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08년 개교]][[분류:종로구의 중학교]][[분류:고려중앙학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include(틀:서울특별시 종로구의 중학교)] ||<-2> {{{#ffffff {{{+4 '''중앙중학교'''}}}}}}[br]{{{#ffffff {{{+1 中央中學校}}}}}}[br]{{{#ffd700 '''CHOONGANG MIDDLE SCHOOL'''}}} || ||<-2> [[파일:a2d82e_selectImageView.jpg|width=300]] || || {{{#ffffff '''분류'''}}} || {{{#600015,#ff9fb4 일반계}}} [[사립학교|{{{#600015,#ff9fb4 사립}}}]][[중학교|{{{#600015,#ff9fb4 중학교}}}]] || || {{{#ffffff '''학교법인'''}}} || [[고려중앙학원|{{{#600015,#ff9fb4 고려중앙학원[br](高麗中央學院)}}}]] || || {{{#ffffff '''개교'''}}} || [[1908년|{{{#600015,#ff9fb4 1908년}}}]] [[6월 20일|{{{#600015,#ff9fb4 6월 20일}}}]] {{{#600015,#ff9fb4 기호학교}}} || || {{{#ffffff '''성별'''}}} || [[남녀공학#s-4.2|{{{#600015,#ff9fb4 남녀공학 }}}]] || || {{{#ffffff '''교장'''}}} || {{{#600015,#ff9fb4 최용석}}} || || {{{#ffffff '''교감'''}}} || {{{#600015,#ff9fb4 류기동}}} || || {{{#ffffff '''상징동물'''}}} || [[호랑이|{{{#600015,#ff9fb4 호랑이}}}]] || || {{{#ffffff '''교목'''}}} || [[잣나무|{{{#600015,#ff9fb4 잣나무}}}]] || || {{{#ffffff '''교화'''}}} || [[무궁화|{{{#600015,#ff9fb4 무궁화}}}]] || || {{{#ffffff '''교색'''}}} || [[크림슨|{{{#600015,#ff9fb4 크림슨 (적자주)}}}]] || || {{{#ffffff '''학생 수'''}}} || {{{#600015,#ff9fb4 12학급 242명[br](2023학년도) }}} || || {{{#ffffff '''교원 수'''}}} || {{{#600015,#ff9fb4 30명[br](2023학년도)}}} || || {{{#ffffff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600015,#ff9fb4 서울특별시교육청 (중부)}}}]] || || {{{#ffffff '''주소'''}}} || [[서울특별시|{{{#600015,#ff9fb4 서울특별시}}}]] [[종로구|{{{#600015,#ff9fb4 종로구}}}]][br][[창덕궁|{{{#600015,#ff9fb4 창덕궁}}}]]{{{#600015,#ff9fb4 길 164 (}}}[[계동|{{{#600015,#ff9fb4 계동}}}]] {{{#600015,#ff9fb4 1)}}} || || {{{#ffffff '''홈페이지'''}}} || [[http://www.choongang.m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choongangms|[[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5]]]] || > '''대한민국의 중앙에서 세계의 중심으로'''[br] - 중앙학교 개교 100주년 타이틀 > '''웅원(雄遠) · 용견(勇堅) · 성신(誠信)'''[br] - 중앙학교 교지 > '''100년 전통의 영광보다 새 100년의 VISION이 더 소중한 학교'''[br] - 중앙중학교 캐치프레이즈 [목차] == 개요 == || [[파일:중앙중대문.jpg|width=100%]] || || {{{#ffd700 '''중앙중학교'''}}} || {{{#7d001b,#ff829c '''중앙중학교(中央中學校, Choongang Middle School)'''}}}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일반계 [[중학교]]이자 [[남녀공학#s-4.2]] [[중학교]]이다. 원래는 [[중앙고등학교]]가 [[중앙중학교]]에 속해 있었으나, [[1950년]] 학제 개편으로 독립해나가며 현재와 같은 3년제 [[중학교]]가 되었다.[* 그렇지만 독립 이후에도 오랫동안 교지도 공동 발간하고 행사도 같이 했기 때문에 [[중앙고등학교]]의 거의 대부분의 역사와 상징은 [[중앙중학교]]와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중앙고등학교]]가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지정되고, [[남자중학교]]였던 [[중앙중학교]]가 [[남녀공학]]으로 전환되면서 이질감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거기다가 [[중앙중학교]] 교사(校舍)는 [[2002년]]에 준공하여 고풍스러운 [[중앙고등학교]]와 크게 차이가 난다.] == 학교상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앙고등학교)] === 교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앙고등학교)] || [[파일:중앙고등학교-교표.jpg|width=200]] || || {{{#ffd700 '''중앙학교 교표'''}}} || 중앙학교의 교표는 [[20세기]] 초의 대부분의 로고가 그러하듯 "中"자와 "央"자를 결합하여 만든 것이다. 