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4> '''[[충청북도|{{{#000000,#dddddd 충청북도}}}]]의 [[군|{{{#000000,#dddddd 폐지된 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중원군 군기.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중원군}}}'''[br]中原郡[br]{{{-1 Chungwŏn County[* 폐지 당시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준]}}}}}}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충주시,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충주시]] [[금릉동]] 53-3 [* 현재의 푸르지오 아파트 자리이며 옆이 시청이다.] || ||<-2> '''상위 행정구역''' ||<-2> [[충청북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3[[면]] || ||<-2> '''면적''' ||<-2> 886.21km² || ||<-2> '''인구''' ||<-2> 67,749명(1993년) || ||<-2> '''인구밀도''' ||<-2> 76.5명/㎢ || [[파일:중원군 군기.svg|width=300]] [[1995년]] [[도농통합]] 이전까지 사용된 깃발. [목차] == 개요 == [[1895년]] [[6월 23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한 [[충청북도]] 산하 폐지된 [[군(행정구역)|군]]이다. 폐지된 [[1995년]] [[1월 1일]] 기준으로 현재 [[충주시]] 읍면 지역에 해당한다. 면적은 886.21km², 인구는 약 69,000명이었다. 군청은 도농분리 시절 군 지역이 그렇듯 중원군이 아닌 [[충주시]] 금릉동([[행정동]]: [[칠금·금릉동]])에 있었다. == 지명 유래 == [[세종실록지리지]]의 [[충청도]] 충주목 단락에 이곳 지명의 변천사를 소개하고 있다. 이 일대는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국원성(國原城)이 있던 자리였고, 이후 [[신라]]의 [[진흥왕]]이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한강 유역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신라]] 영토가 되어 국원[[소경]](小京)이 설치되었다. 그리고 [[경덕왕]]이 이곳의 지명을 중원경(中原京)으로 고치면서 중원이란 지명이 한동안 사용되었는데, [[고려]] [[태조(고려)|태조]]가 [[후삼국시대|후삼국]]을 통일하고 중원을 충주(忠州)로 개명하였다. 이후 [[1956년]] 충주읍이 충주시로 승격하면서 충주군의 잔여 지역을 옛 명칭인 중원에서 따와 '''중원군'''으로 개칭했다. == 역사 == [[조선]] 말인 [[1895년]]([[고종(대한제국)|고종]] 32년) [[6월 23일]][* [[1895년]]까지는 아직 [[음력]]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 당시 날짜는 윤5월 1일이었다.], [[23부제]] 행정구역 개편으로 충주군이 설치되었다. 이후 1년 1개월만인 [[1986년]] [[8월 4일]], 23부제를 폐지하고 [[13도제]] 행정구역 개편이 실시된 이후에도 충주군은 [[충청북도]] 도관찰부([[도청(행정)|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1908년]] [[한국통감부]]가 [[철도]] 교통이 불편함을 이유로 도청소재지를 충주에서 [[청주시|청주]]로 이전하라고 하여 옮겨졌다. 1917년 10월 1일에 읍내면을 충주면으로 개칭하였다. 1931년 4월 1일에 충주면을 충주읍으로 승격하였다. 읍승격과 동시에 읍내리를 분할하고 일본식 동명을 도입하였다. 이 행정구역은 해방 이후에 청산되었다. || 1910년대 ~ 1931년 [br] 충주군 충주면 || 1931년 ~ 1940년대 [br] 충주군 충주읍 || 1940년대 [br] 충주군 충주읍 → [[충주시]] || ||<|5> 읍내리(邑內里) || 본정(本町) || 성내동 || || 영정(英町) || 성남동 || || 금정(錦町) || 성서동 || || 대수정(大手町)1정목(丁目) || 충인동 || || 대수정(大手町)2정목(丁目) || 충의동 || [[1956년]] [[7월 8일]], [[https://www.law.go.kr/법령/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00389,19560708)|법률 제389호]]에 의해 충주군 충주읍이 [[충주시]]로 분리 승격되고 충주군 잔여 지역을 옛 지명으로 개칭한 것이 '''중원군'''이었다. [[1963년]] [[괴산군]] 상모면([[2005년]]에 [[수안보면]]으로 개칭)을 편입했고, [[1973년]]에 이류면([[2012년]]에 [[대소원면]]으로 개칭) 하문리를 괴산군 불정면에, [[신니면]] 광월리 일부를 [[음성군]] [[음성읍]]에 넘겼다. [[1985년]] [[충주댐]] 건설로 [[동량면]]·[[살미면]]·[[산척면]] 일부 지역이 수몰됐다. [[1987년]] 살미면 목벌리(현 [[충주시]] [[교현·안림동|목벌동]])가 충주시에, [[제천군|제원군]] 한수면 소속 6개리가 동량면에 편입되었다. [[1989년]] 상모면 문강리, 토계리를 살미면에, 산척면 원월리를 [[제원군]] [[백운면(제천)|백운면]]에 편입했다. [[1995년]] [[1월 1일]]자로 단행된 [[도농통합]] 행정구역 개편으로 [[충주시]]와 통합되었다. 중원군 시절 생긴 [[제19전투비행단]]이 충주기지가 아니라 중원기지인 이유가 이것이다. 이후의 전반적인 역사는 [[충주시]] 항목을 참조. == 기타 == [[충주 고구려비]]는 이곳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중원 고구려비]]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옛 중원군청사는 쭉 충주시내에 있었으며 [[충주시/행정#s-2.7|성내동]]에서 충주시청 건너편인 금릉동([[행정동]]: [[칠금·금릉동]])으로 한 번 이전해 [[2015년]] 11월에 철거되었으며, 해당 부지에는 [[충주 센트럴 푸르지오]]가 들어섰다. 가수 [[안진경(1983)|안진경]]과 방송인 [[조영구]]가 중원군 출신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중원, version=111, paragraph=2)] [[분류:1895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1995년 폐지된 행정구역]][[분류:충청북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향토사]][[분류:충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