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충청북도의 정치]][[분류:증평군]][[분류:진천군]][[분류:음성군]]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증평군/정치, top2=진천군/정치, top3=음성군/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충청북도)]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증평군·진천군·음성군}}}}}}'''[br]{{{-1 {{{#fff [[증평군|{{{#fff 증평군}}}]], [[진천군|{{{#fff 진천군}}}]], [[음성군|{{{#fff 음성군}}}]][br]曾坪郡·鎭川郡·陰城郡[br]Jeungpyeong–Jincheon–Eumseong}}}}}}}}}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증평군·진천군·음성군.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13,552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충청북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증평군|{{{#373a3c,#ddd 증평군}}}]] 전역''' 증평읍, 도안면 ---- '''[[진천군|{{{#373a3c,#ddd 진천군}}}]] 전역''' 진천읍, 덕산읍, 초평면,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광혜원면 ---- '''[[음성군|{{{#373a3c,#ddd 음성군}}}]] 전역''' 음성읍, 금왕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 ||<-2> '''신설년도''' ||<-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16년]] || ||<-2> '''이전 선거구''' ||<-2> [[증평군·진천군·음성군#s-2.3|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임호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3년 괴산군에서 증평읍, 도안면이 분리되어 [[증평군]]으로 승격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선거구명도 [[진천군]]·괴산군·[[음성군]]이던 것이 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으로 바뀐다. 그 후 20대 총선 때 괴산군이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로 넘어가면서 지금의 선거구로 획정된다. 본래에도 지역에 위치한 공단의 영향으로 경합지였으나, 최근 [[충북혁신도시]]로 인해 보수세가 약해지고 있는 중. 충북 지역 언론에서 '중부 3군'으로 부르는 지역구가 이곳이다. 현 국회의원은 경찰청 차장 출신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임호선]] 의원이다. [[충북선]] 연선에서 볼 수 있는 유이한 복합 선거구[* 다른 한 곳은 [[제천시·단양군]]]이자 [[중부고속도로]] 연선상의 유일한 복합 선거구이다.[* 단, 노선 번호를 공용하는 [[통영대전고속도로]]를 적용할 경우, 5곳이나 더 생긴다. 대전 [[동구(대전)|동구]]와 [[진주시]]를 제외한 [[통영대전고속도로]] 경유지들이 농어촌 지역인 점을 감안하면...] 3개의 군으로 이루어진 복합 선거구임에도 불구하고 선거구 자체의 면적은 그렇게 넓지 않은 편이다.[* 대략 1010km²정도로 이웃한 선거구인 충주시(980km²)보다 살짝 넓으며, 울산이나 인천보다도 면적이 작다.] 그리고 이웃 선거구인 [[충주시(선거구)|충주시 선거구]]와 면적과 인구가 모두 비슷하다. 이 선거구의 특징은 [[청주시]]의 영향이 적지않게 미치는 지역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증평군과 진천군은 [[청주시 시내버스]]가 읍내 중심부까지 자주 다니는 동네이고, 음성군은 그보다는 덜하지만 청주로 통학이나 통근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지금은 해당 선거구에서 분리된 괴산군 역시 청주시와 관계가 밀접한 편이다.] 이 때문에 정치 성향 또한 대체로 청주시와 충주시 이동 지역의 중간 정도를 띈다. 말 그대로 캐스팅 보트인 충북 내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는 지역.[* 실제로 이 지역의 경우 전국 단위 선거에서 충북 도 전체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20대 총선과 21대 총선을 비교하자면 [[경대수]]는 음성에서 높은 지지를 받은 반면, 임해종과 [[임호선]]은 둘 다 진천 출신이기도 하고, 진천이 혁신도시 영향으로 진보세가 강해지는 추세라 진천에서 선전했다. 두 선거의 결과를 가른 건 [[증평군]]의 표심이었다. 캐스팅 보트(충북) 안의 캐스팅 보트(중부 3군) 안의 캐스팅 보트(증평군)인 셈. [[정우택]]이 정계 입문 당시 택한 지역구이기도 하며, 해당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을 역임한 후 충북도지사를 지냈고 이후 정치적 기반을 청주로 옮겼다. 