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개 == [[대한민국|한국]]의 [[전래동화]]이며 스토리 라인 자체는 동양권엔 상당히 흔하게 퍼져있는 설화로 원전은 고대 인도나 중국으로 추정되는데 일단 인도에 나온 기록인 ≪판차탄트라 Panchatantra≫ 및 ≪카타사리트사가라 Kathasaritsagara≫(11세기 후반)에 나온 게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원래는 두더지가 주인공이나 일본에서 출판된 쥐로 어레인지 된 버전이 국내에 번역되어 들어오는 과정에서 확산되고 쥐가 나오는 버전이 현대의 한국에는 좀 더 널리 퍼진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기록상으로는 조선 [[숙종(조선)|숙종]] 때 홍만종(洪萬宗,1643~1725)이 쓴 ≪순오지 旬五志≫(1678)에 기록된 두더지 버전이 가장 오래되었다. == 줄거리 == [[쥐]]가 사위를 고르는데 세상에서 가장 센 사위를 고르려고 하다가 쥐가 가장 무서워하는 [[고양이]]를 찾게 된다. 이에 고양이는 [[개]]를 만나면 자기도 쩔쩔맨다고 하고, 개는 [[사람]]이 제일 무섭다고 한다. 사람은 [[호랑이]]에게, 호랑이는 [[태양|해]]에게, 해는 자신을 가릴 수 있는 구름에게 당할 수 없다고 하고, 구름은 자신을 흩어버리는 [[바람]]이, 바람은 자기가 아무리 불어도 꿈쩍도 안 하는 담벼락(혹은 [[돌부처]] - 은진미륵)이 자신보다 더 강하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담벼락이 자신의 밑둥을 갉아먹어 쓰러뜨릴 수 있는 쥐가 가장 무섭다고 하면서, 결국 쥐가 사위가 된다는 이야기. 버전에 따라 해로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모든 것은 상대적이며, 별 거 아닌 것 같은 자기 자신도 남들이 보기엔 좋은 점이 있다는 교훈을 전해준다. 원래 버전인 [[두더지]]일 때에는 앞 과정은 비슷하나 돌부처를 쓰러뜨릴 수 있는 두더지가 가장 강하다고 한다. [youtube(_6HrpcuBTtQ?start=44&list=PLbx5Nu7lkDS5J4wOa7g4w_3_3OmWdxzRw)] == 파생작품 및 바리에이션 == * 석수장이의 설화 어느 여름날 석수장이가 돌을 깎는 일을 하다가 어느 귀족이 행차하는 모습을 우연히 보고 "아, 나도 귀족으로 태어난다면 이렇게 힘든 일 안하고 평생 놀고 먹을 수 있는데..." 하며 한탄하자 하느님이 석수장이를 귀족으로 만들어 주었다. 귀족이 되자 기뻐서 행차를 하고 있는데 그날따라 너무 더워서 하늘을 보니 태양이 강하게 내리쬐고 있었고 또 이를 보며 한탄하자 이번에는 태양이 되었다. 태양이 되니 사람들을 이길 수 있으리라 생각하니 이번엔 구름이 태양을 가렸다. 그래서 태양도 구름에는 못 당하는구나 하며 탄식하니까 이번에는 구름이 되었다. 구름이 되어 태양을 마음껏 가리는데 이번에는 바람이 구름을 밀어버렸다. 그래서 이번엔 바람이 되어 구름도 밀어내고 땅 위에 있는 것들을 밀어내는데 산 속의 바위는 밀지 못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바위가 되었는데 석수장이들이 와서 바위를 마구 깎아댔다. 그리고 [[꿈 결말|일어나보니 다시 석수장이가 되어 있었다.]] * [[꾸러기 수비대]] 16화의 소재며 블랙전사의 개입으로 무술대회를 해 사윗감을 선발하는 걸로 변경되어 똘기가 출전한다. * 이말년이 이 이야기를 주제로 만화를 그렸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85|#]] * 한국의 코미디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동방삭 치치카포 사리사리센타 워리워리 세브리깡 무두셀라 구름이 허리케인에 담벼락 담벼락에 서생원 서생원에 고양이 고양이엔 바둑이 바둑이는 돌돌이]]에 나오는 이름의 후반부는 이 이야기에서 차용했다. * [[오오카미 씨 시리즈]]에서 이 이야기를 채택했다. * 놀랍게도 서양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는데, 쥐가 암컷이고 직접 신랑감을 찾아나서는 이야기이다. 중간에 고양이의 꼬임에 넘어가서 한입거리가 될 뻔하거나 신랑 쥐가 결혼식 준비 도중에 그만 수프에 빠져 죽는 결말도 있다. [[https://en.m.wikipedia.org/wiki/The_Vain_Little_Mouse|#]] [[분류:한국 설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