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7세대 콘솔 게임기)] [[파일:지보 로고.svg|width=250px]] [[파일:external/venturebeat.com/zeebo.jpg|width=400px]] {{{+1 Zeebo}}} [목차] == 개요 == [[브라질]]의 게임 메이커이자 [[게임기]] 생산업체인 텍토이(Tectoy)와 모바일 업계의 큰손인 '''[[퀄컴]]'''에서 손잡고 2009년에 출시한 [[거치형 콘솔 게임기|거치형 게임기]]. 첫 번째 브라질산 게임 콘솔이기도 하다. == 역사 == 텍토이는 본래 [[세가 마스터 시스템|마스터 시스템]], [[메가 드라이브]], [[게임 기어]], [[세가 새턴|새턴]], [[드림캐스트]] 등 [[세가 게임즈]]의 게임 콘솔을 라이선스 생산하여 판매한 메이커인데, 세가에서 게임기 제작에서 손을 뗀 이후로 사업 방향을 구상하다 브라질이나 멕시코 등에서는 [[PlayStation 3|PS3]]나 [[Xbox 360|엑스박스 360]] 등이 이미 출시되었음에도 이전 세대의 게임기들이 여전히 잘 팔린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전게임이나 앞세대 게임, 핸드폰 게임 등을 주 컨텐츠로 쓰는, 싸고 가벼운 게임기를 만드려는 계획을 세웠다. 여기에 마침 게임 산업에 관심을 보이던 퀄컴에서 관심을 보였고, 550만 달러를 투자, 두 회사에서 합작하여 2007년에 지보(Zeebo Inc.)를 세웠고, 2009년 5월에 회사의 이름과 같은 게임기인 '지보'를 브라질에 출시했다. 지보의 서드파티로는 [[일렉트로닉 아츠|EA]], [[반다이 남코 게임스]], [[세가 게임즈]], [[캡콤]], [[이드 소프트웨어]], [[디즈니]] 같은 굵직한 회사들에서 여럿 참여했으며, 의외로 한국의 [[게임빌]]에서도 참여했다. == 사양 == ||[[프로세서]]||[[퀄컴 MSM 시리즈|퀄컴 MSM7201A]] [[SoC]]. [[ARM(CPU)|ARM11]] 528 MHz [[CPU]], 퀄컴 Adreno 130 [[GPU]] || ||[[RAM]]||160 MB [[RAM#S-2.2.3|DDR SDRAM]] (32 MB 내부 SoC에 포함 + 128 MB 외부 DDR SDRAM) || ||스토리지||1 GB [[eMMC|eNAND]] 플래시, [[Secure Digital|SD 카드]] 슬롯 지원 || ||해상도||480p 4:3 비율|| ||오디오||8 채널 [[MP3]], ADPCM, [[MIDI]] || ||규격||폭 44 mm, 높이 157 mm, 깊이 215.4 mm || ||기타||[[3G]] 휴대폰 네트워크 ([[2G]], 2.5G에도 접속 가능), [[USB]] 2.0 단자 3개 || == 구성 == [youtube(TRYs2rae7zA)] == 특징 == 지보는 [[PlayStation 3|플]][[Xbox 360|삼]][[Wii|위]] [[3대|삼대장]]에게 도전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게임기가 아니다. 처음부터 [[BRICS]]로 대표되는 신흥국의 틈새 게임 시장을 노리고 만든 게임기이며, 사양 및 판매 전략도 철저히 그에 맞춰져 있었다.[* 최신 게임기와 구형 라이센스/복제 게임기 사이의 '틈새 시장'이라는 데에 유의. 완전히 개발도상국이거나 저개발국이라면 인터넷 인프라 자체가 없기에 이러한 컨셉의 기기가 자리잡기 힘들다. 인프라가 없는 국가에서는 [[패미클론]]과 같은 구식 설계의 게임기들이 주로 팔린다.] 지보는 게임 디스크같은 오프라인 미디어가 없고, 모든 게임을 온라인으로, 그것도 게임 머니로만 판매했는데, 특이한 점은 신흥국의 인터넷 환경이 좋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온라인 연결 수단을 [[LAN]]이나 [[Wi-Fi]] 같은 인터넷이 아닌 '''[[3G]]'''를 채택한 점이다. 물론 이 전략은 각 국가별 통신사와 미리 긴밀한 협력이 전제되었으며, 유저가 데이터 요금을 부담하면 데이터 요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으므로 통신비용은 게임 판매자 측에서 부담하는 것을 기본으로 했다. 출시 당시만 하더라도 이러한 전략은 [[신의 한 수]]인 듯 보였으며, 각국의 게임 매체들은 물론이고 [[포브스]]와 같은 경제전문지에서도 [[http://www.forbes.com/2009/03/23/qualcomm-zeebo-videogames-technology-internet-infrastructure-zeebo.html|가능성이 있다]] 높게 평가하며 관련 기사를 내보냈을 정도이다. == 결과 == 하지만 발매 전의 예상과는 달리 지보는 '''실패'''했다. [youtube(JJABY7FT6iQ)] 이것이 지보의 모든 게임이다. 아무리 저사양 저가격의 콘셉트를 추구했다 하더라도 '''2009년'''에 출시된 게임기의 게임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처참한 수준이다. 