정우택 본인은 부산 태생에 서울에서 성장기를 보냈지만, 부친이 진천군 출신이기에 이곳을 택했던 것. == 역대 국회의원 목록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2> 제13대 || [[김완태(정치인)|김완태]]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 ~ 1990년 1월 13일 ||<|4> '''진천군·음성군''' || || [[허탁]] || [include(틀: 민주당(1990년))] || 1990년 4월 4일 ~ 1992년 5월 30일 || || 제14대 || [[민태구]]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2> [[정우택]] ||<|2>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진천군·괴산군·음성군''' || || 제17대 ||<|2> [[김종률]]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4> '''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 || ||<|2> 제18대 || [include(틀: 통합민주당(2008년))] || 2008년 5월 30일 ~ 2009년 9월 24일 || || [[정범구]] || [include(틀: 민주당(2008년))] || 2009년 10월 29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2> [[경대수]] ||<|2>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 '''증평군·진천군·음성군''' || || 제21대 || [[임호선]]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2020년 5월 30일 ~ || === 진천군·음성군 (13대 ~ 15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진천군·음성군'''}}}}}}[br]{{{#ffffff 진천군, 음성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완태(정치인)|김완태]](金完泰)''' || '''34,246'''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4.93%''' || '''당선''' || ||<|2> {{{#ffffff {{{+5 '''2'''}}}}}} || 이재철(李載哲) || 23,215 || 2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30.46% || 낙선 || ||<|2> {{{#ffffff {{{+5 '''3'''}}}}}} || [[허탁]](許沰) || 18,743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4.5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1,198 ||<|3> '''투표율'''[br]85.06% || || 투표수 || 77,575 || || 무효표수 || 1,371 || ==== [[1990년 재보궐선거]] ==== ||<-4> {{{#ffffff {{{+1 '''진천군·음성군'''}}}}}}[br]{{{#ffffff 진천군, 음성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민태구]](閔泰求) || 31,178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45.44% || 낙선 || ||<|2> {{{#ffffff {{{+5 '''2'''}}}}}} || '''[[허탁]](許沰)''' || '''37,441''' || '''1위''' || || '''[include(틀: 무소속)]''' || '''54.56%'''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89,987 ||<|3> '''투표율'''[br]78.18% || || '''투표 수''' || 70,356 || || '''무효표 수''' || 1,253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진천군·음성군'''}}}}}}[br]{{{#ffffff 진천군, 음성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민태구]](閔泰求)''' || '''34,803'''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48.06%''' || '''당선''' || ||<|2> {{{#ffffff {{{+5 '''2'''}}}}}} || [[허탁]](許沰) || 10,621 || 3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4.66% || 낙선 || ||<|2> {{{#ffffff {{{+5 '''3'''}}}}}} || [[정우택]](鄭宇澤) || 17,597 || 2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24.30% || 낙선 || ||<|2> {{{#ffffff {{{+5 '''4'''}}}}}} || 이인수(李仁秀) || 801 || 6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1.10% || 낙선 || ||<|2> {{{#ffffff {{{+5 '''5'''}}}}}} || 박병남(朴炳男) || 804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11% || 낙선 || ||<|2> {{{#ffffff {{{+5 '''6'''}}}}}} || 이규필(李奎弼) || 465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0.64% || 낙선 || ||<|2> {{{#ffffff {{{+5 '''7'''}}}}}} || 이원배(李元培) || 7,322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0.1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1,089 ||<|3> '''투표율'''[br]80.58% || || 투표수 || 73,396 || || 무효표수 || 983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진천군·음성군'''}}}}}}[br]{{{#ffffff 진천군, 음성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민태구]](閔泰求) || 23,777 || 2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34.20% || 낙선 || ||<|2> {{{#ffffff {{{+5 '''2'''}}}}}} || 박병남(朴炳男) || 3,493 || 4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5.02% || 낙선 || ||<|2> {{{#ffffff {{{+5 '''3'''}}}}}} || 구자웅(具滋雄) || 3,169 || 5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4.55% || 낙선 || ||<|2> {{{#ffffff {{{+5 '''4'''}}}}}} || '''[[정우택]](鄭宇澤)''' || '''33,771'''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48.58%''' || '''당선''' || ||<|2> {{{#ffffff {{{+5 '''5'''}}}}}} || 김웅태(金雄泰) || 4,03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5.80% || 낙선 || ||<|2> {{{#ffffff {{{+5 '''6'''}}}}}} || 이관복(李寬福) || 1,260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8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9,470 ||<|3> '''투표율'''[br]71.84% || || '''투표 수''' || 71,464 || || '''무효표 수''' || 1,958 || === 진천군·괴산군·음성군 (16대)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진천군·괴산군·음성군'''}}}}}}[br]{{{#ffffff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충범(법조인)|이충범]](李忠範) || 26,771 || 3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6.52% || 낙선 || ||<|2> {{{#ffffff {{{+5 '''2'''}}}}}} || [[김진선(군인)|김진선]](金鎭渲) || 35,168 || 2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34.84% || 낙선 || ||<|2> {{{#ffffff {{{+5 '''3'''}}}}}} || '''[[정우택]](鄭宇澤)''' || '''36,505'''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36.16%''' || '''당선''' || ||<|2> {{{#ffffff {{{+5 '''4'''}}}}}} || 장병수(張秉壽) || 2,490 || 4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2.4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2,917 ||<|3> '''투표율'''[br]62.90% || || 투표수 || 102,474 || || 무효표수 || 1,540 || === 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 (17~19대)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000000 {{{+1 '''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br]{{{#000000 증평군 일원[*증평 증평읍, 도안면], 진천군 일원[*진천 진천읍, 덕산읍, 초평면,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광혜원면], 괴산군 일원[*괴산 괴산읍, 감물면, 장연면, 연풍면, 칠성면, 문광면, 청천면, 청안면, 사리면, 소수면, 불정면], 음성군 일원[*음성 음성읍, 금왕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오성섭]](吳聖燮) || 10,456 || 3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11.66% || 낙선 || ||<|2> {{{#000000 {{{+5 '''3'''}}}}}} || '''[[김종률]](金鍾律)''' || '''42,617''' || '''1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7.55%''' || '''당선''' || ||<|2> {{{#ffffff {{{+5 '''4'''}}}}}} || [[정우택]](鄭宇澤) || 36,543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40.7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2,803 ||<|3> '''투표율'''[br]56.18% || || '''투표 수''' || 91,460 || || '''무효표 수''' || 1,844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br]{{{#ffffff 증평군 일원[*증평 증평읍, 도안면], 진천군 일원[*진천 진천읍, 덕산읍, 초평면,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광혜원면], 괴산군 일원[*괴산 괴산읍, 감물면, 장연면, 연풍면, 칠성면, 문광면, 청천면, 청안면, 사리면, 소수면, 불정면], 음성군 일원[*음성 음성읍, 금왕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종률]](金鍾律)''' || '''32,608''' || '''1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8.83%''' || '''당선''' || ||<|2> {{{#ffffff {{{+5 '''2'''}}}}}} || [[김경회(정치인)|김경회]](金慶會) || 29,581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5.23% || 낙선 || ||<|2> {{{#ffffff {{{+5 '''3'''}}}}}} || 