제작 시기는 불명이다. || [[파일:중앙고등학교-모표.jpg|width=200]] || [[파일:중앙중학교 모표.jpg|width=200]] || || {{{#ffd700 '''중앙고등학교 모표'''}}} || {{{#ffd700 '''중앙중학교 모표'''}}} || 중앙학교의 모표는 중앙학교의 수난의 역사와도 일맥상통한다. 이 무궁화 모표는 1910년 11월에 제정되었으며, 교가의 가사와 같이 무궁화 복판에 중앙학교의 ‘中’자를 넣었다. 그러나 이를 탐탁치 못하게 여긴 [[조선총독부]]에 의하여 [[1938년]] 12월부터는 [[서울종로경찰서|종로경찰서]]의 압수로 무궁화 모표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잠시 1년 동안 무궁화 대신 선으로 연결한 육각형 모표를, [[1939년]]부터는 무궁화를 대신한 [[월계관]] 모표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1945년]] 해방 이후 무궁화 모표로 환원하여 오늘날까지 사용해오고 있다. 원래 "中"자를 새겨넣은 중앙학교의 모표는 중앙학교인 두 학교([[중앙중학교]], [[중앙고등학교]])가 위의 교표와 같이 함께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중앙고등학교]]는 '''髙'''자를 새겨넣은 모표를 따로 사용하고 있다. [* 이렇게 된 사유는 현재 확인할 수 없으나, '''中'''자가 자칫 '''중학교'''의 '중'자로 보일 수 있어 바뀐 것으로 추정되며, 중앙고등학교 '''신관'''에는 건립 당시의 "中"자 모표가 그려져 있어 적어도 그 당시에는 원래의 중앙학교 모표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교목, 교화, 교지(校旨), 건학이념 === || [[파일:gyoji.jpg|width=100%]] || || {{{#ffd700 '''중앙중학교의 교지(校旨)와 상징'''}}} || 중앙중학교의 교목(校木)은 '''[[잣나무]]'''이다. 잣나무는 늘푸른 [[상록수]]로서 강인한 한국인의 기상을 나타내고 굳건한 민족정신을 의미하는 나무이다. 그리고 중앙중학교의 교화(校花)는 '''[[무궁화]]'''이다. 무궁화는 [[대한민국]]의 [[국화#s-2]]로서 한민족의 상징이자 민족교육의 상징인 꽃이다. 중앙중학교의 교지(校旨)는 학교의 교육지침인 교지(敎旨)이자 학교의 이념인 교훈(校訓)인 지표로써, 웅원(雄遠), 용견(勇堅), 성신(誠信)이다. 이는 높은 이상을 가진 세계인, 강건함과 용기를 지닌 한국인, 성실함과 봉사정신을 가진 민주시민을 육성하겠다는 [[인촌 김성수]]와 애국지사들의 의지가 담긴 것이며, 이 교지는 [[인촌 김성수]] 선생이 중앙학교 인수 당시 제정하여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다만 학교 일부에서 교지의 한자 표기를 '敎旨'라고 하는 경우가 종종 보이는데 이는 틀린 것으로 우리 학교의 '교육' 지침뿐만 아니라 '학교 이념'을 밝히기 위한 지표이기 때문에 '敎旨'와 '校訓'의 합성어인 '校旨'라고 하는 것이 옳은 표기이다.[* 당장 [[20세기]]에 발간된 학교 교지 <계우>에도 '''[[인촌 김성수]] 선생'''의 글씨로 '校旨'라고 쓰여있다. 그렇지만 이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최근 들어 '敎旨'로 쓰는 경우가 많아져 안타까울 따름이다. 참고로 <계우>는 현재 [[중앙고등학교]]에서 발간되고 있다.] 중앙중학교의 건학이념은 '교육구국(敎育救國), 교육입국(敎育立國), 교육흥국(敎育興國)'이다. 이는 학교의 설립 배경과도 연관되어 있는데, 국권침탈기에 국민계몽을 하고자 하였던 당대 교육가들의 이상에 의하여 교육으로 나라를 구하고, 교육으로 나라를 다시 세우며, 교육으로 나라를 흥하게 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이념이다. === 교가 === ||<-2> [[파일:external/4.bp.blogspot.com/%25EC%25A4%2591%25EC%2595%2599%25EA%25B3%25A0%2B%25EA%25B5%2590%25EA%25B0%2580.jpg|width=100%]] || ||<-2> {{{#ffd700 '''중앙중학교의 교가'''}}} || || {{{#f5f5f2 ''' 작곡가 ''' }}} || {{{#600015,#ff9fb4 김영환}}}[* 한국인 최초로 [[도쿄]] 우에노(上野) 음악학교 본과에서 피아노를 전공한 사람이다.] || || {{{#f5f5f2 ''' 작사가 ''' }}} || [[최남선|{{{#600015,#ff9fb4 최남선}}}]][* 작사 당시는 아직 친일행위를 하며 변절하기 이전이다. 참고로 [[휘문고등학교]] 교가도 작사해서 두 학교의 교가는 상당히 느낌이 비슷하다. 