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중화민국]], [[총통]] ||||||||||||||||<#0000FF><:> '''{{{#ffffff 중화민국 총통부의 문장}}}''' || ||||||||||||||||<#FFFFFF><:>[[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83px-Emblem_of_Office_of_the_President_ROC.svg.png]]|| ||<-5><#0000FF>|| [목차] ||<:>[[파일:external/img.ltn.com.tw/600_phpGX5Zw0.jpg]]|| ||가장 최근에 거행된 [[2016년]] [[5월 20일]] [[차이잉원]] 총통의 취임 모습. 중화민국 총통 취임식은 사법부 수장인 사법원장이 주관하며, 입법원장이 [[국새]]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취임 선서 자세는 로마식 경례와 유사하다. 경례를 받는 쪽은 중화민국의 [[국부]]인 [[쑨원]]의 초상화. || > '''"나는 헌법을 준수하고,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며, 인민의 복리를 증진하고, 국가를 보위하고, 국민의 신임에 부응할 것이며, 이를 어긴다면 국가 앞에 마땅히 벌을 받을 것임을 전국의 인민 앞에 엄숙히 진실로 선서합니다.(余謹以至誠,向全國人民宣誓,余必遵守憲法,盡忠職務,增進人民福利,保衛國家,無負國民付託。如違誓言,願受國家嚴厲之制裁。謹誓。)"''' - 중화민국 총통의 취임 선서[* 중화민국 헌법 제48조에 따라 모든 총통 당선자는 취임식 때 해당 선서를 해야 한다.] == 역대 총통 == === 중화민국 임시정부 === * 기간 : [[1912년]] [[1월 1일]] ~ [[1913년]] [[10월 10일]] 이 시기의 직함은 '''임시대총통'''. ||<#8ED365><:> 대수 ||<#8ED365><:> 이름 ||<#8ED365><:> 임기시작 ||<#8ED365><:> 임기종료 ||<#8ED365><:> 재임기간 ||<#8ED365><:> 정당/군벌 ||<#8ED365><:> 비고 || ||<#C2E68B><:>임시 1대 ||<#DDF1B2>[[쑨원]](孫文) ||1912.1.1 ||1912.4.1 ||91일 ||<#FFFFFF>중국동맹회 || 난징에서 취임식을 거행 || ||<#C2E68B><:>임시 2대 ||<#DDF1B2>[[위안스카이]](袁世凱) ||1912.3.10 ||1913.10.10 ||1년 214일 ||<#FFFFFF>[[북양군벌]] || 본래 난징에서 취임할 예정이었으나[br] 톈진에서의 폭동으로 행정 수도를 베이징으로 이동 || === [[중화민국/북양정부|북양정부]](수도 : 베이징) === * 기간 : [[1913년]] [[10월 10일]] ~ [[1928년]] [[6월 2일]] 당시 중화민국 국가원수의 직함은 '''중화민국 대총통'''이다. [[펑위샹]][[북경정변|의 정변]] 이후 정식으로 대총통 직함을 쓴 사람은 없다. 차오쿤(曹錕) 밑에 기록된 사람들은 모두 정식 대총통은 아니고 국가원수 대행인데 편의상 기록한 것. ~~그만큼 혼란한 시기였다는 의미도 있고~~ ||<#8ED365><:> 대수 ||<#8ED365><:> 이름 ||<#8ED365><:> 임기시작 ||<#8ED365><:> 임기종료 ||<#8ED365><:> 재임기간 ||<#8ED365><:> 정당/군벌 ||<#8ED365><:> 비고 || ||<#C2E68B><:>1대 ||<#DDF1B2>[[위안스카이]](袁世凱) ||1913.10.10 ||1916.6.6 ||2년 240일 ||<#FFFFFF>북양군벌 || || ||<#C2E68B><:>2대 ||<#DDF1B2>[[리위안훙]](黎元洪) ||1916.6.7 ||1917.7.17 ||1년 40일 ||<#FFFFFF>북양군벌 || || ||<#C2E68B><:>3대 ||<#DDF1B2>[[펑궈장]](馮國璋) ||1917.7.17 ||1918.10.10 ||1년 85일 ||<#FFFFFF>[[직예군벌]] || || ||<#C2E68B><:>4대 ||<#DDF1B2>[[쉬스창]](徐世昌) ||1918.10.10 ||1922.6.2 ||3년 236일 ||<#FFFFFF>[[북양군벌]] ||[[공자]]의 77세손 