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指數 差益 賣買 / Index-arbitrage Transaction }}} [목차] == 개요 == [[주식시장]]과 [[주가지수]] [[선물(금융)|선물]]/[[옵션(금융)|옵션]] 시장에서, 현물/선물 지수, 옵션 가격이 달라질 때, 비싼 쪽을 팔고 싼 쪽을 사는 것. == 상세 == [[프로그램 매매]]의 일종으로, 주식 시장에서만 대량으로 매매하는 [[비차익매매]]와는 다르다. 일종의 무위험 [[차익거래]]인데, 선물 지수가 현물 지수보다 높으면 콘탱고(정상 시장)라 하여 선물을 팔고 현물을 사며, 선물 지수가 현물 지수보다 낮으면 [[백워데이션]](비정상 시장)이라 하여 [[주식]] 현물을 팔고 선물을 사들인다. 옵션은 조금 복잡해서 다양한 조건 하에 매매를 시도한다. 실제로는 선물 지수에 이론 베이시스를 더한 수치와 현물 지수를 비교하여 차익매매하는 게 다수. [[선물(금융)|선물]], [[옵션(금융)|옵션]] 등 [[파생상품]]에는 [[시간가치]]가 들어가 있기 때문. 시간 가치는 만기일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지만, 만기일 이전에는 분명히 존재한다. 그래서 시간 가치를 더한 지수를 [[이론가]]라 하며, 실제 지수가 이론가를 넘으면 선물을 팔고 현물을 사며, 이론가보다 낮으면 선물을 사고 현물을 파는 거래가 이루어진다. 지수차익매매의 매수/매도 차익 잔고가 쌓여 버리면 [[옵션만기일]]이나 [[쿼드러플위칭데이]]에 일괄 청산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주식시장]]에는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한다. [[분류: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