작사가가 같은 것 말고도 원래 [[휘문고등학교]]가 현대 계동사옥 자리에 있어서 그렇기도 하다.] || >{{{#7d001b,#ff829c '''1절'''}}} >흘러흘러 흘러서 쉬임이 없고 >솟아솟아 솟아서 그-지 없는 >흰 뫼와 한가람은 무궁화 복판 >거기 솟은 우리집 이름도 중앙 > >{{{#7d001b,#ff829c '''2절'''}}} >건아야 모였도다 열세길로서 >이룸으로 가는 배 예와서 타니 >건너는 언덕 각각 다다를 때면 >퍼지리라 골고루 예서 얻은 빛 > >{{{#7d001b,#ff829c '''3절'''}}} >높거라 너의 이상 굳거라 의지 >맘과 일은 온전히 지성이거라 >가르침과 배움이 오직이로다 >이리하야 이루라 넓고 깊어 큼 > >{{{#7d001b,#ff829c '''4절'''}}} >거름거름 덕성을 닦아 올림은 >하늘 뚫고 말려는 저 뫼와 같이 >가지가지 슬기를 열어느림은 >바다에가 그치는 저 가람처럼 > 작사한 사람은 [[최남선|육당 최남선]][* [[인촌 김성수]]와 마찬가지로 1940년대 이후 친일행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중앙고등학교]] 본관 앞에 교가가 새겨진 비석이 있다. Moderato(보통 빠르게)는 과거 교가를 부를 때의 빠르기로 추정되며, 현재는 2분음표 기준=130으로 더 빠른 박자로 노래를 부른다. Allegro(빠르게)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하다. 1절의 '흰 뫼'는 [[북악산]]을, '한가람'은 [[한강]]을 의미한다. '무궁화 복판'이라는 구절이 있다는 이유로 일제가 교가를 금지한 적이 있었다. 2절에서 '열세 길'은 중앙학교 창립 당시 전국 각지에서 모인 학생들을 상징하여 전국 13도를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예'는 '여기', '이곳'이라고 해석하면 된다. 3절의 '높거라 너의 이상'은 중앙중학교의 교지(校旨) 중 웅원(雄遠)을, '굳거라 의지'는 용견(勇堅)을, '맘과 일은 온전히 지성이거라'는 성신(誠信)을 의미한다.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앙고등학교)] === 개교기 (기호학교 ~ 중앙학교) === 開校期, [[1908년]] ~ [[1916년]] [[1908년]] [[6월 1일]], 애국계몽을 위한 교육단체인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에서 '''기호학교(畿湖學校)'''를 설립하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6월 20일]] 교원 양성을 목표로 하는 사범교육과정의 '''특별과'''와 20세 이상 한문에 능통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교육과정의 '''본과'''로 구분되어 기호학교가 개교하였다.[* [[2007년]]까지는 [[6월 1일]]이 기호학교 설립안 가결일이기 때문에 '[[개교기념일]]'로 정하였으나, [[2008년]] 개교 100주년 기념식 때부터 [[6월 20일]]로 복원하기로 결정하여 [[6월 20일]]로 바뀌게 되었다.] [[1908년]] 입학한 95명의 학생들은 [[9월]]에 모집한 후학기(後學期) 학생들을 포함하여 200여 명에 달하게 되었다. 교육과정은 지리·역사·산수·법학·경제·음악·체조 등으로 하였으며 특별과는 1년 6개월로, 본과는 3년으로 수업연한을 정하였다. 이 기호학교의 자리는 오늘날의 [[국군서울지구병원]]으로써 [[소격동]]의 [[대한제국]] 육군위생원 건물이었으나 [[1908년]] [[12월 5일]] 후학기 학생들로 인원이 초과되자 당시 초대 윤효정 교장의 뒤를 이은 방승봉 교장이 화동(花洞) 교사로 이전하게 되었다.[* 이 화동 교사는 김성수 계열 법인들([[동아일보]],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등)에게는 큰 의미가 있는 곳으로 기호학교와 중앙학교가 사용하다가 김성수의 중앙학교 인수 직후 학교가 계동으로 이전되면서 자리가 비었다. 그래서 [[1920년]]에 창간된 [[동아일보]]가 이곳을 사옥으로 썼다. [[http://map.naver.com/?vrpanotype=3&query=7ZmU64%2BZIDEzOC0yNg%3D%3D&searchCoord=&street=on&menu=location&tab=1&vrpanopoi=off&vrpanolng=e76a405a1ecfdca9984bbce69d1bb809&lng=1210d088442a11cf4ae4ee269f18ac69&__fromRestorer=true&mapMode=0&vrpanofov=100&vrpanoid=wqfrbXX85aY1TijAdT7fAg%3D%3D&vrpanopan=26&mpx=37.5753028%2C126.973759%3AZ11%3A0.0344565%2C0.0138173&vrpanosky=on&vrpanolat=ef75a356cc3d63b2458caf0b37794a09&vrpanotilt=-15.83&dlevel=14&lat=72f9a792421156dc7ee94b190374c509&enc=b64|위치는 이곳.]] 로드뷰에서 앞면이 안 보이는 작은 비석이 기념 표석이다. 그런데 잘 보면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시행 이전 중앙고의 가장 큰 라이벌이었던 [[경기고등학교]] 구 교사의 바로 앞이다! 물론 중앙고가 한참 전에 이전하여서 크게 상관은 없지만 참 오묘하다.] 기호흥학회는 기호학교를 통해서 기호지방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학교들과 밀접한 교류를 통해 [[교육]]을 통한 애국계몽과 근대화를 추진하였고, 특히 [[충청도]]의 다수 향교, 학교들과 교류가 이뤄졌다. 그러나 [[1910년]] [[경술국치]]로 망국이 되면서 기호흥학회 역시 다른 애국계몽운동 단체들과 함께 [[조선총독부]]로부터 '''해산''' 처분을 당하였다. 이러한 총독부의 결정 이후 기호흥학회는 [[1910년]] [[9월 11일]]에 의욕적으로 [[유길준]]과 그가 이끌던 [[흥사단]]이 창립한 '''융희학교(隆熙學校)'''를 흡수·통합하였고 이는 지금의 '''중앙중·고등학교'''의 시초가 되었다. 이어 [[1910년]] [[11월 22일]], 기호흥학회가 전국 각지의 지방 학회와 통합하여 새로이 중앙학회(中央學會)를 창립하였으며 교명 역시 '''사립중앙학교(私立中央學校)'''로 바꾸게 되었다. '중앙'이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다른 지역의 수많은 '중앙'중학교, '중앙'고등학교들과 달리 서울에 있는 [[중앙중학교]]에 지역 이름이 붙지 않는 이유이며, 이름에 걸맞게 학생 역시 전국 13도에서 골고루 지원받았다. 