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돈]]을 벌기 위해서 일하는 곳 == {{{+1 職場 / workplace}}} '''[[사람]]들이 생계의 원천인 [[화폐|돈]]을 벌기 위해 일정한 [[직업]]을 가지고 일하는 곳.''' [[아르바이트]]도 직장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작업 환경에 따라 급여들이 다르며 열악한 쪽이 많은 [[3D]]업종은 가능한 한 피하려고 한다. [[취직]]하여 [[직장인]]이 되면 빠르면 50대까지 늦으면 6-70대까지 일하게 되고, 육체적·정신적 노동에 대한 보상으로 [[월급]]을 받는다. --그리고 유리지갑이 된다-- 아래의 2번 항목의 발음이 같다는 데서 개그가 나오곤 한다. [[http://hotge.co.kr/b/v/ppomppu/16486/21|직장이 어디이에요?]] [[http://www.dogdrip.net/36254239|직장일은 결국 애널서킹이라는 의미의 자학성 꽁트]] === 관련 문서 === * [[직장생활]] * [[직장인 커뮤니티]] == [[내장]]의 일부 == [include(틀:신체 부위)] [[直]][[腸]], rectum [[큰창자|대장]]의 최하부부터 [[항문]]에까지 이르는 부분으로, 길이는 약 12~20cm로 개인차가 있다. 발암물질에 가장 심하게 노출되기 때문에 [[대장암]] 환자의 대부분이 [[직장암]]도 생긴다고 한다. 일단 직장의 위치상 [[방광]]과 [[작은창자|소장]], [[골반]], 여성의 경우에는 [[난소]]와 [[자궁]] 등 여러 중요 기관들과 밀접해 있어서 암이 생기면 수술 자체는 일반 대장암보다 까다롭지만, 대장내시경으로 쉽게 발견하여 생존율은 나쁘지 않다고 한다. 이 부분이 파열되는 건 생존율이 40%일 정도로 심각한 부상이다. 사실은 이 직장은 중고등학교 교과서 등에서는 전혀 언급이 되지 않는다. 위키백과 대장 항목을 참고하면 직장은 대장을 구성하는 하위기관이다. 그러니 '대장→항문'이 맞다. 직장을 언급하려면 '[[맹장(소화계)|맹장]]→결장→직장→항문'으로 설명해야 한다. 맹장이야 맹장염 수술 때문에 친숙하지만 결장은 직장보다도 더 못들어본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런데 사실 흔히 생각하는 대장은 대부분 결장 부분이다. 흔히 [[항문성교]]라 지칭하는 유사성행위는 사실 직장을 이용하는 것이다. 항문은 진입구일 뿐 실제로 행위가 일어나는 신체기관은 직장이다. 범죄자들이 마약이나 밀수품, 흉기 등을 숨기는 데 애용하는 곳이다. 이 때문에 [[구치소]]나 [[교도소]]에서 [[항문 검사]]를 한다. == [[고려]], [[조선]]시대의 관직 == 直長 [[고려]]시대 - 중앙 관서의 [[시]](寺), 감(監), 서(署), 국(局), 고(庫) 등에 둔 정7품~종7품의 관직. [[조선]]시대 - 각 관아에 두었던 종7품 관직. 주로 궁궐 내의 재정, 물품담당아문에 배치되어 전곡, 비품 등의 출납실무를 담당하였다. == [[생산직]] 사원의 [[직급]] == 職長 [[생산직]] 직원이 존재하는 회사에서 볼 수 있는 직급이다. 보통 [[반장]]을 거쳐서 직장으로 승진하며, [[기원]]으로 승진하게 된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분류: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