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에 대한 감정)] [목차] == 개요 == 지일([[知]][[日]])은 일본인이 아니면서도 일본 관련 지식이 전문가 수준인 사람. 지일파는 [[중도]]에 가깝다. 친일, 반일 등과는 '''엄연히 다른 개념'''으로, '''어느 쪽에 가깝다고 할 수도 없다.''' 굳이 구분을 하자면, 학술적인 측면이든, 자국의 이익을 위해 일본과의 우호 및 협력을 위한 측면이든, '''일본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강조하는 이들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 점에서 무턱대고 일본을 옹호하는 [[일빠]]나 증오하는 [[혐일]]과는 다르다. 오히려 중도성향이 강하다. 이들은 일본이라는 나라에 대해서 '''비교적''' 굉장히 조용하고 이성적인 편에 속하는 사람들이다. 때문에 겉으로 자기들이 일본에 대한 관점이나 논하는 것을 될 수 있으면 꺼리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일본의 극우 성향의 인물들은 지일을 용일(요니치/用日)이라 부르고, 일본(日)을 써먹을(用) 생각으로 접근한다며 경계대상으로 보고있다.[[https://ja.wikipedia.org/wiki/%E7%94%A8%E6%97%A5|일본 위키피디아의 용일 항목]] 동해/일본해 논란에 일본의 의견 뿐만 아니라 한국의 의견 또한 비판하는 [[양비론]]을 주장하는 지일도 한국 측을 옹호하지 않았다고 하여 [[친일파]]로 몰리기도 한다. [[동해]]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동해]]는 대부분이 [[공해]]라 양쪽의 주권 문제와 상관없다. 역사학자중에서도 지일파들은 친일파로 매도당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예시로 [[김현구]] 교수가 있다. [[김현구 임나일본부학자설]] 참고. == 지일과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 대체적으로 [[문민정부]][* 문민정부는 대일 강경책을 일관되게 추진했기에 따라서 지일을 하지 않았다.]를 제외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의 대일 정책이 이쪽에 속한다. [[민주당계 정당]] 출신 정부 중에서는 [[국민의 정부]][* [[국민의 정부]]의 [[대통령]]인 [[김대중]]과 [[국무총리]]인 [[김종필]]이 지일파로 분류된다.]의 대일 정책이 여기에 속한다. == 실존 인물 == === 역사상의 사례 === * [[신숙주]] - 조선시대의 외교부 장관 격인 예조의 판서로 재직하면서 조선통신사의 일원 내지 쓰시마 섬 교섭 등을 위해 일본을 자주 방문했다. 또한 임종을 앞두고 "일본과의 화친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말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전시재상 [[류성룡]]이 자신의 회고록인 [[징비록]]의 바로 첫 내용으로 인용했으며, 그 징비록이 일본으로 유출되면서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회자되는 말이 되었다. 가령 [[아메노모리 호슈]]가 [[신유한]]에게 이 말을 하며 양국 간의 우호를 강조하기도 했다.] * 상당수의 [[조선통신사]]들 - 간혹 반일 감정을 드러내는 인물도 있었으나, 이들이 남긴 기록인 사행록을 보면 상당수가 지일, 심지어는 (온건한 의미의) 친일 성향을 보인다. 애초에 조선통신사라는 것 자체가 일본과의 우호를 다지는 한편으로 일본을 더 잘 알기 위해 사정을 살펴볼 목적으로 파견된 것이기도 하다. * [[이익(실학자)|이익]]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일본의 정치 체제와 장래에 대한 통찰력 있는 저술을 남겼다. === [[역사학자]] === * [[김현구]]: [[일본서기]]와 [[임나일본부설]] 연구 학자. 대표적인 교양서로 '백제는 일본의 기원인가',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 (한일분쟁의 영원한 불씨를 넘어서)'가 있다. * 정재정: 한일관계사 전공. 대표적인 교양서로 '주제와 쟁점으로 읽는 20세기 한일관계사'가 있다. * 하종문: 일본 근대사 전공 학자. 대표적인 교양서로 '일본사 여행 (역사기행으로 읽는 일본사)'이 있다. === 정치학자, [[정치인]], [[관료]] === * '''[[김종필]]''' - 1965년 한일수교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 이 점에서 비판받기도 하지만, 현직 시절인 2001년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에 직접 일본을 방문하여 항의하기도 했다. 한일의원연맹 초대 회장이기도 하며 젊은 시절에 일제강점기를 보냈기 때문에 [[https://youtu.be/9N1H9qFf7aU|일본어에 매우 능통했다.]] * '''[[김대중]]''' - 대통령 취임 첫해인 1998년 [[오부치 게이조]] 당시 일본 수상과 [[김대중 오부치 선언|한일 양국의 파트너십 공동 선언]]을 채택했다. 또한 [[일본 대중문화 개방]]도 이루어졌다. 김종필과 마찬가지로 젊은 시절에 일제강점기를 보냈기 때문에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 [[이낙연]] - [[동아일보]] 기자 시절 수년간 도쿄 특파원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일본어를 네이티브급으로 구사할 수 있다. 국회의원 시절 한일의원연맹 수석부회장을 지냈다. * [[마이클 그린]] - 미국의 정치학자이자 정치인. * [[빅터 차]] - 미국의 정치학자. * [[리처드 아미티지(정치인)|리처드 아미티지]] - 미국의 정치인. * [[조지프 나이]] * 브래드 글로서먼 - 미국 CSIS 퍼시픽 포럼 선임고문. <피크 재팬>(2019)의 저자.[* 한국에서는 출간 이듬해인 2020년 6월 번역 출간되었다.] * [[조세영]] - 前 외교부 제1차관. 한국 외교계의 대표적 일본통으로 손꼽힌다. * [[박철희(교수)|박철희]] - 서울대 교수. 국내 일본 외교, 대외정책에 관한 대표적 전문가들 가운데 한명. 2023년 현재 [[국립외교원]] 원장. * [[김태효(1967)|김태효]] - 성균관대 교수. 국내에서 일본과의 안보 협력을 지지하는 대표적 인물. 전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 現 국가안보실 제1차장 겸 NSC 사무처장. * [[윤덕민]] - [[주일대사]], 한국외대 LD학부 석좌교수. [[분류:한자어]][[분류:대일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