더불어 [[중앙고등학교 야구부]]도 이 때 창단되어 100년이 넘도록 재창단 없이 이어지고 있으며, 육당 [[최남선]]이 작사한 '''교가'''도 [[1914년]] [[7월 24일]] 만들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총독부는 끊임없이 민족 교육을 방해하고, 계몽운동을 막기 위해 '사립학교 인가제' 등 갖은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였다. 특히 [[1911년]]에는 [[조선교육령]]의 공포를 통해 적극적으로 민족사학의 육성을 방해하고자 하였다. 중앙학교 역시 ''''사립학교규칙'''' 등의 적용으로 운영이 크게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중앙학회의 회장이었던 [[김윤식(조선)|김윤식]][* 역시 [[인촌 김성수]]와 마찬가지로 친일 행위가 있었으나 이 사람은 [[3·1 운동]]에 [[이용직]]과 함께 참여하여 [[친일반민족행위자]] 목록 등지에서는 제외되었다.]은 학교를 안정적으로 인수하여 경영할 사람을 찾아다녔고, 그 끝에 만난 사람이 바로 '''[[김성수(1891)|김성수]]'''였다. [[김성수(1891)|김성수]]는 원래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얻어 백산학교(白山學校)라는 다른 학교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당시 민족 사학의 세력 확장을 우려하던 총독부의 강경한 거부로 결국 실패하였다. 그런 김성수에게 김윤식이 제안한 '중앙학교 인수'는 상당히 솔깃한 이야기였다. 그래서 김성수는 [[전라북도]] [[부안군]]의 재력가인 양부(養父) '''원파 김기중''' 선생에게 중앙학교의 인수를 위한 자금 지원을 요청하였다. || [[파일:계동 중앙고등학교 (1917년경).jpg|width=100%]] || || {{{#ffd700 '''중앙중학교 계동 교사 (1917년 경)'''}}} || 생부(生父)인 김경중과 거의 대부분의 가족들은 크게 반발하였으나, 김기중만이 그의 편을 들어주며 인수를 돕고자 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1915년]] [[4월 27일]]''', 24살이라는 젊은 나이의 김성수가 김기중·김경중 두 아버지의 지원을 받아 '''중앙학교'''를 인수하게 되었다. 이 인수를 통해서 많은 것들이 변하게 되었다. 고향의 많은 땅을 팔고 김기중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으며 김성수는 지금의 중앙학교 자리인 '''[[계동]]''' 1번지 땅 '''4,000여 평'''을 사서 학교를 건설하게 되었다. 사실 김성수의 계동으로의 이전은 '고등보통학교령'이라는 일제의 교육방침에 대응하기 위함이기도 했다. 이 법령에 따라서 모든 고등보통학교는 총독부의 인가를 받고, '4개년'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것이 골자였는데 이는 턱없이 작은 화동 교사에는 4개 학년의 학생들을 수용하기에 벅찬 규정이었다. 그래서 김성수는 하루 빨리 넓은 부지로 새롭게 건물을 지어 학교를 이전하고자 한 것이다.[* 실제로 김성수를 도왔고, 후에 [[동아일보]] 사장과 중앙고등보통학교 교장을 맡기도 했던 [[송진우(독립운동가)|송진우]]는 학생들의 등교에 불편하고 학교 발전에 지장이 있다며 불평을 하긴 했으나 김성수는 '나중에 이 앞에 집들이 들어서면 괜찮다'며 강행하였다. ~~송진우가 옳았다.~~] === 발전기 (중앙학교 ~ 사립중앙고등보통학교) === 發展期, [[1917년]] ~ [[1937년]] ||[[파일:김성수, 최두선, 송진우, 현상윤.jpg|width=100%]] || || {{{#ffd700 '''중앙학교의'''}}} [[김성수(1891)|{{{#ffd700 '''김성수,'''}}}]] [[최두선|{{{#ffd700 '''최두선,'''}}}]] [[송진우(독립운동가)|{{{#ffd700 '''송진우,'''}}}]] [[현상윤|{{{#ffd700 '''현상윤 (왼쪽부터)'''}}}]] [* 이 당시 김성수는 교주(校主)로써 오늘날의 이사장 역할을, 최두선과 송진우는 각각 학감과 교원을 하다가 둘 다 교장을 역임하며, 현상윤은 중앙고보 승격 직후 교장이 되었다. 네 사람 모두 한국 현대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대단한 사진이다.] || 숱한 수난의 역사 끝에 [[1917년]] [[6월 1일]] 중앙학교는 [[계동]]의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고 [[11월 20일]]에는 본관의 낙성식을 열었다. 새 학교시설은 당대 차별받던 조선인 학생들로 하여금 자긍심을 느끼게 해줬고, 이렇게 새로운 학교에는 [[권덕규]][* 중앙학교의 교사이자 국어학자로, 조선어연구회의 창립을 [[주시경]]과 함께 주도하였고, [[맞춤법|한글맞춤법통일안]] 제정과 <조선어큰사전> 등의 편찬에 참가하였다.], [[고희동]], [[변영태]] 등 상당한 수준의 교원들까지 모이면서 사실상 '''제2의 개교'''를 하게 되었다. 김성수는 새로운 시설과 탄탄한 교사진에 걸맞은 학교의 '''교지'''[* 다른 학교의 교훈으로 봐도 무방하다.]를 창안·제정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웅원·용견·성신'''이다. 