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넓은 의미의 쥐가오리, rd1=쥐가오리류)] ||<-2><#f60> '''{{{#fff {{{+2 쥐가오리}}}[br]无刺蝠鲼 | Devil ray, Devil fish| イトマキエ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쥐가오리.jpg|width=100%]]}}} || ||<#f93> [[학명|{{{#000 '''학명'''}}}]] || ''' ''Mobula mobular'' '''[br]Bonnaterre, 1788 || ||<-2><#f96>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연골어류|연골어강]]^^Chondrichthye^^||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분류:매가오리목|매가오리목]]^^Myliobat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쥐가오리류|쥐가오리과]]^^Mobul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쥐가오리류|쥐가오리속]]^^''Mobula''^^||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쥐가오리^^''M. mobula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netail_mobula_osaka.jpg|width=100%]]}}} || || ''' {{{#fff {{{+1 쥐가오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매가오리목, 쥐가오리과에 속하는 바다 [[어류]]의 일종이다.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쥐가오리류|쥐가오리과]] 물고기다. == 이름 == "쥐가오리"라는 명칭은 넓은 의미로 쥐가오리과^^Mobulidae^^에 속하는 모든 종을 통칭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Mobula mobular'' 한 종만을 가리킨다. 원래 쥐가오리는 우리나라에서 ''Mobula japanica''라는 [[학명]]을 사용하였지만 2017년 6월에 발표된 [[https://academic.oup.com/zoolinnean/article/doi/10.1093/zoolinnean/zlx018/3886052/Phylogeny-of-the-manta-and-devilrays|논문]]에 따르면 ''Mobula japanica''가 ''Mobula mobular''의 동종이명으로서 흡수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Mobula mobular''로 표기해야 한다. 여담으로 ''Mobula japanica''라는 [[학명]]은 엄밀히 말해서 잘못된 표기인데 종명인 'japanica'는 원래 'japonica'로 표기해야 하기 맞기 때문이다. == 생김새 및 분포 지역 == [[인도양|인도]], [[태평양]]과 동부 [[대서양]]에 널리 분포해 있다. 온대, 열대성 환경을 선호하며 정해진 서식지가 없고 먼 바다를 이동하는 원양어류다. 몸길이는 평균 2~4m, 무게는 219~712kg 정도 되고 가끔 길이 5~6.5m, 무게 1.3~3.5톤을 넘는 개체가 꽤 목격되며 9.5m에 달하는 개체가 현재까지 관측된 최대크기다. 무게는 7.14톤. 상당히 큰 가슴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으로 날개 치는 듯이 헤엄칠 수 있다. 등 부분은 어두운 보라색, 배 부분은 흰색이다. 이빨이 없는 커다란 입을 가지고 있으며 이 입으로 [[플랑크톤]]과 같은 미세먹이를 걸러 먹는다. 종종 작은 물고기도 함께 잡아먹는다. 보통은 단독 생활을 하지만 멀리 이동할 때는 종종 무리를 짓기도 한다. 주요 번식 장소는 캘리포니아 만이며, 다른 매가오리과 종들처럼 난태생으로 새끼를 출산한다. 어미의 몸 속에서 부화한 새끼는 날개 너비가 70~85cm 정도 되면 어미의 몸 밖으로 나오게 된다. == 사람과의 관계 == [[가다랑어]]와 같은 상업 어류를 잡을 때 종종 같이 딸려오기도 한다. 다만 고기 맛이 좋지 못해서 상업적 가치는 낮고, 이렇게 잡힌 쥐가오리는 비료로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다만 [[중국]]에서는 쥐가오리의 아가미를 한약재로 쓰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어획하기도 한다. 쥐가오리는 번식 주기가 매우 길고, 새끼가 성숙하는데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멸종위기종이 될 우려가 존재한다. [[분류:쥐가오리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