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학과)] [목차] == 개요 == 地理敎育科,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사회과 중 [[지리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의 학과이다. 많이 쓰이는 약칭은 '지교과'이다[* 참고로 [[지구과학교육과]]도 줄여서 지교과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지리교육과에 비하면 덜 쓰이며, 또한 지교과라고 하면 누구든 지리교육과부터 더 먼저 떠올리게 십상이다.]. == 교육과정 == 지리교육과에서 배우는 내용을 범주화하면 자연지리, 인문지리, [[지도학]]과 [[GIS]], [[지리교육론]]으로 나뉜다. [[지역지리]]는 비교적 크게 다루지 않는다. [[지리학과]]와 다른 점이라면 대표적으로 교육론의 비중을 들 수 있다.[* 학생들에게는 교육과라는 특성상 임용을 목적으로 오는 경우가 많아서 상관 없지만, 연구를 하는 교수들에게는 교육론 전공자를 제외하면, 학부에서 자신이 연구하는 것을 가르칠 수 있는 기회가 적다고 한다. 이 때문에 교수들, 특히 순수 지리학과에서 학위를 받고 지리교육과로 임용되어 온 [[교수]]들이 지리학과로 재임용 혹은 초빙되어 가는 경우가 최근 매우 늘고 있다. 임용에서 비중이 적은 GIS나 임용과 학문의 차이가 큰 지형학이 그런 편.] 자연지리는 크게 지형학과 기후학으로 나뉘고, 인문지리는 크게 경제지리, 문화지리, 인구지리, 도시지리가 있고, 그 외 촌락지리, 사회지리 등 여러 분야가 있다. 인문지리 쪽은 인문지리학, 향토지리학, 인구지리학, 경제지리학, 도시지리학, 자원지리학, 문화지리학, 관광지리학 등이 있으며, 자연지리 쪽은 기후학, 해양지리학, 지형학, 환경지리학, 기상학 등을 배우고, 연구방법론 쪽에서 지도학, GIS, 지역조사 등을 다룬다. 기타 유럽지역연구, 환태평양지역연구, 아메리카 지역연구 등 각 지역의 특성과 문화, 자연을 다루는 지역지리 과목이 있다. 다음은 중등학교 정교사 2급(지리)를 취득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이수해야 할 과목들이다. * 자연지리학 * [[지형학]] * [[기후학]] * 인문지리학 * [[경제지리학]] * [[도시지리학]] * [[인구지리학]] * [[문화지리학]] * [[지도학]] 및 [[GIS]] * [[지리교육학]] * 지리교육론 * 지리교수법및평가 * 지리과교재연구및지도법 * 지역지리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학술답사/지리|지리답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학술답사/지리)] == 임용시험 == === 시험방식 === ||<-4> 시험 과목 및 유형 || 문항수 ||<-2> 배점(모든 교과 동일) || ||<-2> 교육학 || 1교시 (60분) || 논술형 || 1문항 ||<-2> 20점 || ||<|5> 전공 ||<|2> 전공 A ||<|2> 2교시 (90분) || 기입형 || 4문항 || 8점 ||<|2> 40점 || || 서술형 || 8문항 || 32점 || ||<|2> 전공 B ||<|2> 3교시 (90분) || 기입형 || 2문항 || 4점 ||<|2> 40점 || || 서술형 || 9문항 || 36점 || ||<-3> 소계 || 23문항 ||<-2> 80점 || ||<-4> 계(배점) || 24문항 ||<-2> 100점 || 교육학 또는 전공 A+B 중 어느 하나라도 40% 미만을 득점하면 과락으로 짤없이 불합격 처리된다. 즉, 교육학에서 총 20점 중 8점 미만을 득점하거나, 전공에서 총 80점 중 32점 미만을 득점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면 해당년도 임용 시험은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된다는 말이다. === 시험과목 === ==== 교육학 ==== 교육부 고시 제2017-126호 부칙에 따른 교직이론과목. 이는 전공에 관계없이 모든 중등과목 시험에 공통으로 출제된다. * 교육과정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교육평가 * 교육심리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교육학개론 * 생활지도 및 상담 * 교육사회 * 교육사 및 철학 ==== 전공지리 ==== 교육부 고시의 교사자격종별 및 표시과목별 기본이수과목에 따른 교과교육학(25%~35%)과 교과교육학을 제외한 교과내용학(65%~75%)의 비중이다. * 지형학 (3문항) * 기후학 (3문항) * 경제지리학 (3문항) * 도시지리학 (3문항) * 문화지리학 (3문항) * 인구지리학 (1문항) * 지도학 및 GIS (2문항) * 지리교육론 (5문항) === 선발 인원 및 경쟁률 === 사회과 4과목(역사, 윤리, 지리, 일반사회)중에서 임용시험 TO가 가장 안 나오기로 유명하다.[* 2018학년도 임용시험 기준 역사(283명), 윤리(179명), 지리(120명), 일반사회(162명)] [[2022 개정 교육과정/교과 재구조화 과정 #s-4.1|교육과정 개편시 사회과 과정 축소가 필요할 때면 어김없이 첫 타자는 지리]]가 된다. 교수들도 반 포기 상태이며[* 물론 어디에나 그 자리에서 임용TO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시는 분들도 계시다.] 그 때문에 재학생들은 많은 수가 타 교과 임용 시험을 준비하거나[* 복수전공이 가능한 대학에 한하여 타 교과 교원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 아예 교사 지망을 포기하고 다른 유사 분야로 진출[* 일반 기업체 취업보다는 일반행정직이나 교육행정직 공무원을 준비하는 사람이 많은 편이다.]하려는 씁쓸한 현실이 계속되고 있다. 심지어는 처음부터 [[교육]]은 포기하고 오로지 [[지리]]만 파는 경우도 있다. 