이후 김성수는 교장 취임으로부터 1년 만에 자신의 직위를 내려놓고 [[송진우(독립운동가)|송진우]]를 교장으로, [[최두선]]을 학감으로 하며 평교사로 돌아갔다. 당시의 교장들은 거의 대부분이 계동 인근에 거주하였는데 [[송진우(독립운동가)|송진우]] 교장은 오늘날의 [[서울 버스 종로01|마을버스 종로 01]]의 '빨래터' 정류장 [[http://naver.me/FcEe5ILO|바로 옆]][* 원서동 빌라의 주차장 기둥에 까맣게 붙어있는 표지판만이 남아있다.] 옆에 살았고, 김성수 교장은 학교에서 매우 가까운 오늘날의 [[대동세무고등학교|대동세무고]] [[http://naver.me/GrxceNZl|바로 옆]]에 살았다. 이는 이들이 중앙학교에 매우 성실히 교육활동을 하고자 하였던 것을 알려주고 있다. 한편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가며 [[민족자결주의]]가 등장하였고 일본에서는 도쿄의 유학생들을 주축으로 독립운동을 위한 거사 계획이 이루어진다. 거사의 과정에서 유학생들 중 한 사람인 [[송계백]]이 [[2.8 독립 선언|2.8 독립 선언서]]의 초안을 가지고 [[현상윤]] 선생에게 찾아온다. 이를 본 현상윤은 송진우와 자신의 친구인 [[최남선]]에게 보여줬고, 이어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보]] 교장인 [[최린]], 천도교 지도자였던 [[손병희]] 등에게도 그 소식을 알린다. 마침내 중앙학교의 숙직실에서 긴급한 논의가 이뤄졌고, 이들의 계획은 [[3.1 운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때 천도교 측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데, 이들이 운영하여 [[3.1 운동]]에 참여하게 된 학교가 바로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등학교]]와 [[보성전문학교]]이다. 어쩌면 [[고려대학교]]가 되는 [[보성전문학교]]와의 연결점은 이 때부터 시작된 것일 수도 있다.] || [[파일:중앙고등학교 구 본관.jpg|width=100%]] || || {{{#ffd700 '''중앙고등보통학교 구 본관 (1930년 경)'''}}} || [[3.1 운동]] 참여로 위상이 오른 중앙학교는 총독부의 숱한 감시 아래에서 온전하지는 못하였으나, 끈질긴 노력 끝에 [[1921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로부터 '[[고등보통학교]]' 인가를 받게 되었다. 그리고 드디어 '''사립중앙고등보통학교'''로 개칭하고, 진정한 '중등교육기관'으로써 거듭나게 되었다. [[1922년]] [[10월 5일]], 중앙고보 교사이던 '조철호' 선생이 중앙고보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보이스카우트'''인 '조선소년군 경성 제1호대'를 창설하였다. 조선소년군은 이후 [[1924년]] '소년척후단 조선총연맹' 이 결성되며 전국조직으로 확대되었다. 조철호 선생이 스카우트를 창설한 자리는 현재의 [[중앙중학교]] 자리로써 학교 내에 한국스카우트발상지비가 설치되어 있다. [[1926년]]에는 [[순종황제]]의 장례식이 있었다. 가뜩이나 [[3.1 운동]]의 종결 이후 억압받던 민중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울분을 표출할 수 있는 때였다. 그리고 마침내 순종황제의 인산일(영결식)에 '''중앙고보 학생인 이선호, 권오설 군''' 등이 주도하여 격문을 뿌리고 거대한 시위를 촉발하게 되는데, 이 시위가 바로 '''[[6.10 만세 운동]]'''이다. 이렇게 많은 중앙고보는 [[3.1 운동]]과 [[6.10 만세 운동]]이라는 거대한 두 독립운동에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한 거의 유일한 학교이다. [[1927년]] [[3월 20일]], 중앙고등보통학교의 교지(校誌)인 '''<계우(桂友)>'''가 창간되었다. 이 교지는 권덕규 선생을 필두로 하여 중앙고등보통학교 동창회에서 발행한 '''교우지(校友誌)'''로써, [[2008년]]까지는 [[중앙고등학교]]와 중·고등학교 통합 교지로 발간되다가 개교 100주년을 전후로 [[2009년]]부터는 [[중앙고등학교]]의 동아리인 '''문예교지부'''에 의하여 속간되고 있다. [[1929년]] [[2월 19일]], 김기중, 김경중, [[김성수(1891)|김성수]], [[김연수(기업인)|김연수]][* 김성수의 동생이며 [[삼양그룹]]의 창립자다.], 김재수[* 김기중의 친아들], 박용희, 장현식을 설립자로 하는 '''재단법인 중앙학원'''이 설립되었다. 중앙학회로부터 인수된 지 약 14년 만에 공식적인 법인 산하의 학교가 되는 순간이었다. [[1934년]] [[12월 13일]], 이렇게 순탄할 것만 같던 중앙고보에 거대한 화재가 발생하였다. 바로 중앙고보의 상징과도 같던 '''본관'''이 원인불명의 화재로 완전히 전소한 것이다. 그러나 중앙고보 학생들은 끝없는 학업을 정진하며 지속적인 독립운동을 펼쳤다. 이후 [[1930년대]]는 중앙고보의 '''투쟁기'''라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로 엄청난 수의 항쟁을 벌인다. 