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에어 그린윙스/스타크래프트/역대 시즌)] [목차]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6]] ==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6/1라운드|1라운드]] === 1주차에 MVP를 3:1로 이기며 무난하게 시작한 줄 알았으나, 2주차 아프리카에게 3:0 패, 3주차 KT에게 3:1 패를 당하며 분위기가 좋지 않았다. 이는 작년 프로리그에서 톡톡히 공헌했던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과 [[이병렬]]의 동반 부진 때문이었다. 그러나 4주차에 CJ를 3:1로 꺾으면서 승점 -1을 유지했다. 이어 5주차, 6주차에 삼성과 T1을 모두 3:0으로 이긴데다 CJ가 KT를 잡아주면서 얼떨결에 순위상승, 1라운드 2위로 플레이오프 직행에 성공했다. 1라운드 막판에 김유진 뿐만 아니라 [[이병렬]]까지 연패를 끊어냈으며 조성주가 '''5전 전승'''을 기록한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1라운드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가 3킬, [[이병렬]]이 1킬을 기록하며 [[kt 롤스터]]를 4:3으로 제압했다. 그렇게 1라운드 결승전에서 만나게 된 건 2015 시즌 통합결승에서 진에어를 막아섰던 [[SKT T1]]이다. 그러나 이번에도 4:2로 패배, 4번째 라운드 준우승을 기록하고 말았다. 3월 25일, [[고석현]]을 영입해, 저그가 이병렬 한 명뿐이던 약점을 보완했다. 팀의 세 전신 중 MBC게임 계통이 하재상의 은퇴로 끊어졌는데 돌고 돌아서 이어진 셈.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2라운드|2라운드]] === [[파일:external/static.inven.co.kr/i13145800711.jpg]] 정규 시즌 5승 1패로 2년 만에 라운드 결승에 직행했고, 결승에서 kt를 4:3으로 잡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6/3라운드|3라운드]] === [[파일:external/static.inven.co.kr/i13987759569.jpg]] CJ, 삼성에게 패하며 4승 2패로 결승 직행은 실패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CJ를 4:3으로 이기고 상하이로 가게 되었다. 그리고 결승에서 KT를 4:1로 꺾으며, '''2연속 라운드 우승'''을 차지했다. 통합 포스트시즌 결승에도 직행했기 때문에 연습시간과 휴식시간을 널널하게 벌어들인 것은 덤. === 통합 포스트시즌 === [[파일:external/static.inven.co.kr/i12380349746.jpg]]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 최후의 우승팀''' 통합 포스트시즌 결승에서도 KT를 4:0으로 완파하고 드디어 팀 최초로 통합우승을 달성했다! 그리고 2016년 10월 18일에 프로리그 운영 폐지가 공식으로 발표되면서 마지막 프로리그 우승 팀이 되었다. == 팀별 둘러보기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016년/팀별)] [[분류:진에어 그린윙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진에어 그린윙스/스타크래프트, version=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