공덕성의 연성공 작위 세습을 승인. || ||<#C2E68B><:>대행 ||<#DDF1B2>저우쯔지(周自齊) ||1922.6.2 ||1922.6.11 ||9일 ||<#FFFFFF>교통계 || || ||<#C2E68B><:>5대 ||<#DDF1B2>[[리위안훙]](黎元洪) ||1922.6.11 ||1923.6.13 ||1년 2일 ||<#FFFFFF>북양군벌 || || ||<#C2E68B><:>대행 ||<#DDF1B2>가오링웨이(高凌霨) ||1923.6.14 ||1923.10.10 ||118일 ||<#FFFFFF> || || ||<#C2E68B><:>6대 ||<#DDF1B2>[[차오쿤]](曹錕) ||1923.10.10 ||1924.11.2 ||1년 23일 ||<#FFFFFF>직예군벌 || [[우페이푸]]가 옹립. [[북경정변]]으로 축출. || ||<#C2E68B><:>대행 ||<#DDF1B2>황푸(黃郛) ||1924.11.2 ||1924.11.24 ||22일 ||<#FFFFFF> || [[펑위샹]]의 허수아비. || ||<#C2E68B><:>임시 집정 ||<#DDF1B2>[[돤치루이]](段祺瑞) ||1924.11.24 ||1926.4.20 ||1년 147일 ||<#FFFFFF>[[안휘군벌]] || [[2차 직봉전쟁]]으로 추대, [[펑위샹]]의 압박으로 하야. || ||<#C2E68B><:>대행 ||<#DDF1B2>후웨이더(胡惟德) ||1926.4.20 ||1926.5.13 ||23일 ||<#FFFFFF> || || ||<#C2E68B><:>대행 ||<#DDF1B2>옌후이칭(顔惠慶) ||1926.5.13 ||1926.6.22 ||40일 ||<#FFFFFF> || || ||<#C2E68B><:>대행 ||<#DDF1B2>두씨구이(杜錫珪) ||1926.6.22 ||1926.10.1 ||101일 ||<#FFFFFF>직예군벌 || || ||<#C2E68B><:>대행 ||<#DDF1B2>[[구웨이쥔]](顧維鈞) ||1926.10.1 ||1927.6.18 ||260일 ||<#FFFFFF> 외교관 || 국무총리 신분으로 국가원수 대행 || ||<#C2E68B><:>중화민국 육해공 대원수 ||<#DDF1B2>[[장쭤린|장쭤린(張作霖)]] ||1927.6.18 ||1928.6.2 ||350일 ||<#FFFFFF>[[봉천군벌]] || 돤치루이 이후 계속되던 대행 체제 종식, [[국민당의 1차 북벌|국민당의]] [[국민당의 2차 북벌|북벌]]로 축출 || === [[중화민국/국민정부|국민정부]](수도 : 난징) === * 기간 : [[1928년]] [[10월 10일]] ~ [[1948년]] [[5월 20일]] 이 시기 중화민국은 국민당 일당독재 체제인 훈정(訓政)기간으로, 당시 중화민국 국가원수의 직함은 '''국민정부 주석'''이었다. ||<#8ED365><:> 대수 ||<#8ED365><:> 이름 ||<#8ED365><:> 임기시작 ||<#8ED365><:> 임기종료 ||<#8ED365><:> 재임기간 ||<#8ED365><:> 정당 ||<#8ED365><:> 비고 || ||<#C2E68B><:> ||<#DDF1B2>[[탄옌카이]](譚延闓) ||1928. 2. 7 ||1928.10.10 ||247일 ||<#FFFFFF>[[중국 국민당]] || || ||<#C2E68B><:> ||<#DDF1B2>[[장제스]](蔣介石) ||1928.10.10 ||1931.12.15 ||3년 66일 ||<#FFFFFF>[[중국 국민당]] || [[1차 양광사변]]과 [[만주사변]]으로 하야 || ||<#C2E68B><:> ||<#DDF1B2>[[린썬]](林森) ||1931.12.15 ||1943.8.1 ||11년 232일 ||<#FFFFFF>[[중국 국민당]] || 교통사고로 임기 중 사망 || ||<#C2E68B><:> ||<#DDF1B2>[[장제스]](蔣介石) ||1943.8.1 ||1948.5.20 ||4년 294일 ||<#FFFFFF>[[중국 국민당]] || || 여기서 잠깐 보충설명을 하자면, 1925년 3월 20일 쑨원 사후, 1925년 7월 1일 국민정부 출범까지 후한민이 대원수 대리 자격으로 국가원수를 대행했으며 7월 1일부터는 [[왕징웨이]]가 국민정부 주석을 맡았지만 1926년 [[중산함 사건]]으로 사퇴하고 외유를 떠났다. 