그 중 대표적인 것에는 [[1935년]] [[3월 25일]]에 있던 '''독서회 항쟁'''과 [[1944년]] [[1월 20일]]부터 전개된 '''학병거부 운동''' 등이 있다. [[http://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Details.nhn#%7B%22mode%22%3A1%2C%22sort%22%3A0%2C%22trans%22%3A%221%22%2C%22pageSize%22%3A10%2C%22keyword%22%3A%22%EC%A4%91%EC%95%99%EA%B3%A0%EB%B3%B4%22%2C%22startDate%22%3A%221930-01-01%22%2C%22endDate%22%3A%221939-12-31%22%2C%22status%22%3A%22success%22%2C%22office%22%3A%2211111%22%2C%22pageno%22%3A%2210%22%2C%22section%22%3A%22111111111%22%2C%22type%22%3A%22111111111111111111111111111%22%2C%22scope%22%3A%2210%22%2C%22page%22%3A1%7D|당대의 수많은 중앙고보의 사건들을 다룬 신문기사들]] === 웅비기 (중앙중학교) === 雄飛期, [[1938년]] ~ [[2001년]] [[1940년대]]가 되어가자 일제는 전시총동원 체제로 돌입하였고, 이에 따라 내지연장주의에 의해 외지(식민지)와 내지(일본열도)의 중등교육기관이 '''중학교'''와 '''고등여학교'''로 통합됨에따라[* 38년 전에는 내지의 중등교육기관은 중학교(남)와 고등여학교(여) 외지의 중등교육기관은 고등보통학교(남)와 여자고등보통학교(여)로 서로 달랐다. 또한 지금의 중등교육기관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이지만 당시 고등학교는 대학 전기과정에 해당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 이 때의 중학교는 현재의 중고등학교를 합친 것에 상당한다. ] [[1938년]] [[4월 1일]], 5년제의 '''중앙중학교'''로 재탄생하게 된다. [[1939년]]에는 [[무궁화]]가 새겨진 모표·교표를 강제로 폐지하였고, 교가 역시 민족의 상징인 [[무궁화]]가 들어갔다는 이유로 금지당한다.([[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3058&cid=49391&categoryId=49391&expCategoryId=49391|지식백과 자료]]) 이는 위기에 몰린 일제가 민족말살통치를 시행하면서 빚어진 참극이다. [[1940년]], 폐지당한 무궁화 모표를 대신하여 '''월계관''' 모표가 제정되었다. 5년의 기간 동안 중앙중의 대다수의 인물들은 일제에 맞서 독립운동에 뛰어들거나 사회에서 자리 잡으며 중앙중학교의 위상을 드높였다. 마침내 [[1945년]] [[8.15 광복]]이 이뤄졌고, 직후에 중앙학교의 상징이던 무궁화 모표가 회복되었다. 그리고 [[1946년]], ''''조선임시과도정부교육령''''에 의하여 '''6년제 중학교'''로 전환되었다. [[1950년]] [[6.25 전쟁]] 직전 ''''대한교육법''''에 의해서 [[4월]]에는 [[중앙중학교|중학교]]가, [[5월]]에는 [[중앙고등학교|고등학교]]가 분리되며 오늘날의 중앙중·고등학교의 편제가 완성되었다. [[6.25 전쟁]]의 포화 속에서도 튼튼하게 살아남은 중앙중학교는 이후 수준 높은 학업실력을 보이며 크게 성장하게 된다. 그러나 그렇다고 일제에 맞선 투쟁정신이 죽은 것은 아니었는데, [[1960년]] [[4.19 혁명]]에는 [[중앙중학교]]와 [[중앙고등학교]] 학생 '''3천여 명'''이 참가하기도 하였다. 이후 [[중앙중학교]]는 [[정몽준]], [[홍성흔]] 등의 인재들을 배출하며 뛰어난 중학교로 성장하게 된다. === 도약기 (현재) === 跳躍期, [[2002년]] ~ 중앙중학교는 [[21세기]]의 새 시대를 맞아 새롭게 도약하고 있다. [[2002년]] [[3월 5일]] 준공된 新 교사는 미래형 교육에 알맞도록 설계되었으며, 새로운 교사의 준공과 함께 [[중앙중학교]]는 [[남자중학교]]에서 [[남녀공학]]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2005년]] [[12월 23일]]에는 현재 [[중앙고등학교]]와 함께 사용하는 '''100주년 기념관'''을 착공하였고, [[2008년]] [[6월 20일]]에는 개교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 역사 연표 === * '''1908년''' 6월 20일 기호학교(畿湖學校)가 개교하였다. 1909년 9월 10일에는 융희학교가 개교하였으며 이 두 학교는 중앙학교의 시초가 되었다. * '''1910년''' 11월 22일 기호학회와 전국 각지의 학회가 통합하여 중앙학회가 되었고, 교명도 중앙학교가 되었다. [[중앙고등학교 야구부]]가 창설되었다. * '''1914년''' 최남선이 중앙학교의 교가를 작사하였다. * '''1915년''' 자금난에 시달리던 중앙학교를 인촌 김성수가 인수하였다. * '''1917년''' 인촌 김성수가 중앙학교를 지금의 위치(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1번지)로 이전하였으며, 중앙학교 교지(校旨)로 '웅원(雄遠), 용견(勇堅), 성신(誠信)'을 창안·제정하였다 * '''1919년''' 3.1 운동에 자금을 지원하였고, 중앙학교의 숙직실에서 3.1 운동의 계획이 비밀리에 이루어져 독립운동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 '''1921년''' 학교 이름을 사립중앙고등보통학교(약칭 중앙고보)로 개칭하고 조선총독부로부터 고등학교 인가를 받았다. * '''1922년''' 중앙고등보통학교의 교사 조철호 선생이 학생을 중심으로 조선소년군(현재 보이스카우트)을 창설하였다. * '''1926년''' 이선호, 권오설 등의 학생이 순종황제의 인산일에 독립만세의 격문을 뿌리며 6.10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 '''1934년''' 구 본관 건물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지금의 중앙고등학교 본관 건물은 1937년 다시 지은 건물이다. * '''1935년''' 일제의 탄압에 맞서 독서회 항쟁을 벌였으며 이어서 1940년에는 중앙학교 5인 독서회 사건을, 1944년에는 학병거부 운동을 벌였다. * '''1939년''' 일제가 중앙학교의 무궁화 모표를 강제로 폐지함을 통보하였고 1940년, 무궁화를 대신하여 월계관을 모표로 제정하였다. 