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width=20]] '''{{{#000,#ddd 중화권-레소토 관계 관련 틀}}}''' [[파일:레소토 국기.svg|width=20]] || ||<-7><:><#fff,#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중국의 대외관계)] ---- [include(틀:대만의 대외관계)] ---- [include(틀:레소토의 대외관계)] ---- }}}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대만 국기.svg|width=100%]] || [[파일:레소토 국기.svg|width=100%]] || || [[중국|{{{#ffff00 '''중국'''}}}]] || [[대만|{{{#fff '''대만'''}}}]] || [[레소토|{{{#fff '''레소토'''}}}]] || [목차] == 개요 == [[중화권]]과 [[레소토]]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 == 역사적 관계 == === 현대 이전 === 1778년 [[청나라]] 시대부터 지금의 레소토 일대와 무역을 하기도 했었는데, 상아, [[때죽나무]] 기름, 의약, 향수가 청나라에 수입되었고, 청나라는 귀금속과 구리, 미술품을 수출했다. 그리고 [[중화민국]] 시대에도 중국인 1천여명 이상이 남아공으로도 이주해오기도 했었는데 [[영국]]으로부터 레소토 총영사관으로 임명된 류응아이도 있었다. === 20세기 === 1966년 레소토가 독립한 후 레소토는 [[대만]]과 외교를 맺었으며, 이 시기 [[중국]]은 공산국가였기 때문에 수교를 맺지 않았다. 1983년 레소토는 중국을 인정하기로 하면서 외교 관계를 바꾸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122800239104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12-28&officeId=00023&pageNo=4&printNo=19302&publishType=00010|#]] 다만 1990년 레소토는 대만을 다시 인정하기로 하면서 중국과의 관계가 단절되었다. [[https://v.daum.net/v/199004091540004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395883?sid=104|#]] 1992년에는 대만이 레소토, [[스와질란드]]와는 1백만원을, [[말라위]]에는 3백만원을 지원해주었다. [[https://v.daum.net/v/19920427095700950|#]] 그러나 레소토는 다시 중국을 인정하면서 대만과 재단교를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793312?sid=104|#]], [[https://v.daum.net/v/19940112160100710|#]] === 21세기 === ==== 2000년대 ==== 2005년 4월부터 중국인들이 레소토 내의 슈퍼마켓, 의류공장의 반이상을 차지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0794045?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0/0000003160?sid=11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156573?sid=104|#]] 2006년 6월 14일, 레소토와 남아공에서는 값이 싼 중국산 섬유들이 많아서 해당 국가들의 섬유노동자 수만명이 실직자가 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327921?sid=10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6/0000046921?sid=104|#]],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629017016|#]] 2006년 10월 22일 신화통신에 의하면, 2000년 이후 중국은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 고위 체육계 인사 사이의 교류가 자주 있었고, 레소토, [[튀니지]], [[이집트]], [[남아공]] 등과 스포츠 교류협력 협정에 합의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445628?sid=104|#]] 2006년 11월 5일,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ZTE는 레소토와 [[가나]]에 전화 설비를 제공하는 2개의 3천만 달러 계약에 서명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3/0000159822?sid=101|#]] 2007년 2월부터 레소토 등 여러 아프리카 국가에서 반중정서가 일어났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china/188448.html|#]] 2009년 6월 4일 [[시진핑]]은 체코아 레소토 대신을 만났다. [[https://korean.cri.cn/1660/2009/06/04/1s143845.htm|#]] ==== 2020년대 ==== 2021년 11월 28일, [[홍콩]]에 이어 대만과 [[마카오]]도 [[코로나 19]] 변이 바이러스를 차단하기 위해 레소토 등 아프리카 남부 국가들에서 온 사람들을 검사하는 등 통제를 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5335615&ref=A|#]] 2022년 10월 28일, 리커창 총리는 신임 레소토 총리에게 축전을 보냈다. [[https://korean.cri.cn/2022/11/01/ARTIPXHJnAYXa1zuvLxhcHdT221101.shtml|#]] 2024년 1월, 시진핑 주석과 [[레치에 3세]] 레소토 국왕은 외교 회복 30주년을 기념으로 축전을 했다. [[https://korean.cri.cn/2024/01/12/ARTIIsfI5MGGZHQdH3XTGNIj240112.shtml|#]] == 대사관과 대표부 == 1994년 이후부터 대만은 레소토에 [[타이베이 대표부]]를 두고 있지 않다보니 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타이베이 [[연락사무소]]에서 레소토와의 외교관계와 연관된 일을 맡고 있다. 중국과의 관계의 경우, [[마세루]]에 중국대사관이 있으며, 베이징에도 레소토 대사관이 있다. == 교통 교류 == 대만과 레소토의 경우 두 나라들을 직접 잇는 항공 노선이 없다보니 [[홍콩]], 남아공, [[두바이]]를 경유해서 지나가며, 중국은 홍콩을 통해 남아공이나 두바이를 거쳐서 지나간다. == 관련문서 == * [[중국/외교]], [[대만/외교]] * [[레소토#외교|레소토/외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남아프리카 국가]] [[분류:중국의 대국관계]][[분류:대만의 대국관계]][[분류:레소토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