}}}}}}]] [[평택 버스 1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11-4}}}}}}]] [[평택 버스 88|{{{#!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88A}}}}}}]] || ||<-2> '''수원시''' || || [[좌석버스|{{{#ffffff '''좌석'''}}}]] ||[[수원 버스 30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28" {{{#fff 300}}}}}}]]||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수원 버스 30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3c9; font-size: 28" {{{#fff 301}}}}}}]] || ||<-2>
{{{+1 {{{#373a3c,#dddddd '''진위역(15565)'''}}}}}} {{{#!wiki style="text-align: center" 하북4리.사리고가 방면}}} || ||<-2> '''평택시'''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평택 버스 660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00; font-size: 28" {{{#fff 6600}}}}}}]]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평택 버스 150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3c9; font-size: 28" {{{#fff 1502}}}}}}]] [[평택 버스 152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3c9; font-size: 28" {{{#fff 1522}}}}}}]] || || [[마을버스|{{{#ffffff '''마을'''}}}]] ||[[평택 마을버스 8|{{{#!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8-2}}}}}}]] [[평택 버스 1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11-2}}}}}}]] [[평택 버스 1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11-4}}}}}}]] [[평택 버스 88|{{{#!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88B}}}}}}]] || ||<-2> '''수원시''' || || [[좌석버스|{{{#ffffff '''좌석'''}}}]] ||[[수원 버스 300|{{{#!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28" {{{#fff 300}}}}}}]]||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수원 버스 30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3c9; font-size: 28" {{{#fff 301}}}}}}]] || ||<-2>
{{{+1 {{{#373a3c,#dddddd '''하북삼거리(15569)'''}}}}}} {{{#!wiki style="text-align: center" 진위고등학교 방면}}} || || [[마을버스|{{{#ffffff '''마을'''}}}]] ||[[평택 마을버스 6|{{{#!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6}}}}}}]] [[평택 마을버스 6|{{{#!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6-1}}}}}}]] [[평택 마을버스 8|{{{#!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8}}}}}}]] [[평택 마을버스 8|{{{#!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8-2}}}}}}]] || ||<-2>
{{{+1 {{{#373a3c,#dddddd '''하북삼거리(15873)'''}}}}}} {{{#!wiki style="text-align: center" 하북4리.사리고가 방면}}} || || [[마을버스|{{{#ffffff '''마을'''}}}]] ||[[평택 마을버스 6|{{{#!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6}}}}}}]] [[평택 마을버스 6|{{{#!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6-1}}}}}}]] [[평택 마을버스 8|{{{#!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0px; border-radius: 235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28" {{{#fff 8}}}}}}]] ||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분류:200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평택시의 도시철도역]][[분류:경부선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