그러나 1945년 광복 직후 무궁화 모표를 회복하게 되었다. * '''1960년''' 중앙중학교와 중앙고등학교 학생 3천여 명이 4.19 혁명에 참가하였다. * '''1968년''' 인촌기념도서관이 준공되었다.[* [[2017년]] 리모델링이 진행 중이고, 이후 다양하게 활용할 예정이다. 기존 도서관은 원파도서관으로 이전하였다.] * '''2002년''' 새로운 교사가 신축되었다.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 '''2006년''' 100주년 기념관으로 '일민 체육관' 과 '일민 정보과학관' 이 준공되었다. * '''2008년''' 개교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 시설 == [[https://blog.naver.com/artistyang83/221441633784|중앙중학교 건물 사진 1]] [[https://blog.naver.com/artistyang83/221441644288|2]] [[https://blog.naver.com/artistyang83/221441657680|3]] 2002년 3월에 준공한 신교사는 국내 최고 수준의 시설을 자랑한다. 과거 학급 당 실내면적 50평에서 현재는 111평으로 교육 공간을 2.2배 넓혔다. 신축교사는 15개의 교실과 Home Base 등으로 이루어진 본관과, 컴퓨터실, 두 개의 과학실, 가사실, 미술실,다목적기능관,교과실, 밖에있는 건물에 있던 도서실이 본관쪽으로 들어왔다. 밖은 인촌관으로 사무실,음악실 등으로 구성된 특별 활동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시설을 기반으로 디지털 교육의 산실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 교육시설 건립에 필요한 막대한 시설경비는 정부의 보조 없이 전액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에서 출자하였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중앙교우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앙고등학교)] || [[파일:중앙교우회 로고.png|width=100%]] || '''[[http://www.gyewoo.org|중앙교우회 홈페이지]]''' 중앙교우회(中央校友會, Choong Ang Alumni Association)는 [[1954년]] 창립된 [[중앙중학교]]와 [[중앙고등학교]]의 졸업생들의 모임이다. 중앙학교는 다른 학교들과는 달리 단순히 '동문'이라고 하지 않고 '''교우(校友)'''라고 하는데 이는 끈끈한 우정과 단합력을 보여주는 말이다. 중앙교우회는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중앙중학교]], [[중앙고등학교]]와 돈독한 관계를 맺으며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는데 특히 장학 사업의 경우 교우들의 후원 아래에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중앙교우회는 이외에도 [[2008년]] 개교 100주년 기념 사업 등을 주도하여 진행해왔으며, 매 기수별로 활발히 교우회를 만들어 각 기수별로도, 지역별로도 자주 모이고 있다. 이는 [[인촌 김성수]]가 인수·경영한 학교들의 공통점인데, [[고려대학교]] 역시 [[고려대학교 교우회]]가 만들어져 활발한 친목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 출신 인물 == === 정치인 === * [[김상도(1958)]] * [[김종인]]: 정치인, 제12~14, 17, 20대 국회의원, 전 [[보건복지부 장관|보건사회부 장관]], 전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전 [[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김택기]] * [[남궁진]] : 정치인. 제14, 15대 국회의원,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문화관광부 장관]], 전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 [[유일호]] : 정치인. 제18, 19대 국회의원, 전 [[대한민국 부총리|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전 [[국토교통부 장관]] * [[정문헌]] : 정치인. 제17, 19대 국회의원. 현 민선 8기 서울 [[종로구청장]] * [[정몽준]] : 기업인·정치인. [[HD현대]] 총수, 전 [[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 제13~19대 [[통일국민당]]·[[국민통합21]]·[[한나라당]]·[[새누리당]] 국회의원. * [[최병윤]] === 체육인 === * [[홍성흔]] : 체육인. 前 [[두산 베어스]] 선수, 前 [[롯데 자이언츠]] 선수. 前 [[롯데 자이언츠]] 주장 * [[이숭용]] : 체육인. 