송석우(宋錫禹) || 8,659 || 4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10.31% || 낙선 || ||<|2> {{{#ffffff {{{+5 '''6'''}}}}}} || [[김종호(1935)|김종호]](金宗鎬) || 11,388 || 3위 || || [include(틀:친박연대(2008년))] || 13.56% || 낙선 || ||<|2> {{{#ffffff {{{+5 '''7'''}}}}}} || 박상규(朴相圭) || 1,729 || 5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2.0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0,301 ||<|3> '''투표율'''[br]49.79% || || '''투표 수''' || 84,793 || || '''무효표 수''' || 828 || ==== [[2009년 재보궐선거]] ==== ||<-4> {{{#ffffff {{{+1 '''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br]{{{#ffffff 증평군 일원[*증평 증평읍, 도안면], 진천군 일원[*진천 진천읍, 덕산읍, 초평면,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광혜원면], 괴산군 일원[*괴산 괴산읍, 감물면, 장연면, 연풍면, 칠성면, 문광면, 청천면, 청안면, 사리면, 소수면, 불정면], 음성군 일원[*음성 음성읍, 금왕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경대수]](慶大秀) || 22,077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29.64% || 낙선 || ||<|2> {{{#ffffff {{{+5 '''2'''}}}}}} || '''[[정범구]](鄭範九)''' || '''31,232''' || '''1위'''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41.94%''' || '''당선''' || ||<|2> {{{#ffffff {{{+5 '''3'''}}}}}} || 정원현 || 3,249 || 4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4.36% || 낙선 || ||<|2> {{{#ffffff {{{+5 '''5'''}}}}}} || 박기수 || 2,379 || 5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3.19% || 낙선 || ||<|2> {{{#ffffff {{{+5 '''7'''}}}}}} || [[이태희(정치인)|이태희]] || 552 || 6위 || || [include(틀:자유평화당)] || 0.74% || 낙선 || ||<|2> {{{#ffffff {{{+5 '''8'''}}}}}} || [[김경회(정치인)|김경회]](金慶會) || 14,99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0.1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4,719 ||<|3> '''투표율'''[br]42.88% || || '''투표 수''' || 74,926 || || '''무효표 수''' || 46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증평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br]{{{#ffffff 증평군 일원[*증평 증평읍, 도안면], 진천군 일원[*진천 진천읍, 덕산읍, 초평면,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광혜원면], 괴산군 일원[*괴산 괴산읍, 감물면, 장연면, 연풍면, 칠성면, 문광면, 청천면, 청안면, 사리면, 소수면, 불정면], 음성군 일원[*음성 음성읍, 금왕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경대수]](慶大秀)''' || '''51,471'''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3.66%''' || '''당선''' || ||<|2> {{{#3AB34A {{{+5 '''2'''}}}}}} || [[정범구]](鄭範九) || 44,443 || 2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6.3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2,519 ||<|3> '''투표율'''[br]53.35% || || '''투표 수''' || 97,380 || || '''무효표 수''' || 1,466 || === 증평군·진천군·음성군 (20대~)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증평군·진천군·음성군|{{{#ffffff {{{+1 '''증평군·진천군·음성군'''}}}}}}]][br]{{{#ffffff 증평군 일원[*증평 증평읍, 도안면], 진천군 일원[*진천 진천읍, 덕산읍, 초평면,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광혜원면], 음성군 일원[*음성 음성읍, 금왕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경대수]](慶大秀)''' || '''41,053'''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5.09%''' || '''당선''' || ||<|2> {{{#ffffff {{{+5 '''2'''}}}}}} || [[임해종]](林海鍾) || 36,027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9.57% || 낙선 || ||<|2> {{{#ffffff {{{+5 '''3'''}}}}}} || 김영국(金榮國) || 13,948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5.3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5,086 ||<|3> '''투표율'''[br]56.08% || || '''투표 수''' || 92,579 || || '''무효표 수''' || 1,551 || 현역인 경대수 의원은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게리맨더링|고향인 괴산군이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에 붙게 됐지만]], 옥천 출신 [[박덕흠]] 의원과의 치킨게임 대신 수십년간 공을 들인 중부 3군 선거구를 택한다. 