어느 정도나면 대도시 지역에도 몇년씩 TO가 도통 안 나서 해당 지역 지리교육/지리학과 학생 및 수험생들 사이에 "가뜩이나 지역에 TO도 안 나는데 학과 존재 의의가 대관절 뭐냐?"는 자조도 나오는 상황. 다만 단순히 TO가 안 난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과를 멋대로 구조조정해 버리면 교육 과정 및 수능에서 가뜩이나 약한 지리과의 입지가 더 축소될 수 있어 진퇴양난이란 반박도 있다. 타과 교수들 대비 지리과 교수들이 외부 활동에 소극적이고 모래알 경향을 보이는 것도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불만 요소이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교직 이수가 상당히 적은 편이라는 것이다. 순수 [[지리학과]]는 7개만[* [[건국대학교]](2명), [[경북대학교]](3명), [[경희대학교]](4명), [[공주대학교]](0명), [[서울대학교]](2명), [[성신여자대학교]](4명), [[전남대학교]](0명) 등. 괄호 안은 2021년 기준 교직이수 가능 인원 수.] 남았고,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도 14개로[* [[가톨릭관동대학교]], [[강원대학교]], 경북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공주대학교, [[대구대학교]], [[동국대학교]], [[부산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등. [[교육대학원]]은 보통 총원제로 운영되어서 전공 정원이랄 게 딱히 없다.] 타 교과에 비해 상당히 드물다.[* 학부에 [[화학과]]라도 있어야 [[화학교육과|화학교육전공]]을 열텐데 [[지리학]]을 학부에서 다루는 곳 자체가 드무니까 나타난 현상이다. 영어교육 전공 같은 곳은 무려 65개, 같은 사회교과군만 봐도 일반사회교육 전공이 26개, 역사교육 전공은 42개다. ] 심지어 이 곳들 모두 [[교직과정]] 이수가 가능한 것도 아니니까[* 게다가 2026년부터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04317|공통교과에 대한 교직과정을 없앤다]]고 한다.] TO가 조금만 잘 나와줘도 경쟁률이 나쁜 편은 아니다. === 유명 강사 === * 한무일(희소/쌤플러스) - [[2023년]] [[12월 8일]] 55세로 사망하였다. * 이선우(이민호)(해커스임용) * 박대훈(박문각임용) == 교원양성 역량 평가 == [[사범대학]]의 주 목적은 중등교사 양성이며, 사범대학 학과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 해당 학과의 교원양성 역량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교원양성 역량이 좋은 지리교육과는 필수 교과목인 '''지형학, 기후학, 경제지리학, 인구지리학, 문화지리학, 도시지리학, 지도학 및 GIS, 지리교육학'''[* 이는 [[임용고시]] 출제과목이기도 하다.] 전공 교수진이 확보되고, 교수 1인 당 학생 수가 적으며, 임용률이 높은 학과이다. 이상은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평가요소이기도 한데, 이는 교원, 수업환경, 교육과정, 임용률 등을 평가하여 A등급은 부총리 표창, B등급은 현행 유지, C등급은 양성정원 30% 감축, D등급은 50% 감축, E등급은 교원양성기능을 폐지하는 [[대한민국 교육부]]의 구조개혁정책 중 하나이다. == 개설 대학 == || 지역 || 유형 || 대학 || 학과(전공) || 설립연도 || 정원[* 2023학년도 기준 총정원 352명.] || 전임교수[* 명예교수, 객원교수, 초빙교수, 겸임교수, 강사 등 제외. 담당과목이 아닌 전공(연구분야)으로 표기. ] ||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평가]] || ||<|4> 수도권 || 사립 || [[고려대학교]] || [[고려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81년 || 35명 || 5명[* 서태열(지리교육), 홍금수(문화역사지리), 성영배(지형학), 김영호(GIS), 김오석(환경지리).] || B || || 사립 || [[동국대학교]] || 지리교육과 || 1969년 || 30명 || 3명[* 안재섭(도시지리), 이승철(경제지리), 양병윤(GIS)] || B || || 국립 ||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46년 || 18명 || 7명[* Douglas Roger Gress(경제지리/동아시아지리), 김민성(지리교육), 심승희(문화지리/지리교육), 박배균(경제지리/정치지리/동아시아지리), 신정엽(도시지리/문화지리), 변종민(지형학/자연지리), 이상일(GIS/지도학/인구지리학).] || B || || 사립 || [[이화여자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전공|사회과교육과 지리교육전공]] || 1957년 || 23명 || 3명[* 이종원(지리교육), 이영민(문화지리/여행지리), 강영옥(GIS/도시지리).] || A || ||<|2> 관동권 || 사립 || [[가톨릭관동대학교]] || [[가톨릭관동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76년 || 30명 || 2명[* 전보애(지리교육/GIS), 최광희(지형학/자연지리/환경지리).] || B || || 국립 || [[강원대학교]] || [[강원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80년 || 15명 || 5명[* 김창환(지형학), 이의한(자연지리), 정성훈(경제지리), 배선학(GIS), 정해용(GIS).] || A || ||<|3> 호서권 || 국립 || [[국립공주대학교]] || [[국립공주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62년 || 19명 || 5명[* 박지훈(지형학/제4기), 류주현(경제지리/인구지리), 임은진(지리교육/문화역사지리), 김종근(도시지리/교통지리), 유재진(자연지리/GIS).] || A || || 국립 || [[충북대학교]] || [[충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80년 || 15명 || 5명[* 강창숙(지리교육/문화역사지리), 류연택(도시지리/사회지리/경제지리), 김종연(지형학/제4기/환경지리), 이재열(경제지리/지역개발/세계지리), 윤현위(지역지리).] || B || || 국립 || [[한국교원대학교]] || 지리교육과 || 1984년 || 19명 || 7명[* 권정화(지리교육), 김영훈(지도학/GIS), 장영진(경제지리), 김걸(도시지리), 한지은(문화역사지리), 김영래(지형학), 홍성찬(자연지리).] || A || ||<|5> 영남권 || 국립 || [[경북대학교]] || [[경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48년 || 18명 || 5명[* 이보영(경제지리), 조철기(지리교육), 이광률(지형학), 조대헌(도시지리), 고민경(문화지리).] || B || || 국립 || [[경상국립대학교]] || [[경상국립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83년 || 15명 || 5명[* 기근도(지형학), 이종호(경제지리), 이정섭(인구지리/사회지리), 신재열(지형학), 이성호(지역지리/도시지리).] || B || || 사립 || [[대구가톨릭대학교]] || 지리교육과 || 1973년 || 20명 || 3명[* 최재영(지리교육), 이상율(인문지리), 이원영(자연지리).] || B || || 사립 || [[대구대학교]] || [[대구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78년 || 34명 || 4명[* 손명원(지형학), 임석회(도시지리/경제지리), 오정준(관광지리/지리교육), 이영아(사회지리/도시지리).] || B || || 국립 || [[부산대학교]] || 지리교육과 || 1980년 || 18명 || 4명[* 정인철(지도학/GIS), 구동회(도시지리/사회지리), 박선엽(기후학/환경지리/GIS), 이진희(지리교육).] || A || ||<|2> 호남권 || 국립 || [[전남대학교]] || [[전남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76년 || 19명 || 5명[* 박경환(사회지리/경제지리/도시지리), 이용균(지역지리/인구지리), 김진관(자연지리/지형학), 김수정(도시지리/문화지리), 범영우(지리교육).] || B || || 국립 || [[전북대학교]] || 지리교육과 || 1978년 || 11명 || 4명[* 조성욱(지리교육/지역지리), 류호상(지형학/자연지리), 송원섭(문화지리/사회지리), 박용하(경제지리/도시지리/교통지리).] || B || || 제주권 || 국립 || [[제주대학교]] || [[제주대학교/학부/사범대학#지리교육과|지리교육과]] || 1993년 || 13명 || 5명[* 손명철(지리교육/지역지리), 권상철(도시지리/경제지리/사회지리), 김태호(지형학/자연지리), 오상학(역사지리), 최광용(기후학/환경지리/GIS).] || B || 참고로 지리교육과가 개설 되었으나 폐과된 대학도 있다. * [[신라대학교|부산여자대학교]](현 [[신라대학교]]) - 지리학과로 개편되었으나 지리학과도 폐과되었다. * [[서원대학교]] - 2016년에 폐과되었다. * [[성신여자대학교]] - 1979년에 지리학과로 개편되었다. * [[청주대학교]] - 2011년에 폐과되었다. == 출신 인물 == * [[강봉균(강사)|강봉균]] -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 [[강용성]] - [[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김지혜(성우)|김지혜]] - [[동국대학교]] 지리교육과 * [[김찬삼]]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LPG(가수)#s-4.2|리제]] - [[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민병권(강사)|민병권]]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박승국]] - [[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박찬석(교수)|박찬석]] - [[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승광은]] - [[공주사범대학]][* 현 [[국립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신상호(강사)|신상호]] - [[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윤진숙]] - [[신라대학교|부산여자대학교]][* 현 [[신라대학교]]] 지리교육과 * [[이기상]]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이남승]]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이도(강사)|이도]]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이진웅]] -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 [[전성오]]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최창석(공무원)|최창석]] - [[공주사범대학]][* 현 [[국립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사범대학/전공, version=26)] [[분류:학과]][[분류:교육]][[분류:교육학]][[분류:사범대학]][[분류: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