前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 [[넥센 히어로즈]] 선수 * [[김재호]] : 체육인. [[두산 베어스]] 선수. === 가수 === * [[찬열]] : 가수. [[EXO]] 멤버. * [[김창완]] : 가수, 배우. * [[나현(프림로즈)|나현]] === 방송인 === * [[고영수]] : 개그맨 * [[배성재]] : 아나운서. [[SBS]] 아나운서. * [[윤인구]] : 아나운서. [[KBS]] 아나운서. === 언론인 === * [[김준일(언론인)|김준일]] : 現 [[뉴스톱]] 대표, 前 [[경향신문]] 기자 === 기업인 === * [[이원태]] * [[이해욱]] == 교통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앙고등학교)] '''중앙'''이라는 이름처럼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어서 접근이 상당히 용이하다. || [[지하철|{{{+1 {{{#ffd700 '''지하철'''}}}}}}]] ||<-10> [[버스|{{{+1 {{{#ffd700 '''버스'''}}}}}}]] || || [[안국역|{{{#f5f5f2 '''안국역'''}}}]] ||<-2> {{{#f5f5f2 '''정문·후문 정류소'''}}} ||<-8> [[안국역#s-3|{{{#f5f5f2 '''안국역 (창덕궁·현대빌딩·서울돈화문국악당) 앞 정류소'''}}}]] || ||<|2> [[서울 지하철 3호선|{{{#ffffff 서울 지하철[br]3호선}}}]] ||<-2>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목록|{{{#ffffff 마을버스}}}]]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버스}}}]] ||<-7>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버스}}}]] || || [[서울 버스 종로01|{{{#ffffff 서울 버스[br]종로01}}}]] || [[서울 버스 종로02|{{{#ffffff 서울 버스[br]종로02}}}]] || [[서울 버스 7025|{{{#ffffff 서울 버스[br]7025}}}]] || [[서울 버스 272|{{{#ffffff 서울 버스 [br]272}}}]] || [[서울 버스 601|{{{#ffffff 서울 버스[br]601}}}]] || [[서울 버스 109|{{{#ffffff 서울 버스[br]109}}}]] || [[서울 버스 162|{{{#ffffff 서울 버스[br]162}}}]] || [[서울 버스 151|{{{#ffffff 서울 버스[br]151}}}]] || [[서울 버스 171|{{{#ffffff 서울 버스[br]171}}}]] || [[서울 버스 172|{{{#ffffff 서울 버스[br]172}}}]] || * 학교 앞 정류소의 두 버스([[서울 버스 종로01|종로01]], [[서울 버스 종로02|종로02]])의 경우 각각 정문과 후문에서 정차한다. * 종로01과 종로02는 [[안국역]] 2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탈 수 있다. 주의점은 두 버스 모두 배차간격이 매우 크며, 종로01은 [[현대 카운티|매우 작아서]] 아침 시간대에는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이 이루어진다.[* 사실 이는 종로 02번도 마찬가지이다. 크기는 종로02번이 더크지만.] * 사실 위에 서술된 버스 이외에도 '''안국역''' 또는 '''창덕궁'''에서 정차하는 모든 버스가 해당된다. 하차 후 안국역 3번 출구 방향 현대빌딩 왼쪽의 큰 골목으로 약 '''800m''' 정도 직진하면 갈 수 있다. * 승용차로 올 때 안국역 사거리가 좌회전 금지여서 [[경복궁]] 방면에서는 [[낙원상가]] 쪽으로 갔다가 유턴하여 안국선원 쪽 골목으로, [[서울대병원]] 방면에서는 안국역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안국선원 쪽 골목으로 들어오면 된다. 학교 바로 앞 현대빌딩까지 뻗어있는 도로는 사람이 많고 좁아서 사실상 보행전용도로처럼 되어 있다. == 기타 == 원래는 남학교였으나, 2002년에 남녀공학으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2001년부터 신축공사에 들어가 당시 중앙중학교 재학생들은 현 고려사이버대학교 자리에 위치한 컨테이너박스 교실을 1년간 이용했다. -- 더위를 이유로 하절기 교복을 입지 않았었다. -- 그 후 2002년에 완공된 신축 건물로 입주했다. 1999, 2000년도에 중앙중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은 구 교사, 컨테이너, 신교사를 모두 이용하였다. * [[동아일보]] 사장으로 유명한 [[송진우(독립운동가)|고하 송진우]]가 교장을 맡기도 했다.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전광역시]] [[대덕구]], [[울산광역시]] [[남구(울산)|남구]]에 같은 이름의 중학교가 있다. 종로구에 있는 9개 중학교 중 유일한 남녀공학 중학교이기도 하다. == 사건·사고 == || {{{#ffd700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ffffff 에만 서술합니다.}}} || == 둘러보기 == [include(틀: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중앙고등학교, version=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