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중앙대학교/학부)]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전자전기공학부와 융합공학부가 속한 공과대학, rd1=중앙대학교/학부/창의ICT공과대학)] [include(틀:중앙대학교)] [include(틀:중앙대학교의 단과대학)] [include(틀:ABEEK 인증대학)] [목차] == 개요 == ||<-4>
[[http://coe.cau.ac.kr/|{{{+1 {{{#ffffff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br] ^^{{{#ffffff College of Engineering}}}^^]]|| ||<-4>{{{#!wiki style="margin: -5px -10px" [[중앙대학교/서울캠퍼스#310 중앙대학교 100주년기념관|[[파일:external/news.cau.ac.kr/yMpFwYA2pTS8ty1JVS25NqlJKnXAnWzP.jpg|width=100%]]]]}}} || ||<-4>{{{#FFFFFF '''의혈중앙 통일공대 '''}}}||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건축학부 ||화학신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 ||<-2>에너지시스템공학부 ||<-2>첨단소재공학과 || [[중앙대학교]]의 [[공과대학]]. 공과대학 입학생들은 '''Placement Test'''를 치러 일정 수준에 미달하면 '''기초미분적분학, 기초물리학''' 강의를 수강하여야 한다. 과목은 고등학교 미적분, 물리학1, 물리학2 과목. == 역사 == ||1963||중앙대학교 문리과대학 이학부|| ||1965||중앙대학교 이공대학|| ||1972||중앙대학교 공과대학|| ||2014||중앙대학교 공과대학 · 창의ICT공과대학|| ||2019||중앙대학교 공과대학 · 창의ICT공과대학 · 소프트웨어대학|| 중앙대학교 공과대학은 1963년 문리과대학 이학부 내의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를 시초로 하며, 1965년 이공대학, 1972년 공과대학으로 개편되는 역사를 가진다. 2014년에 기존의 공과대학에서 전자전기공학부, 컴퓨터공학부, 융합공학부의 세 학부가 [[중앙대학교/학부/창의ICT공과대학|창의ICT공과대학]]으로 분리되었고, 2019년에는 소프트웨어학부가 창의ICT공과대학에서 [[중앙대학교/학부/소프트웨어대학|소프트웨어대학]]으로 분리되며 현재에 이른다. == 공간 == 공과대학의 주요 건물인 207관(봅스트홀)은 타 학교의 일반 사이즈 공학관의 2~3개를 합친 규모이다.[* 봅스트홀은 대한민국 약대 설립에 지대한 영향을 준 파이퍼 여사의 제자이고 뉴욕대 후원자인 엘머 홈스 봅스트가 지원해주어 지어진 건물로,(뉴욕대 도서관 이름이 봅스트 도서관이다) 69년 당시엔 아시아의 공과대학 중 최대 연면적 건물이었다. 지금도 숭실대학교의 랜드마크인 형설공학관보다 연면적이 좀 더 크다.] 또한, 310관(100주년 기념관)이 생긴 이후로, 매머드 건물인 310관의 절반은 공대가 쓰고 있다. 310관에 공과대학 학장실과 학과 사무실, 교수 연구실, 강의실, 팀플실, 학생회실 등이 위치해 있어서, 현재 공대의 주력건물은 예전의 207관(봅스트홀)보다는 310관(100주년 기념관)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https://www.cau.ac.kr/cms/FR_CON/index.do?MENU_ID=610#;|캠퍼스맵]] 이 외에 208관(제2공학관), 202관(전산정보관)[* 학교 서버가 위치하면서 융합공학부가 사용중이다.], 209관(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센터는 그 이름과는 달리 기업보다 공대가 쓰는 공간이 더 많다.], 다빈치캠퍼스 산학협력관[* 공과대학 첨단소재공학과가 위치한다.]과 생명공학관2관 일부[* 공과대학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연구소가 위치한다.]도 공대가 사용하기 때문에 공대가 사용하는 여러 건물 면적을 합쳐보면 사용하는 건물 면적이 상당하다. 그리고, 곧 시행될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중앙도서관(204관)과 봅스트홀(207관) 사이의 공간(학생회관이 철거된 공터, 현재 주차장으로 쓰고있음)에 1만5천평 규모의 205관(신공학관) 신축이 예정되어 있다. 여기에도 공대 일부와 자연과학대가 들어갈 예정이다. 이 건물이 들어서면 중앙대 이공계의 공간문제도 해결될 전망이다. 중앙대 공대의 정원증가와 맞물려 공대인프라의 질적, 양적 성장 둘 다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http://news.cauon.net/news/articleView.html?idxno=34772|중대신문기사참조]] , [[http://news.cauon.net/news/articleView.html?idxno=35167|중대신문기사참조]] == 학부 == ===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rban Design and Studies''' [[http://infra.cau.ac.kr/|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홈페이지]] ==== [[토목공학과|건설환경플랜트공학전공]] ==== '''Dept. of Clvil, Environmental and Plant Engineering''' [[http://civil.cau.ac.kr/|중앙대학교 건설환경플랜트공학전공 홈페이지]] ||1963||중앙대학교 문리과대학 이학부 토목공학과|| ||1965||중앙대학교 이공대학 토목공학과|| ||1972||중앙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1996||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1998||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건축계열 