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중화민국의 정부기관, rd1=중화민국 외교부)]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조성부서)] ||<-2><:> '''{{{#ffff00 {{{+1 [ruby(中华, ruby=Zhōnghuá)][ruby(人民, ruby=Rénmín)][ruby(共和国, ruby=Gònghéguó)][ruby(外交部, ruby=Wàijiāobù)]}}}[br]Ministry of Foreign Affairs[br]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r]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 || '''{{{#ffff00 명칭}}}''' || 外交部 (외교부) || || '''{{{#ffff00 표어}}}''' || '''인민을 위한 복무[br]为人民服务''' || || '''{{{#ffff00 설립일}}}''' || [[1949년]] [[9월 27일]] 중앙인민정부 외교부 || || '''{{{#ffff00 소재지}}}''' || [[베이징시]] [[차오양구(베이징시)|차오양구]] 차오양먼난다제2호[br]北京市朝阳区朝阳门南大街2号 || || '''{{{#ffff00 부장}}}''' || [[왕이(외교관)|왕이]](王毅) || || '''{{{#ffff00 부장조리}}}''' || 우장하오(吴江浩)[br]쉬페이훙(徐飞洪)[br]화춘잉(华春莹) || || '''{{{#ffff00 부부장}}}''' || 마차오쉬(马朝旭)[br]셰펑(谢锋)[br]덩리(邓励) || || '''{{{#ffff00 당위서기}}}''' || 치위(齐玉) || || '''{{{#ffff00 기검감찰조장}}}''' || 장지(张骥) || || '''{{{#ffff00 발언인}}}'''[* 发言人. 한국내 언론 매체에서는 '대변인(代辯人)'으로 지칭하고 있고, 일본 언론에서는 중국과 같이 발언인(発言人)으로 지칭한다.] || [[화춘잉]](华春莹)[br][[왕원빈]](汪文斌)[br][[마오닝]](毛宁) || || '''{{{#ffff00 상급기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파일:중국 국장.svg|width=20]]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 '''{{{#ffff00 우편번호}}}''' || '''100701''' || || '''{{{#ffff00 웹사이트}}}''' || [[https://www.fmprc.gov.cn/web/| [[파일:중국 국장.svg|width=3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소속 외무부서로, 한국 [[대한민국 외교부|외교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1949년]] [[9월 27일]] 중앙인민정부 소속 외교부로 개관하였으며, [[1954년]] [[9월 27일]]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이 건립되자 중앙인민정부가 해체되었고, 자연스럽게 외교부 역시 중앙인민정부에서 국무원으로 소속이 변경된다. [[대만]], [[홍콩]], [[마카오]] 관련 사무를 맡고 있는 부서인데, 대만의 경우에는 중국이 영유권 주장만 할 뿐 애초부터 다른 나라이기에 그런 것이며 홍콩과 마카오는 헌법상 중국 영토이지만 [[일국양제]] 체제 상 중국과 분리되어있기 때문에 외교 관련 부서에서 담당하는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 포함 국제 각지에 [[대사관]]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대외 [[비자]]발급 업무도 당연히 이 기관에서 맡으며, 한국에도 비자센터를 여러 곳에 설치하고 비자발급업무를 하는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비자/중국, 홍콩, 마카오|해당 항목]] 참조. 외교관들의 공식 SNS가 국제적으로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물의를 일으키고 있으며]], [[고인드립]] 및 [[가짜뉴스]] 확산 등으로 국가 이미지를 훼손하고 있다. [[https://www.reuters.com/article/us-china-twitter-idUSKBN29Q03O| ]] 또한 [[주한중국대사관]]은 2021년 영사가 [[음주운전]]을 일으키고도 공무라고 주장하여 기소의견으로 송치되는 개망신을 샀다. == 담당 직무 == * 1. 국가의 외교정책 및 관련 법규를 집행하고 국가를 대표하여 국가의 자주권과 안전과 이익을 수호하며 국가와 정부를 대표하여 외교를 처리, 당과 국가 지도자와 외국 지도자 사이의 외교적 교류를 수행한다. * 2. 국제정세와 국제관계의 총체적이고 전략적인 문제를 조사·연구하고 정치·경제·문화·안보 분야의 외교사업의 주요 문제를 연구·분석하며 당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이 공식화할 것을 권의한다. * 3. 전반적인 외교 분포에 따라 대외 무역, 경제 협력, 경제 지원, 문화, 군사 지원, 군사 무역, 화교 업무, 교육, 과학 기술 및 대외 무역과 같은 주요 문제에 대해 관련 부서와 조정할 책임이 있으며 이를 선전하고 당중앙위원회와 국무원에 보고한다. * 4. 외교 업무 분야의 관련 법률 초안 및 규정 및 정책 계획을 기초한다. * 5. 유엔 및 기타 다자간 분야에서의 전지구 및 지역의 안보, 정치, 경제, 인권, 사회, 난민 및 기타 외교 업무를 담당한다. * 6. 국제 군비관리, 군축, 비확산 및 기타 분야를 담당하하며 관련된 국제 안보 문제를 연구하고 군축조약 및 협정에 대한 협상을 조직한다. * 7. 