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화권)] [include(틀:중화권 관계 관련 문서)] ||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width=100%]] ---- 중화권인 [[중국]]의 [[오성홍기]]와[br][[대만]]의 [[청천백일만지홍기]]의 합성물.[* 다만 [[중국]]은 [[대만]]을 자국 영토로 주장하고 [[홍콩]]과 [[마카오]]는 [[일국양제]]를 실행하기 때문에 중화권에 속한 국가는 오직 [[중국]]과 [[싱가포르]]라고 주장하기에 [[중국인]]의 시점에서는 저 이미지가 맞지 않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中]][[華]][[圈]][* 대중화(大中華) 또는 대중화지구(大中華地區)라고도 한다.] / Greater China 중화권은 [[중국인]], 특히 그 중에서도 [[한족]]이 문화, 경제적으로 영향력을 강하게 발휘하는 곳을 뜻한다. '''[[중국]]'''과 '''[[대만]]''', 그리고 중국의 [[특별행정구]]로 1997년과 1999년 이전까지 영국과 포르투갈 같은 유럽 국가들의 [[식민지]]였던 '''[[홍콩]]'''과 '''[[마카오]]''', 그리고 [[화교]]가 많다는 이유로 [[말레이시아]]에서 강제로 독립당한 '''[[싱가포르]]'''가 있다.[*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해있지만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인구 비중이 80%가 넘기 때문에 중화권으로 분류된다.]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 센다칸, 사바, [[쿠알라룸푸르]], [[페낭]], 이포 등] 역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의 비중으로 인해 중화권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은 문화적으로 말레이시아보다는 중국에 더 가깝다.[* [[말레이인]]들은 [[무슬림]]인지라 [[돼지고기]]를 먹는 것을 [[할랄 푸드|금지]]한다. 그러나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은 돼지고기를 즐겨먹는다. 그래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의 요리는 [[중국 요리]]에 더 가깝다.] 인문학자들이 싱가포르를 중화권으로 분류하고, 말레이시아도 가끔 중화권에 넣지만, 현실적으로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는 다른 민족도 같이 살기 때문에 무조건 중화권으로 분류해버리면 이들을 배제하는 폭론이 될 수 있기에 말레이시아는 [[ASEAN|아세안]]으로, 싱가포르는 영어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태국이나 인도네시아와 같은 다른 동남아시아에도 [[중국계 태국인]]과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의 비중이 유의미하게 있다. 중화권이라고 무조건 정치적으로 한 배[* 중국, 대만, 싱가포르의 정치사에서 미묘한 공통점이 존재하기는 하는데, [[일당 독재]] 치하에서 고도성장을 이룩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대만은 1980년대 후반에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독재국가라는 오명을 벗었으나 중국은 여전히 [[공산주의]] [[일당독재]] 국가다. 싱가포르는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나, [[여당]]인 [[인민행동당]]에게 유리한 선거제도 및 [[언론통제]]로 인해 [[독재]]까지는 아니더라도 사실상 [[비자유민주주의]] 내지 [[혼합 체제]]에 가까운 시스템이다.]를 같이 타지는 않는다. 중국과 대만은 [[양안관계]]로 서로 [[대립]] 중이고 싱가포르는 [[남중국해]]를 두고 중국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싱가포르는 [[아세안]]의 일원으로서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및 주변국과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족]]은 원래부터 역사 같은 [[인문학]]을 중시했으며,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인문학이 처참히 박살났던 중화인민공화국만 빼면 전부 인문학이 발달해 있고, 인문사회 계열도 적극 육성하고 있다. 한 예로 [[홍콩대학]]과 대만의 [[국립타이완대학]], [[국립정치대학]]은 원래 인문사회 계열 학문으로 유명하다. == 상호 왕래 == 중화권 중에서 싱가포르를 제외한 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은 서로 복잡한 정치적 문제가 얽혀있어서 상호 왕래 시 출입국(경) 절차가 특이하다. [[중국|중화인민공화국]] - [[대만|중화민국]]은 [[92공식]]에 의거 똑같이 서로를 '''[[하나의 중국|중국]]'''으로 보고 있고, 홍콩 및 마카오는 중화민국 측에서 1945년 이미 반환 받은 것으로 간주한다. 그런 이유로 [[영국 여권|BNO 홍콩 여권]]을 대만에서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대만 - 홍콩, 대만 - 중국, 중국 - 대만 양안 간 여행은 남한 - 북한의 교류와 같이 국내로 간주하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의 국제공항에 가면 [[국제선]]을 국제선 및 대만, 홍콩, 마카오 노선으로 표기한다. 즉 국내는 국내인데 [[정부]] 시스템이 각자 다른 별도의 구역으로 본다. 