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화염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 한글판 명칭 ||<-4>'''중폭격금 폭탄 페넥스'''|| || 일어판 명칭 ||<-4>'''[ruby(重爆撃禽, ruby=じゅうばくげきん)] ボム・フェネクス'''|| || 영어판 명칭 ||<-4>'''Blaze Fenix, the Burning Bombardment Bird'''|| ||<-5> [[융합 소환|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유희왕/속성|화염]] || [[화염족]] || 2800 || 2300 || ||<-5>기계족 몬스터 + 화염족 몬스터[br]|| [[유희왕 5D's(코믹스)|유희왕 5D's 코믹스판]]에서는 [[기폭수 볼캐논]]과 마찬가지로 [[보머(유희왕)|보머]]가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에서 사용. [[잭 아틀라스]]와의 대결에 대비해 준비한 비장의 카드로, 마법 카드 엑스트라 퓨전에 의해 엑스트라 덱에 있는 융합 몬스터 폭격수 파이어 봄버와 공폭익 파이어 버드를 융합 소재로 [[융합 소환]]되었다. 자신의 효과 데미지로 유세이를 궁지로 몰아넣지만, 공격 선언시에 유세이가 속공 마법 카운터 스워드를 발동해 공격력을 반감시키고 [[세븐 스워드 워리어]]의 반격에 파괴되었다. 공격명은 '페넥스 다이브 어택([ruby(不死魔鳥急降下撃, ruby=フェネクス・ダイブ・アタック)] / Fenix Dive Attack)', 효과명은 '페넥스 빅 에어레이드([ruby(不死魔鳥大空襲, ruby=フェネクス・ビッグ・エアレイド)]/Fenix Big Airraid)'[* 공격명과 효과명 모두 [[유희왕 5D's]] 애니판에서 보머가 사용한 [[다크 다이브 봄버]],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에서 각각 따온 것으로 보인다.] === OCG === [[파일:attachment/중폭격금 폭탄 페넥스/Fenix.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중폭격금 폭탄 페넥스, 일어판명칭=重爆撃禽(じゅうばくげきん) ボム・フェネクス, 영어판명칭=Blaze Fenix\, the Burning Boombardment Bird, 속성=화염,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300, 종족=화염족, 효과외1=기계족 몬스터 + 화염족 몬스터, 효과1=자신의 메인 페이즈시\, 필드 위에 존재하는 카드 1장당 300 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줄 수 있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공격을 포기하는 대신 필드의 카드 수만큼 효과 데미지를 주는 [[기동효과]]를 가진 융합 효과 몬스터. 9기 이전 텍스트라서 헷갈릴 수 있으나,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은 카드명 제약이 아니므로 필드를 벗어난 뒤 다시 소환한다면 다시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필드의 카드 매수는 자기 자신도 포함하기에 최소 300~최대 7200 대미지를 줄 수 있다. [[기폭수 볼캐논]]과 똑같은 소환 조건을 가지고 있다. 다만 볼캐논과 달리 기계족이 아니라 [[파워 본드]]의 효과는 받지 못한다. 발매 초기에는 화염족의 빈약한 카드풀, 화염족+기계족+융합 소환이라는 난해한 준비물로 관심을 받지 않았다. 볼캐닉 등 화염족 위주 덱에서 [[UFO 터틀]]과 소재로 소환하는 정도. 그러나 [[퓨전 게이트]]+[[체인 머티리얼]] 콤보, [[고대 요정 드래곤]]+[[안개 골짜기의 신풍]]+[[A·제넥스 버드맨]] 콤보 등으로 효과 대미지 원턴킬 루트가 개발되었다. 때문에 2013년 9월에 안개 골짜기의 신풍, A·제넥스 버드맨이 제한 카드로 오르는 데 영향을 주었다. 이후에도 [[구신 노덴]]이나 [[바이론(유희왕)|바이론 큐브]]+[[재융합]] 콤보 등 다양하게 선턴킬 파츠로 사용되다가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15년 1월|2015년 1월]] OCG에서 '''제한 카드'''가 되었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역사/10기|10기]]~[[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역사/11기|11기]]까지는 '전개 효과 대미지 원턴킬 덱'이라면 다른 덱이 성공률이나 플랜B 측면에서 더 유리했던 탓에 크게 주목받지 않았다. 그러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역사/12기|12기]]에 들어서 상기한 덱 대다수의 중요 카드가 금지되면서 다시금 원턴킬 파츠로 조명받았다. 12기의 다양한 화염 속성/화염족 서포트, 기계족 전개 용병 [[초중무사]]의 등장, 융합을 보조하는 링크 몬스터 [[프록시 F 매지션]], 토큰을 생성해 필드의 카드 매수를 채워주는 [[블랙 가든]]+[[가든 로즈 메이든]], 화염 속성 소생 요원 [[하염의 구희]] 등등. 자세한 설명은 [[https://m.dcinside.com/board/tcggame/2371600|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레거시 팩에서 UR로 등장하며, 처음부터 '''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는 어째 애니메이션 설정을 기반으로 한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보머가 [[라이딩 듀얼]]에서 이걸 굴리고 있다. 그럴만도 한 게, 당시 [[다크 다이브 봄버]]는 금지 카드였고, 에어레이드 중심으로 덱을 짜면 위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 [[볼캐닉]](화염족)과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기계족)를 같이 쓰는 식의 운용. 또 이 게임에서 위의 [[기폭수 볼캐논]]과 함께 영어 이름이 나왔는데, 역시 총기 규제에 민감한 미국답게 이름이 '블레이즈 페닉스'가 되어버렸고 결국 실제로 이런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이름의 중폭격금의 한자는 '重爆撃禽', 즉 '중폭격새'라는 의미다. 국내 번역에서는 볼캐논이 빠졌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리미엄 팩]] Vol.6 || PP06-KR024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PREMIUM PACK 13 || PP03-JP004 ||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절판 || || 2012 Premium Collection Tin || PRC1-EN012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관련 카드 == === [[기폭수 볼캐논]] === === [[비밀병기 머신건]] === === [[블러드 메피스트]] === === [[CX 격렬화전함 타오야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