국가의 양자 혹은 다자 조약의 사무를 책임지며 국제 사법 협력과 관련된 문제를 담당하고 국가와 정부가 관련된 주요 외국 관련 법률 사건을 담당하 혹은 참여하며 외국 관련 법률 및 규정의 초안 검토를 지원한다. 또한 중국의 국제 협약 및 협정 이행을 조직하고 조정한다. * 8. 육지 및 수역 관련 정책 수립 주도 또는 참여 및 해양 대외 업무를 지도, 국경 경비 및 합동 검사 관련 관리 업무 조직, 관련 외국 관련 사례 처리 및 수역 관련 외교 협상을 수행하고 공동으로 개발한다. * 9. 중요한 외교 활동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외교 정책을 정교화하며 중요한 국가 외교 활동의 기자업무를 담당하고 공공 외교 활동을 조직하여 중국 내의 외국 언론인과 언론기관의 업무를 담당한다. * 10. 국가의 대외예절 및 전례사무를 책임지고 국빈사무를 관장하며 재중 외교공관의 예우, 외교적 특권과 면책을 담당한다. * 11. 영사 업무를 담당한다. 중국 내 외교 및 영사관 관리, 재외 중국인 관리 및 국내 외교 관련 사건 처리 및 참여, 영사 보호 및 지원, 유관부서 조정, 지방부서 및 재외공관 영사 보호 및 지원을 위한 경보 보조를 담당한다. * 12. 중국 외 외국 관련 비상 사태 처리를 담당하고 해외 화교 공민 및 기관의 권익을 보호하며 국내 외국 관련 비상 사태 처리에 참여한다. * 13. [[홍콩]] 및 [[마카오]] 특별행정구의 외교 및 영사 업무를 법에 따라 관리하고 [[대만]]과 관련된 외교 업무를 담당한다. * 14. 지방 및 국무원 각 부처의 외무를 지도하고 조정하며 지방과 국무원 각 부서의 중요 외교규정과 국무원에 제출된 외교요청을 검토하고 유관부서와 협력하여 연구하고 협력한다. 주요 외무규약 위반에 대한 징계 처리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 15. 국가 안보 문제와 관련된 대외 문제를 처리하고 조정한다. * 16.국가중요외무활동 및 외교문건과 문서의 번역을 담당합니다. * 17. 홍콩과 마카오에 있는 외교 공관 및 특파원 공서 업무를 지도하고, 재외공관 간부 대열의 건설을 지도 및 담당하며 홍콩과 마카오 외교 공관을 감독하고 현지 특파원의 전산화 및 재무와 관사 건설을 담당한다. * 18.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를 총괄하고 중국적십자회와 중국쑹칭링재단의 대외업무를 중앙에서 관리한다. * 19. 그 외 당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이 위임한 사항을 처리한다. == 외교관 계급 == 중국 외무공무원은 일반 공무원과는 다른 계급체계를 가진다. 7계급으로 나뉘며,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대사(大使) - 대사 및 [[홍콩]]/[[마카오]] 특파원장, 국제기구 대표 * 공사(公使) - 총영사 및 국방무관, 홍콩/마카오 부특파원장, 상무교육영사 * 참찬(参赞) - 부영사 및 참사관, 대표처 주임, 홍콩/마카오 특파원, 상무교육 부영사 * 비서(秘书) * 일급비서(一等秘书) - 영사 * 이급비서(二等秘书) - 영사 * 삼급비서(三等秘书) - 부영사 * 수원(随员) - 일반 직원 == 산하 기관 == === 조직 구조 === * 판공청(办公厅) * 정책규획사(政策规划司) * 아시아사(亚洲司) :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522_0002312514&cID=10301&pID=10300|류진쏭]] * 서아시아북아프리카사(西亚北非司) * 아프리카사(非洲司) * 유라시아사(欧亚司) * 유럽사(欧洲司) * 북아메리카대양주사(北美大洋洲司) *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사(拉丁美洲和加勒比司) * 국제사(国际司) * 국제경제사(国际经济司) * 군공사(军控司) * 조약법률사(条约法律司) * 변경 및 해양사무사(边界与海洋事务司) * 신문사(新闻司)[* 중국의 중요 대외적인 사안을 대변하는 부서로 [[대변인]](发言人)들이 여기에 속한다.] * 예빈사(礼宾司) * 영사사(领事司) * 영사보호센터(领事保护中心) *[[홍콩]] [[마카오]] [[대만]]사무사(香港澳门台湾事务司) * 번역사(翻译司) * 외사관리사(外事管理司) * 섭외안전사무사(涉外安全事务司) * 간부사(干部司) * 이퇴휴사무국(离退休干部局) * 행정사(行政司) * 재무사(财务司) * 기관당위(机关党委) * 부 당위 국외공작국(部党委国外工作局) * 기록관(档案馆) === 파출기구 === * 주[[홍콩특별행정구]]특파원공서(驻香港特别行政区特派员公署) * 주[[마카오|마카오특별행정구]]특파원공서(驻澳门特别行政区特派员公署) * 그 외 중국 재외공관 === 직속사무 === * 외교부기관 및 주외기구복무센터(外交部机关及驻外机构服务中心) * 베이징 외교인원복무국(北京外交人员服务局) * [[댜오위타이국빈관]] 관리국(钓鱼台国宾馆管理局) * 중국국제문제연구원(中国国际问题研究院) * [[외교학원]](外交学院) === 산하 공기업 === * 세계지식출판유한공사(世界知识出版社有限公司) === 산하 단체 === * 중국인민외교학회(中国人民外交学会) *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中国人民对外友好协会) == 해외 주재 외교공관 목록 == [[외교공관/중화인민공화국의 재외 외교공관 목록]] 참조. == 역대 외교부장 == [include(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외교부장)] == 관련 문서 ==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중국/외교]] [[분류:중국의 국가행정조직]][[분류:외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