그리고 더불어민주당은 진천군 출신 임해종 후보를 내보낸다. [[이시종]], [[변재일]], [[오제세]] 의원과 같은 관료 출신을 선호하는 지역 특성상 행정고시를 합격, 30년을 경제통으로 근무한 경력은 내세울 만 했으나, 인구가 가장 많은 음성군 출신이 아니라는 점이 불리하게 작용했다. 한편 국민의당은 과거 음성의 맹주였던 고 [[김완태(정치인)|김완태]] 의원의 3남인 김영국 후보를 공천했다. 결과는 경대수 의원의 여유있는 승리였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총선과 동시에 치러진 진천군수 보궐선거를 이기면서 체면치레는 한다. 카더라통신에 의하면 임해종 후보를 내세운 것이 적어도 군수선거는 확실히 이기자는 더불어민주당의 전략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증평군·진천군·음성군|{{{#ffffff {{{+1 '''증평군·진천군·음성군'''}}}}}}]][br]{{{#ffffff 증평군 일원[*증평 증평읍, 도안면], 진천군 일원[*진천 진천읍, 덕산읍, 초평면,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광혜원면], 음성군 일원[*음성 음성읍, 금왕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호선]](林昊宣)''' || '''54,126'''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0.68%''' || '''당선''' || ||<|2> {{{#ffffff {{{+5 '''2'''}}}}}} || [[경대수]](慶大秀) || 51,081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7.83% || 낙선 || ||<|2> {{{#ffffff {{{+5 '''7'''}}}}}} || 장정이(張正彛) || 1,576 || 3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1.4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0,803 ||<|3> '''투표율'''[br]59.82% || || '''투표 수''' || 108,155 || || '''무효표 수''' || 1,372 || ||<-10> {{{#ffffff '''21대 총선 증평군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증평군·진천군·음성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임호선|{{{#ffffff '''임호선'''}}}]] || [[경대수|{{{#ffffff 경대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9,663 [br] (51.74%)'''}}} || '''8,780 [br] (47.01%)''' || '''+ 883 [br] (△4.73)''' || '''18,927 [br] (60.78%)''' || || '''증평읍''' || {{{#004ea2 51.41%}}} || 47.48% || △3.92 || 58.20 || || '''도안면''' || 45.12% || {{{#ef426f 52.70%}}} || ▼7.58 || 64.79 || || '''후보''' || [[임호선|{{{#004ea2 '''임호선'''}}}]] || [[경대수|{{{#ef426f 경대수}}}]]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8.97%}}} || 42.85% ||<-2> △6.12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9.75%}}} || 38.56% ||<-2> △21.19 || || '''재외투표''' || {{{#004ea2 100.00%}}} || 0 ||<-2> △100.00 || ||<-5> {{{#ffffff '''21대 총선 진천군 개표 결과'''}}} || ||<-5> {{{#ffffff '''국회의원 선거 (증평군·진천군·음성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임호선|{{{#ffffff '''임호선'''}}}]] || [[경대수|{{{#ffffff 경대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21,891 [br] (54.18%)'''}}} || '''17,908 [br] (44.32%)''' || '''+ 3,983 [br] (△9.86)''' || '''40,900 [br] (60.64%)''' || || '''진천읍''' || {{{#004ea2,#5dabff 52.37%}}} || 46.21% || △6.16 || 59.51 || || '''덕산읍''' || {{{#004ea2,#5dabff '''61.81%'''}}} || {{{#696969,#969696 37.05%}}} || '''△24.76''' || 55.90 || || '''초평면''' || {{{#004ea2,#5dabff 53.49%}}} || 45.42% || △8.07 || 65.73 || || '''문백면''' || 42.69% || {{{#ef426f,#bc103c 55.08%}}} || ▼12.39 || 60.93 || || '''백곡면''' || {{{#696969,#969696 37.22%}}} || {{{#ef426f,#bc103c '''60.93%'''}}} || {{{#696969,#969696 ▼23.71}}} || '''69.24''' || || '''이월면''' || 