서로를 별개 국가로 볼 경우 [[92공식]]이나 [[하나의 중국]] 원칙에 어긋난다. [[대만|중화민국]]도 [[중국|중화인민공화국]]도 둘 다 하나의 중국이 철칙이며, 중화권의 각 정부를 [[특별행정구]] 정도가 아니라 별개 국가로 볼 경우 중국이 여러 개 국가로 나뉘어지는, 다시 말해 여러 개의 중국이라는 상황이 된다. [[동남아시아]]에 위치해있고 [[아세안]] 일원국가이기도 한 싱가포르는 이 문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일반적인 출입국 절차를 따른다. 싱가포르와 중국의 갈등으로 최근 들어서 [[중국인|중화인민공화국 국적자]]의 싱가포르 입국이 까다로워졌다만 타 중화권은 해당 사항 없다. == [[터부]] == '타이완'[* 우 링리, 크리스 베이츠, 정해영 옮김, 가지]에 따르면 중화권에서 부적절한 선물로 칼이나 가위 등의 날카로운 것, [[괘종시계]], (손)수건 등이 있다. 날카로운 것을 선물하면 관계를 끊고 싶다는 의미가 되며, 괘종시계는 '끝났다'를 뜻하는 말의 소리가 같으며, [[손수건]]은 [[눈물]]과 [[장례식]]을 연상시키며, [[수건]]은 장례식 조문객에게 흔히 주는 선물이라 불길하게 여겨진다고 한다. == 중화권에 속하는 국가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다민족국가]]이기는 하나 한족이 91.5%로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중화권 총본산. [[문자]]가 따로 없던 북방 유목민족들이 중국을 다스리기도 했고, 이미 [[중국화]]된 유목민족들도 많다. 중국 영토 중 [[티베트]]나 [[위구르]]와 [[내몽골]] 등 전통적으로 한족 영역이 아닌 데다 종교적 성향이 뚜렷한 지역들에도 한족들이 상당히 진출해 그들의 문화적 영향력이 크다. * [include(틀:국기, 국명=홍콩)] 중국계가 절대다수이다. 영국 식민지 시절의 영향으로 중국어와 영어가 모두 공용어이다. 영국의 사회적·문화적 영향도 상당히 크다. * [include(틀:국기, 행정구=마카오)] 역시 중국계가 절대다수이다. 포르투갈 식민지 시절의 영향으로 중국어와 [[포르투갈어]]가 모두 공용어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실효통치지역인 [[타이완 섬]]은 본래 한족의 영역이 아닌 [[대만 원주민]]들의 영역이었지만, 17세기 이후 중국 한족이 대륙에서 이주해 오면서 한족이 97%를 차지하는 중화권 지역이 되었다. 1949년 [[국공내전]]에서 패한 중화민국 정부가 [[국부천대|타이완 섬으로 옮겨와]] 오늘에 이른다. * [include(틀:국기, 국명=싱가포르)] 동남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나 [[화교]]가 인구의 80%를 구성하며 다수이다. 그러나 나머지 20%의 인구는 대부분이 인도계 및 말레이계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며, 영국의 식민지 지배를 받아 영어가 타 민족과의 중립언어로 쓰인다. 그래도 중국어와 그 방언들 역시 화교들끼리의 의사소통에 대거 쓰이기 때문에 중국어의 영향력 역시 막강하다. 중화권이지만 중국이 [[판다]]를 임대할 때 임대료를 받는 유일한 나라이다. == 준중화권 == * [include(틀:국기, 국명=말레이시아)]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이 도시 지역에 많이 분포한다. 말레이시아 상류층의 상당수가 이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이다. 특히 [[수도(행정구역)|수도]]인 [[쿠알라룸푸르]]나 [[페낭]] 등 몇몇 주요 도시는 말레이인보다 화교가 더 많을 정도이다. 그러나 국가 전체의 화교의 인구 비중은 25% 정도로, 길에서 흔하게 볼 수 있을 정도로 상당한 숫자이기는 하지만 전체 인구 중 50%를 넘는 말레이계 민족에 비하면 소수이고, 정치적인 영향력도 밀리고, 결정적으로 국가적인 정체성이 말레이 민족에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중화권 문화와는 이질적인 면이 많아 중화권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본토 말레이인에 비해 압도적으로 경제를 장악하여 그 영향력을 드러내고 있다. 언어도 화교들끼리는 [[광동어]], [[민어(언어)|민남어]]나 [[표준중국어]]가 쓰이지만 [[말레이어]]나 영어에 비해서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민족간 소통에는 거의 영어가 쓰인다. * [include(틀:국기, 속령=크리스마스 섬)] [[인도양]]에 있는 호주의 [[속령]]으로 중국계가 전체 인구의 65% 정도를 차지한다. * 기타 세계의 화교 공동체 중국어를 쓰는 [[화교]]들이 사는 해외의 지역들을 중화권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를 제외한 [[동남아]]에서 혼혈이 아니면서 본인의 정체성도 화교라는 자각이 강한 인원은 전체 인구 대비 비중이 그리 크지 않을 뿐더러 여러 역사적/정치적 이유로 인해 중국어를 쓰지 못할 정도로, 현지 사회에 동화가 많이 된 탓에 중화권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약 4,000만 화교 중 3,000만 명이 동남아시아에 몰려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 외의 다른 지역 역시 중화권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그 밖에 해외에는 [[차이나타운]]이 각 국가마다 존재하며, 한국에는 [[차이나타운(인천)|인천 차이나타운]]이 있다. == 여담 == 농담삼아 [[오성홍기]]의 큰 별은 중국을 상징하며, 작은 별 4개는 대만,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include(틀:싱가포르 관련 문서)] [include(틀:홍콩 관련 문서)] [[분류:중국어]][[분류:언어권]][[분류:한자문화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