이후에는 장제스가 상무위원회 주석, 군사위원회 주석, 국민혁명군 총사령관 자리를 겸임하며 실질적으로 1인자였으며 1927년 4월 18일 난징 국민정부 수립 직후부터 1928년까지는 [[후한민]]이 정치회의 주석을 맡으면서 국가원수 직에 있었다. === 중화민국 헌법 제정 이후 === * 기간 : [[1948년]] [[5월 20일]] ~ 현재 일반적으로 헌정이 시작된 이 시점부터 [[중화민국]] 총통의 대수를 센다. 리덩후이와 천수이볜, 차이잉원을 제외한 나머지의 출신지는 전부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영토. ~~어떻게 북부 출신들이 하나도 없다~~ --그야 북부 출신은 죄다 군벌이었고, 중화민국이 어디서 시작되었는지, 장제스의 기반이 어디였는지만 봐도-- ||<#8ED365><:> 대수 ||<#8ED365><:> 이름 ||<#8ED365><:> 임기시작 ||<#8ED365><:> 임기종료 ||<#8ED365><:> 재임기간 ||<#8ED365><:> 정당 ||<#8ED365><:> 출신지[* 현재의 성급 행정구역 기준] ||<#8ED365><:> 학력 ||<#8ED365><:> 비고 || ||<#C2E68B><:>1대 ||<#DDF1B2><:>[[장제스]][br](蔣介石) ||1948.5.20 || 1949.1.21 || 8개월 ||<#FFFFFF>[[중국 국민당]] ||[[저장 성]]|| [[바오딩군관학교]][* 일본육군사관학교 21기 입학 예정이었으나 신해혁명에 참여하기로 결심해 입학을 포기하고 귀국했다.] || [[국공내전]]의 전세 악화로 인해 자진 하야. || ||<#C2E68B><:>대행 ||<#DDF1B2><:>[[리쭝런]][br](李宗仁) ||1949.1.21 ||1950.3.1 || 1년 1개월 ||<#FFFFFF>[[중국 국민당]] ||[[광시좡족자치구]] || 광서육군속성학교 || [[국부천대]] 이후로 귀국 거부로 인해 국민대회에서 탄핵함. || ||<#C2E68B><:>복귀 ||<|5><#DDF1B2><:>[[장제스]][br](蔣介石) ||1950.3.1 ||1954.5.20 || 4년 2개월 ||<|5><#FFFFFF>[[중국 국민당]]||<|5>저장 성 ||<|5> [[바오딩군관학교]] ||<|5> || ||<#C2E68B><:>2대 ||1954.5.20 ||1960.5.20 || 6년 || ||<#C2E68B><:>3대 ||1960.5.20 ||1966.5.20 || 6년 || ||<#C2E68B><:>4대 ||1966.5.20 ||1972.5.20 || 6년 || ||<#C2E68B><:>5대 ||1972.5.20 ||1975.4.5 || 2년 10개월 || ||<#C2E68B><:>대행 ||<#DDF1B2><:>[[옌자간]][br](嚴家淦) ||1975.4.6 ||1978.5.20 || 3년 1개월 ||<#FFFFFF>[[중국 국민당]] ||[[장쑤 성]]|| 상해 [br]성요한대학 || || ||<#C2E68B><:>6대 ||<|2><#DDF1B2><:>[[장징궈]][br](蔣經國) ||1978.5.20 ||1984.5.20 || 6년 ||<|2><#FFFFFF>[[중국 국민당]] ||<|2>저장 성||<|2> 소련 모스크바[br]손중산대학교 ||<|2> || ||<#C2E68B><:>7대 ||1984.5.20 ||1988.1.13 || 3년 8개월 || ||<#C2E68B><:>대행 ||<|3><#DDF1B2><:>[[리덩후이]][br](李登輝) ||1988.1.13 ||1990.5.20 || 2년 4개월 ||<|3><#FFFFFF>[[중국 국민당]] ||<|3>[[신베이]] 시||<|3> [[국립대만대학]] ||<|2> 대만 출생의 타이베이 시장 출신 첫 총통 || ||<#C2E68B><:>8대 ||1990.5.20 ||1996.5.20 || 6년 || ||<#C2E68B><:>9대 ||1996.5.20 ||2000.5.20 || 4년 || 직선제 개헌 후 3선[br](이후 총통은 중임만 가능) || ||<#C2E68B><:>10대 ||<|2><#DDF1B2><:>[[천수이볜]][br](陳水扁) ||2000.5.20 ||2004.5.20 || 4년 ||<|2><#FFFFFF>[[민주진보당]] ||<|2>[[타이난]] 시||<|2> [[국립대만대학]] ||<|2> 첫 정권교체 || ||<#C2E68B><:>11대 || 2004.5.20 || 2008.5.20 || 4년 || ||<#C2E68B><:>12대 ||<|2><#DDF1B2><:>[[마잉주]][br](馬英九) || 2008.5.20 || 2012.5.20 || 4년 ||<|2><#FFFFFF>[[중국 국민당]] ||<|2>[[홍콩 특별행정구]][br](본적지 [[후난 성]]) ||<|2> [[국립대만대학]] ||<|2> [[중국 국민당]] 정권 복귀 || ||<#C2E68B><:>13대 ||2012.5.20 || 2016.5.20 || 4년 || ||<#C2E68B><:>14대 ||<|1><#DDF1B2><:>[[차이잉원]][br](蔡英文) || 2016.5.20 || || 재임중[* 2018년 2월 기준 약 21개월째] ||<|2><#FFFFFF>[[민주진보당]] ||<|2>[[타이베이]] 시[br](본적지 [[타이완 성]])||<|2> [[국립대만대학]] ||<|2> 첫 여성 총통 [br] [[민주진보당]]의 2번째 집권 || [[민주화]] 이후 당선된 민선 총통인 [[리덩후이]], [[천수이볜]], [[마잉주]], [[차이잉원]]은 전부 다 [[국립대만대학]] 출신이며 그 중 리덩후이(농업경제학과)를 뺀 셋은 대만대학 [[법학과]] 선후배 출신으로 20년 동안 정권을 독식--지들끼리 싸운다--하는 전통을 이어가는 중이다.(...) --[[2016년]] 총통 선거에서 [[주리룬]]이 패배한 것은 주리룬이 대만대 [[경영학과]]를 나왔기 때문이고 [[쑹추위]]는 [[국립정치대학]]이라 당선 가능성 자체도 없었다 [[카더라]]-- 차이잉원이 기록을 깼지만 리덩후이와 천수이볜, 마잉주 모두 [[타이베이]] 시장직을 지낸 경력이 있다. 이를테면 [[서울대]] (특히 법대) 출신 법률가였던 전 [[서울시장]]들이 한국 대통령을 돌려가며 해오는 중이라는 이야기. 또한 [[천수이볜]]을 제외한 나머지 3명은 모두 [[객가인]]이다.[* 그리고 그 3명 모두 [[객가어]]를 못한다.]~~군부독재보다야 낫지만, 이건 무슨 귀족정도 아니고...~~ == 역대 총통의 [[양안]]정책 == * [[장제스]], [[옌자간]] - [[한적불양립|漢賊不兩立]] (한적불양립: [[중화민국|정통중국]]과 [[중국 공산당|비적]]은 양립할 수 없다.), 「反共大陸, 光復國土, 救出大陸同胞」(대륙에서 공산주의를 몰아내 국토를 되찾고 대륙 동포를 구해내자.) * [[장징궈]] - 不接觸, 不談判, 不妥協(불접촉, 불담판, 불타협 - 3不정책), 『三民主義統一中國』 (삼민주의로 중국을 통일하자) 무력을 통한 [[양안통일]] 실질적 포기. * [[리덩후이]] - 임기 초반에는 전임과 동일, 후반에는 『兩國論』 ([[양국론]]: 양안은 정통-반란정부, 하나의 중국, 또는 중앙-지방정부 간의 관계가 아니라 특수한 국가 대 국가의 관계라는 것.) * [[천수이볜]] - 임기 초반에는 [[사불일몰유|四不一沒有]] (사불일몰유: 독립선언, 국호 변경, (독립을 위한) 헌법개정과 국민투표를 하지 않고, 국가통일강령과 국가통일위원회 폐지는 없을 것.), 중반에는 [[일변일국|一邊一國]] (일변일국: 대륙에도 대만에도 별개의 나라가 각각 있음), 후반에는 [[타이완화|臺灣化]] (대만화, Taiwanization: 정부기관과 준정부기관에서 '중국'이라는 명칭을 삭제, Taiwan 국명으로 UN 가입 시도, [[중화민국 헌법]] [[개헌]] 시도 등) * [[마잉주]] - 『不統不獨不武』 ([[양안통일|통일]]도, [[분리주의|독립]]도, [[전쟁|무력 사용]]도 않음. 新삼불정책), 『一個中國是[[중화민국|中華民國]]』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china/111279.html|하나의 중국은 중화민국]]), [[ECFA|중국과의 경제교류 활성화]], 교과과정 개편을 통한 「중화민국」 정체성 강화 * [[차이잉원]] - 有溝通、不挑釁、沒意外 (유구통, 불도흔, 몰의외: [[중화인민공화국|대륙정부]]와 계속 소통하고, [[분리주의|도발하지]] 않으며, [[양안관계]]에 있어서 의외는 없을 것. 일치성·예측가능성·지속 가능한 양안 관계를 유지), "[[http://www.huffingtonpost.kr/2016/01/17/story_n_9001444.html?utm_hp_ref=korea|주권에 대한 억압은 양안관계의 안정을 파괴할 것]]" [각주] [[분류:중화민국 총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