47.15% || {{{#ef426f,#bc103c 51.10%}}} || ▼3.96 || 59.30 || || '''광혜원면''' || {{{#004ea2,#5dabff 52.71%}}} || 45.63% || △7.08 || {{{#696969,#969696 54.29}}} || || '''후보''' || [[임호선|{{{#004ea2,#5dabff '''임호선'''}}}]] || [[경대수|{{{#ef426f,#bc103c 경대수}}}]]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5dabff 47.45%}}} || {{{#ef426f,#bc103c 47.45%}}} ||<-2> 0 || || '''관외사전투표''' || {{{#004ea2,#5dabff 61.64%}}} || 36.38% ||<-2> △25.26 || || '''재외투표''' || {{{#004ea2,#5dabff 80.00%}}} || 20.00% ||<-2> △60.00 || ||<-10> {{{#ffffff '''21대 총선 음성군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증평군·진천군·음성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임호선|{{{#ffffff '''임호선'''}}}]] || [[경대수|{{{#ffffff 경대수}}}]] || || '''득표수[br](득표율)''' || '''22,572 [br] (47.31%)''' || {{{#ffffff '''24,393 [br] (51.12%)'''}}} || '''- 1,821 [br] (▼3.82)''' || '''48,328 [br] (58.77%)''' || || '''음성읍''' || 43.95% || {{{#ef426f 54.81%}}} || ▼10.86 || 60.58 || || '''금왕읍''' || 48.01% || {{{#ef426f 50.57%}}} || ▼2.56 || 55.24 || || '''소이면''' || 41.86% || {{{#ef426f 56.23%}}} || ▼14.37 || '''64.30''' || || '''원남면''' || {{{#696969 37.72%}}} || {{{#ef426f '''60.55%'''}}} || {{{#696969 ▼22.83}}} || 62.59 || || '''맹동면''' || {{{#004ea2 '''60.02%'''}}} || {{{#696969 38.65%}}} || '''△21.36''' || 52.11 || || '''대소면''' || {{{#004ea2 49.69%}}} || 48.47% || △1.22 || {{{#696969 51.69}}} || || '''삼성면''' || 42.24% || {{{#ef426f 56.48%}}} || ▼14.25 || 55.78 || || '''생극면''' || 37.85% || {{{#ef426f 60.26%}}} || ▼22.41 || 60.88 || || '''감곡면''' || 40.99% || {{{#ef426f 57.33%}}} || ▼16.34 || 56.77 || || '''후보''' || [[임호선|{{{#004ea2 '''임호선'''}}}]] || [[경대수|{{{#ef426f 경대수}}}]]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7.03%}}} || 41.94% ||<-2> △5.08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6.17%}}} || 42.20% ||<-2> △13.97 || || '''재외투표''' || {{{#004ea2 62.50%}}} || 35.00% ||<-2> △27.50 || [[미래통합당]]에선 [[이필용]] 전 음성군수가 예비후보로 등록했고, 3월 19일, 현역 [[경대수]] 의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결국 경대수 의원이 공천을 받았다. [[더불어민주당]]에선 임해종 전 지역위원장(전 [[기획재정부]] 공공정책국장)과 박종국 [[머니투데이]] 더리더 편집장, 김주신 [[극동대학교]] 부총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며 추가 공모 지역으로 지정된 후 임호선 전 경찰청 차장이 추가로 예비 후보로 등록됐다. 결국 [[임호선]] 전 경찰청 차장이 단수공천되었다. 기존 예비후보들의 반발은 적지 않았으나 결국 다 승복했다.[* 김주신은 무소속 출마를 타진했으나 탈당 시한을 놓쳐서 불출마 '''당'''했다(...)[[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0615|#]]] 이로써 이 곳은 검찰 출신의 경대수와 경찰 출신의 임호선이 맞붙으며[*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강원도의 이 곳]]도 마찬가지다.] 여야가 검경대결을 벌이는 지역이 됐다. 출구조사 결과로는 임호선의 경합 우세(임호선 50.4% vs 경대수 48.2%)였고 실제 개표에서는 2.85%p 차로 예측대로 임호선 후보가 신승을 거두며 민주당이 8년만에 이 지역구를 탈환하는데 성공했다. 음성군에서는 경대수 후보가 근소하게 앞섰지만 진천군과 증평군에서 임호선 후보가 많은 표를 얻어가면서 승리를 거둘 수가 있었다. 임호선 후보의 고향이 진천군이고, 그의 부인이 증평에서 오랜 기간 약국을 운영해 기반이 있는 반면,[* 덤으로 [[증평군]]은 경대수의 고향인 [[괴산군]]과 사이가 매우 나쁘다.] 경대수 후보의 고향은 이 지역구에서 분리된 괴산군이라 이런 일이 가능했던 것.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증평군·진천군·음성군|{{{#ffffff {{{+1 '''증평군·진천군·음성군'''}}}}}}]][br]{{{#ffffff 증평군 일원[*증평 증평읍, 도안면.], 진천군 일원[*진천 진천읍, 덕산읍, 초평면,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광혜원면.], 음성군 일원[*음성 음성읍, 금왕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