지보의 게임은 대부분 과거의 아케이드 게임, 구형 게임기의 게임과 [[피처폰]]용 게임의 이식판들뿐이다. 하드웨어 자체의 성능은 [[PlayStation 3|플레이스테이션 3]]과 [[Xbox 360|엑스박스 360]] 같은 기기들과는 당연히 비교할 수 없지만 그래도 어떻게든 하면 [[드림캐스트]]나 [[PlayStation 2|PS2]] 정도의 그래픽은 보일 수 있는 사양인데, '3G'라는 판매수단의 한계로 고용량의 게임을 발매할 수 없었다.[* CPU와 GPU는 초기 6세대 게임기들보다도 저사양이지만 해상도가 낮고 메모리 용량이 커(7세대 게임기들의 반 정도) 숙련된 프로그래밍이 따른다면 충분히 6세대 게임기 수준의 그래픽은 낼 수 있었다. 문제는 이런 6세대 게임기들의 게임 용량도 최소 1 GB 가량이었다는 것이다. 디스크 매체의 특성상 더미 데이터가 있기는 하지만 이런 더미 데이터들을 전부 잘라내더라도 [[CD]]에 겨우 넣을 수 있을 만한 용량이 나온다. 심지어 [[DVD]]의 듀얼 레이어 용량을 꽉 채워 쓰는 게임도 있었다.] 지보의 게임은 최고용량을 자랑하는 게임도 용량이 '''30 MB''' 미만이며, 발매된 57개의 '''모든 게임의 용량을 합쳐도 580 MB를 못 넘긴다.''' 영상으로 보면 [[틀:5세대 콘솔 게임기|5세대 게임기]] 수준은 되어 보이지만 분량이 작다. 이러한 게임을 하기 위해 구태여 지보를 구매하기보다는 사람들은 대부분 돈을 모아 최신 게임기를 구매하거나[*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중반의 한국을 생각해보면 될 듯하다. 학생들도 돈을 모아 게임기 하나 정도는 충분히 살 수 있었다.] 이미 있는 [[휴대폰]]이나 [[PC]], 대세가 되기 시작한 [[스마트폰]], 아니면 명작 게임들이 득실득실하게 널려 있는 [[PlayStation 2|플레이스테이션 2]], 그래픽은 구리지만 매우 싸게 구할 수 있는 [[패미클론]]을 위시한 저가의 카피 게임기 등을 구매하는 것을 선택했으며, 지보는 당연히 시장에서 참패할 수밖에 없었다. 컨셉 자체는 참신했지만 당대 기술의 한계로 실패한 게임기라고 할 수 있다. 지보가 그나마 유일하게 선전한 곳은 태어난 동네인 브라질이다. 브라질은 브라질에서 생산되지 않은 수입 전자제품에 '''70% 이상의''' 악랄한 [[관세]]를 물리는 국가로 유명하다. 라이센스 생산된 구형 [[세가]] 게임기들이 아직까지도 팔리는 이유도 그것이며,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자국에서 열린 월드컵]]을 기반으로 한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게임)|게임]]도 최신 플랫폼이 아닌 구형 플랫폼[* 이 게임이 나온 시점에는 [[Xbox One]]과 [[PlayStation 4|PS4]]가 나왔지만, [[Xbox 360]]과 [[PlayStation 3|PS3]] 버전으로만 출시되었다.]으로 나왔다. 따라서 관세가 붙지 않은 브라질산 게임기인 지보는 수입 게임기들보다 가격 면에서 유리한 포지션을 차지할 수 있었다. 그런 유리한 조건에도 해외 게임기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지 못해서 2009년 5월에 499헤알(17만 원)로 출시해 9월에 399헤알(14만 원), 11월에 299헤알(11만 원)까지 가격을 내려 눈물의 [[똥꼬쇼]](...)를 벌여야 했다. 스마트폰이나 PC도 있고, 브라질의 게임기의 3분의 2는 관세를 피하기 위해 불법 밀수되는 상황에서 지보가 변변찮은 게임도 없이 경쟁자와 싸워 이기기는 불가능에 가까웠을 것이다. 지보는 브라질과 [[멕시코]]에만 판매되었으며, 지보 관련 온라인 서비스는 2011년에 모두 중단되었다. 한국에는 이런 콘솔이 있는 것조차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다. 이후에 지보와 똑같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2013년에 [[OUYA]]라는 콘솔이 등장했으나, [[역사는 반복된다|똑같은 행보를 거쳐 똑같은 결과를 맞았다.]] 발매 이전 대단한 기대를 받았던 것도 비슷하다. 지보는 유명한 시리즈의 게임들이라도 많았지 OUYA는 컨트롤러 조작에 특화되지도 않은 안드로이드 게임들이나 돌려야 했으니... 그리고 지보 사에서 2012년에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기반의 새로운 게임기인 지보 2를 내놓을 것이라 발표했으나 [[베이퍼웨어]]로 끝났으며, 지보사는 2014년에 문을 닫았다. 현재는 워낙 희귀해서인지 수집가들 사이에서 레어 아이템으로 거래된다. 상태가 아주 좋거나 미개봉품인 경우 수백 달러까지 가격이 오르기도 한다. 비슷하게 실패한 7세대 거치형 게임기 포지션인 [[하이퍼스캔]]과는 딴판이다. [[분류:거치형 게임기]][[분류:2009년 출시]][[분류:2011년 단종]][[분류:7세대 게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