건설환경공학과|| ||2011||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건설시스템공학전공|| ||2014||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건설환경플랜트공학전공|| >혁신건설 ==== [[도시공학과|도시시스템공학전공]] ==== '''Dept. of Urban Design and Studies''' [[http://urban.cau.ac.kr|중앙대학교 도시시스템공학전공 홈페이지]] ||2007||중앙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2011||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도시시스템공학전공|| Placement Test 제외 대상이다. >젊은도시 === [[건축학부]] === [include(틀:KAAB 인증대학)] '''Schoo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http://archicau.com|중앙대학교 건축학부 홈페이지]] ||1963||중앙대학교 문리과대학 이학부 건축공학과|| ||1965||중앙대학교 이공대학 건축공학과|| ||1972||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1985||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1998||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건축계열 건축학과|| ||2003||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2012||건축학전공과 건축공학전공 분리모집|| ||2023||건축학전공과 건축공학전공 통합모집|| >청년건축 ==== [[건축학과|건축학전공]] ==== Placement Test 제외 대상이다. ==== [[건축공학과|건축공학전공]] ==== === [[화학공학과|화학]][[신소재공학|신소재공학부]] === '''School of Chemical Engineering and Materials Science''' [[http://chemeng.cau.ac.kr|중앙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부 홈페이지]] ||1965||중앙대학교 이공대학 광산공학과|| ||1967||중앙대학교 이공대학 화학공학과 · 광산공학과|| ||1969||중앙대학교 이공대학 화학공학과 · 자원공학과|| ||1972||중앙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자원공학과|| ||1975||중앙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2005||중앙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신소재공학부|| >선봉화공 === [[기계공학부]] ===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http://me.cau.ac.kr|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홈페이지]] ||1967||중앙대학교 이공대학 기계공학과|| ||1972||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1996||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기계공학과와 기계설계학과가 통합하여 출범하였다.]|| >전진기계 === [[에너지공학과|에너지시스템공학부]] === '''School of Energy Systems Engineering''' [[http://ese.cau.ac.kr|중앙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홈페이지]] ||2013||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시스템공학부|| [[파일:에시공.jpg|width=200&height=200]] >폭발에너지 두산에 의해 신설된 학부[* 2013년에 신설, 처음에는 다빈치캠퍼스에서 출발하였으나 2014년에 서울캠퍼스로 이전하였다.][* 커리큘럼도 두산이 직접 만든 것이다.]로 한때 특성화 학과[* 일명 빅7학과]에 속하는 학부였다. 3학년으로 올라가면서 [[원자력공학과|원자력전공]], [[기계공학과|발전기계전공]], [[전기공학과|발전전기전공]] 중 원하는 전공을 배정받는다. 하지만 전공배정 후에도 에너지공학 관련 전공 중 공통으로 이수하는 몇몇 수업들이 있다. 또한 학부 내의 복수전공도 가능하다. 원래는 원자력쪽 육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학부였으나 탈원전 등 원자력분야의 상황이 좋지않아 발전기계전공, 발전전기전공 졸업생들이 다른분야(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등)로 진출하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발전기계전공, 발전전기전공은 취업계에서는 각각 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하고 비슷하게 취급된다.] Placement Test 제외 대상이고 공학인증이 없다. === [[신소재공학|첨단소재공학과]] === '''Dept.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http://ame.cau.ac.kr|중앙대학교 첨단소재공학과 홈페이지]] ||2021||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첨단소재공학과|| 첨단소재공학과는 2021년 신설된 특성화 학과이다.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다빈치캠퍼스]]의 산학협력관을 주요 교사동으로 사용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중앙대학교/학부, version=410, paragraph=7)] [[분류:중앙대학교]][[분류:공과대학]]