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background-color: #f5f5f5; width: 100%; margin: 0px auto; padding: 10px 10px; border-radius: 15px; text-align: center;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6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transparent; width: 100%" {{{#383b40 교육과정별 분리가 이루어진 문서에 관해서는 다음 리다이렉트를 클릭하십시오.}}}}}}}}}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9 개정 교육과정, rd1=2009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 과학Ⅰ)]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5 개정 교육과정, rd1=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과학Ⅰ)]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서의 선택과목, rd1=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지구과학Ⅰ)] ----- {{{#!wiki style="background-color: #666; width: 100%; margin: 0px auto; padding: 10px 10px; border-radius: 15px; text-align: left;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3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transparent; width: 100%" {{{#000 {{{#blue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로마 숫자 Ⅰ을 빼어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지구과학|지구과학]]으로 계승되었으므로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000 {{{#blue ◎}}} 그 외 교과나 5차 교육과정 이전의 내용은 [[http://www.ncic.re.kr/nation.dwn.ogf.inventoryList.do|여기]]를 참조하십시오.}}}}}} ----- [목차] == 개요 == 고등학교 과학 '''교과''' 지구과학Ⅰ에 대해서 다루는 문서다. 이 교과 내용에 기반하여 출제되는 [[과학탐구 영역]]에 대해 다루는 문서는 본 문서와 성격이 구분되므로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지구과학Ⅰ]]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 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Ⅰ' == [include(틀: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 하나뿐인 지구 === * 지구의 탐사 * 지구과학의 성격, 영역, 지구과학과 사회 및 지구과학사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지구 탐사에 관한 최신 자료를 사용하여 지구과학의 전망을 밝힌다. * 관찰 및 실험을 통하여 지구와 우주를 탐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해한다. * 지구의 구성 * 기권, 수권, 암권, 생물권의 구조와 특성을 통하여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지구 환경의 구성을 이해한다. * 지구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각 권의 에너지 및 물질의 순환을 통하여 각 권의 상호 작용을 이해한다. * 지구 환경의 변화 * 지구의 기원과 원시 지구의 환경을 이해한다. * 지층과 화석을 이용하여 지질 시대를 구분한다. * 각 지질 시대에 따른 환경과 생물계의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 * 기후 변화의 자료를 통하여 지구 환경의 변화를 이해한다. * 최근 인간 활동에 의해 크게 변하고 있는 지구 환경의 사례를 조사하여 미래의 지구 환경을 예측한다. === 살아 있는 지구 === * 지각 변동 * 최근의 화산 및 지진 자료를 이용하여 화산 및 지진 현상을 설명하고, 화산과 지진의 분포 자료를 해석한다. * 변동대의 의미를 이해하여 변동대에서 나타나는 지질 현상을 판의 운동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 일기의 변화 * 수증기 응결 실험을 통하여 단열 변화와 응결 및 강수 과정과의 관계를 조사한다. * 강수량 측정, 구름 관측 등을 통하여 날씨 변화를 조사한다. * 과거의 연속적인 일기도와 기상 원격 탐측 자료를 사용하여 현재의 일기도를 해석하고, 날씨 변화를 예측한다. * 우리 나라 주변의 기단, 온대 저기압, 태풍의 발생과 소멸을 통하여 대기의 역동성을 이해한다. * 해양의 변화 * 세계의 해저 지형도를 사용하여 각 대양의 해저 지형의 특성과 그 생성 원인을 판 구조 운동과 관련지어 이해한다. * 자료를 통하여 해수의 염분, 온도, 밀도, 용존 산소량 등의 분포를 알아보고 해수의 성질을 이해한다. * 세계 해류도를 사용하여 전반적인 해류의 분포를 조사하고, 우리 나라 부근의 해류 형성 원인과 그 영향을 설명한다. * 최근의 해양 원격 탐사 자료를 통하여 해양 환경의 변화를 이해한다. === 신비한 우주 === * 천체의 관측 * 천체 관측 도구의 종류를 조사하고, 그 조작법과 관측 방법을 익힌다. * 망원경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태양의 표면을 관찰하여 태양 표면에 나타나는 현상을 기술한다. * 달의 운동과 위상 변화를 관찰하여 태양, 달, 지구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망원경 등의 기구를 통해 달을 관측하여 달의 특징을 기술한다. * 행성의 위치 자료를 통하여 행성의 겉보기 운동을 이해하고, 망원경 등에 의한 행성 관측으로 행성의 특징을 기술한다. * 사진 자료에서 연주 시차를 측정하여 별의 거리를 구하고, 별자리 보기판을 이용하여 별자리를 찾아보며, 별의 밝기와 등급을 관계짓는다. * 태양계 탐사 * 태양계 탐사선의 종류와 탐사 계획을 조사하여 탐사 방법과 목적을 기술한다. * 태양계 탐사 결과 밝혀진 사실을 최근 자료를 중심으로 조사한다. * 과학사적 자료를 이용하여 천동설과 지동설을 비교하고, 우주관의 변천 과정을 조사한다. == 6차 교육과정 '지구과학Ⅰ' == [include(틀: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 지각의 물질과 변화 === * (가) 지식 : 광물, 암석, 암석의 순환, 지표의 변화, 지각 변동, 대륙 이동설, 판 구조론 * (나) 탐구 활동 : 광물 관찰, 암석관찰, 토양의 공극률과 투수율 측정 * ‘광물’에서 결정계는 다루지 않는다. 광물과 암석 관찰에서는 편광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을 포함하되, 편광 현미경의 원리보다는 조립질 암석의 박편을 이용하여 주요 조암 광물의 모양, 색, 간섭색을 나타나는 현상 위주로 다룬다. === 대기와 해양 === * (가) 지식 : 구름과 비, 뇌우, 기단, 전선, 고기압과 저기압, 기압과 날씨, 일기 예보와 그 이용, 기후, 해양의 분포, 해저 지형, 해수의 성질과 해류, 해양 * (나) 탐구 활동 : 원격 탐사 자료 해석, 수온 약층 실험 * 대기에서 안정도는 다루지 않는다. 해양 부분에서는 우리나라 주변의 해양과 해수도 간단히 다룬다. === 우주 === * (가) 지식 : 우주관의 변천, 태양계의 특성, 태양계 탐사, 별의 종류, 별의 물리적 특성, 별의 일생, 우리 은하계, 외부 은하, 우주 팽창 * (나) 탐구 활동 : 행성의 운동에 관한 자료 해석, 태양 흑점 관찰, 별 관찰, H-R 도 * 망원경의 원리와 구조보다는 망원경을 사용하여 태양 흑점이나 달 표면 또는 밝은 행성의 관찰 등을 다룬다. === 지구의 과거와 미래 === * (가) 지식 : 지층과 화석, 지질 연대, 지구의 기원,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 우리나라의 지질, 기후 변화, 이상 기후, 사막화 현상, 해수면의 변화, 환경과 자원 * (나) 탐구 활동 : 기후 변화에 관한 자료 해석 * 지질 시대에는 기 단위까지 다루고, 우리나라의 지질은 대 단위까지 다룬다. == 관련 문서 == *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영역/지구과학Ⅰ]] * [[AP 환경과학]] [[분류:과학 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